이번 권 (꽃핀 소녀들의 그늘에서)에는 은근 코믹한 장면이 많은데 그중 한 장면, 여자에 달뜬 화자가 허겁지겁 다가갔을 때 당황스럽게 나이든 (더해서 평소에는 혐오나 두려움마저 느끼는) 여성을 마주하는 장면도 있다. 예전에 읽었던 한창훈 작가의 소설이 생각났다. 



내가 처음으로 발베크에 갔던 시절부터 몇 해가 지난 후 나는 아버지 친구분과 함께 마차로 파리를 달리고 있었는데, 밤의 어둠 속에서 빠르게 걸어가는 한 여인을 보고, 어쩌면 일생에 단 한 번뿐일지도 모를 내 행복의 몫을 예의범절 같은 걸로 놓치는 건 무분별한 짓이라고 생각되어, 한 마디 변명도 하지 않고 달리는 마차에서 뛰어내려 그 미지의 여인을 쫓아간 적이 있었다. 여인은 두 갈래 길에서 사라졌다가 세 번째 길에서 다시 모습을 드러냈는데, 내가 숨을 헐떡이며 가로등 밑에서 본 사람은 내가 그토록 피해 왔던 베르뒤랭 부인이었다. 부인은 반갑고 놀란 마음에 "어머나! 내게 인사하려고 달려오다니 고마워요!" 하고 소리쳤다. (126)





이틀 뒤 또 꽃무늬 보자기 너머에서 물 끼얹는 소리가 났다. 나는즐거우면서 괴로웠다. 의지는 책을 봐야 한다고 하지만 그것을 제외한 모든 것들은 똘똘 뭉쳐 수돗가 쪽으로 나아갔다. 여인이 목욕하는 장면은 열일곱 살짜리 남자애가 담담하게 볼 수 있는 게 못 되었다.

조금 있으면 보자기가 열리면서 아름다운 젖가슴이 드러날 것이다. 가지런한 등줄기도 보일 것이다. 운이 좋다면 그때처럼 아랫도리도 구경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목욕은 쉽게 끝나지 않았다.

비누칠하고 밀고 닦고 물 끼얹는 소리가 계속 이어졌다. 저 소리라면 지금쯤 어디를 닦고 있을 것이라는 상상은 더욱 확대되고 분명해지고 강렬해졌다. [...] 몸으로 사랑을 한다면 이런 기분이리라. 나는 괴로우면서즐거웠다. 그러다 저 속의 것이 폭발되었고 가쁘게 숨을 몰아쉬고 있을 때 보자기를 걷으며 주인 할머니가 걸어나왔다. 

다시 공부에 집중할 수 있었던 것은 주인 할머니 덕분이었다. 수돗가에서 어떤 소리가 나도 쳐다보고 싶은 마음이 생기지 않았다. (91-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린이 청소년>

세계를 건너 너에게 갈게, 이꽃님, 문학동네, 2020


<만화 그래픽노블>

귀스타프 도레가 그린 '신곡', 단테/도레/박상진 역, 한길사, 2018

빙과 12, 타스쿠오나/요네자와 호노부/니시야 후토시, 대원씨아이, 2021

산과 식욕과 나 8, 시나노가와 히데오/김동수 역, 영상출판미디어, 2021


<문학>

소설의 신, 아이자와 사코/이지연 역, 영상출판미디어, 2021

한순간에, 수잔 래드펀/김마림 역, 열린책들, 2020

체육관의 살인, 아오사키 유고/이연승 역, 한즈미디어, 2014

수족관의 살인, 아오사키 유고/이연승 역, 한즈미디어, 2015

레베카, 대프니 듀 모리에/이상원 역, 현대문학, 2013 

The Lottery and other stories, Shirley Jackson, Penguin Classics, 2009

Dearly: New Poems, Margaret Atwood, Ecco, 2020


<영화>

레베카 (2020, Netflix)

레베카 (1940, 히치콕)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단발머리 2021-08-02 09:37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안내 말씀 ; 북플에서는 안 보이니까요>

귀스타프 도레가 그린 ‘신곡‘, 레베카, The Lottery and other stories, Dearly: New Poems 가 파란 볼드체입니다.
유부만두님 선정 7월의 추천작입니다^^

유부만두 2021-08-02 11:35   좋아요 1 | URL
그 중 최고는 <레베카> 입니다. ^^
 

오랫동안 레베카를 읽지 않았다. 그러면서 이야기를, 인물들을 다 안다고 생각했다. 심지어 그 드레스 에피소드의 의미에 대한 짧은 분석 글도 읽었다. 서재 친구분들의 이어지는 추천에 (이제사) 넘어가서 읽었고! 엄머나, 이렇게 재미있는 소설이었어요?! 영화도 히치콕의 1940년작 (무려 '아라비아의' 로렌스 주연)과 2020년 넷플릭스 버전 (후져 후져)도 함께 보았다. 방학 첫날, 엄마는 너무 바빴던 거시다. 얘들아, 거기 볶음밥 데워 머거. 엄마는 이거 봐야해. 


크고 작은 해석과 변화를 주었지만 두 영화 모두 원작의 섬세한 감정선과 긴장, (그 비상용 대포 처럼) 폭발하는 열기를 전달하지 못했다. 다만 영상에서 마흔두 살 홀애비 맥심과 스물하나 '나'가 사랑에 빠지는 과정은 성급하고 뜨겁게 표현되었다. 히치콕의 '나'의 그림이 매우 정겹다. 넷플릭스의 레베카에서는 그 흰 드레스가 붉은 드레스로 바뀌었고, 남편과 시누이의 경악에 바꿔입는 푸른 드레스는 어찌나 생뚱맞게 소박한지 자잘한 꽃무늬 혹은 줄무늬가 있는 우리 시엄니 홈드레스랑 비슷해 보였다. 




나는 급한 마음에 서둘러 전자책 <나의 사촌 레이첼>을 읽기 시작했고 필립은 이탈리아에서 비보를 접하고 분노, 의혹, 불안을 안고 영국으로 돌아왔다. 두근두근. 마음이 급해서 실은 영화를 너무 보고 싶지만! 꾹 참으면서 전자책을 읽는다. 그러면서 나는 댄버스 부인(넷프릭스 버전의 크리스틴 스콧 토마스는 이 영화의 유일한 좋은 점)이 되어 "레베카의 기본 구조가 보이는군요."라고 차갑게 말하고 싶다. 댄버스 부인의 최고 대사는 "느넨 다 노리개야!"였는데 두 영화에선 잘 살려내지 못했다. 대신 두 영화는 댄버스 부인의 죽음을 아주 확실하게 불과 물의 방법으로 보여준다. 



실은....이건 고백인데요,

난 <레베카>의 맥심이 푸른 수염 같은 캐릭터이고 그래서 첫부인을 죽였고, 두번째 부인도 살해하려다가 댄버스 부인과 '나'가 협공해서 맥심을 죽이고 ... (조금 '아가씨' 같은 줄거리 같...) 그래서 소설 첫 부분 지금의 '우리'는 남편이 아닌 다른 사람과 함께 한 것이라고, 그런 이야기라고 알고 있더라고요? 누가 그런 말 했었나요? 




댓글(7)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21-07-19 22:1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얼마나 급한 마음이셨는지, 거기 볶음밥 데워 머거,가 음성 지원이 되네요. ㅎㅎㅎㅎ

저는 레베카와 레이첼 중에 레이첼을 더 좋아하는 1인으로서, 이제 레이첼을 시작하신 유부만두님의 총평이 벌써부터 기다려집니다. 영화를 보지도 않았으면서, 제 레이첼 페이퍼마다 샘 클라플린이 도배되어 있다는 것도 알려드리고요.
좋은 밤 되시길요. 오늘 밤에는 비가 안 올거 같아요. 아까 낮의 그 소나기가 오늘밤에 온다면 훨씬 더 좋을 거 같은데 말이지요 ㅎㅎㅎㅎ

유부만두 2021-07-19 22:35   좋아요 1 | URL
낮의 소나기는 짧게 지나갔고 저녁엔 노을이 정말 멋졌어요. 애들 밥밥밥 썸머 시즌이 시작되었습니다. 쌀 20킬로 짜리 들여놨고요, 탄산수 120캔 주문했습니다. 그러니 이제 달려 볼까요? (그런데 졸려요. 아시죠? 저 밤에 일찍 자고 새벽에 일어나는 할모니 스케줄;;;)

레이첼의 사촌 쪼잔한 필립 이야기는 내일 이어서 읽으려고요.

바람돌이 2021-07-20 02:0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방학이 되니 더 바빠 지시는군요. 저도 애들 어릴 때는 방학때도 여전히 바빴는데 지금은 완전 한량이 따로 없어요. ㅎㅎ 오늘 하루 어찌나 편하고 좋은지.... 드디어 책도 마음껏 읽기 시작했고, 알라딘 서재도 들어와서 이렇게 여러분들 글도 읽고 좋네요. ㅎㅎ
저도 탄산수 20병 주문해놓고 너무 많은거 아냐 하고 있는데 120캔에 나가 떨어졌습니다. ㅎㅎ

저도 레베카보다 레이첼을 더 좋아합니다. 유부만두님 결과도 궁금 궁금!!! ^^

유부만두 2021-07-26 07:23   좋아요 0 | URL
작은 탄산수에요. 240미리? 정도 들은 건데 애들 둘이 헤프게 마시고 있어요. 콜라 사이다 보다는 그나마 낫겠지 싶어서 사두었어요. 벌써 절반 가까이 해치웠;;;

방학이라 더 바쁘고 정신 없는 기분이에요. 아무래도 날씨 탓이겠죠? 책 읽기도 영 힘들고요. 그런데 시간은 얄짤없이 흐르네요.

바람돌이님, 건강 조심하세요! (레이첼은 중단 상태라 ... 보고가 늦겠습니다)

2021-07-31 12: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7-31 14: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7-31 14: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레베카
대프니 듀 모리에 지음, 이상원 옮김 / 현대문학 / 2013년 3월
평점 :
절판


‘나‘와 레베카의 현실과 현재는 상상과 과거와 뒤섞이고 푸른 수염, 제인 에어, 프루스트 까지 가세한다. 평범한 전반부를 견디면 폭주하는 후반부에 독서의 쾌감이 기다린다. 이 재미있는 걸 왜 묵혀놓았지, 과거의 ‘나‘야???

댓글(9)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부만두 2021-07-19 07:2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더해서 세라 워터스 <리틀 스트레인저>도 생각났다. 연상작용으로 보관함에 콜린스 <흰 옷 입는 여인>을 담았다.

psyche 2021-07-29 13:42   좋아요 1 | URL
리틀 스트레인저 재미있어?

유부만두 2021-08-02 07:30   좋아요 0 | URL
긴장감 조성과 인물 묘사는 멋졌어요. 그런데 결말이 .... 일종의 열린 결말이라 , 이 서스펜스는 어쩔거냐고 저자에게 따지고 싶은...ㅋㅋㅋ
아무리 그래도 <레베카>가 일뜽이에요.

2021-07-19 07: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7-19 16: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잠자냥 2021-07-19 09:3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이런 더운 여름에 폭주하며 읽으려고 아껴두신 거 ㅋㅋㅋㅋㅋㅋ

유부만두 2021-07-19 16:44   좋아요 1 | URL
그런가봐요! 덥고 찜찜한 이런 날씨와 어울리는 소설이네요.

Falstaff 2021-07-19 10:0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막판에 뒤통수 한 방 얻어터지고 속이 후련해지는 사이코 적 만족감을 느끼는 게 <레베카>를 읽는 즐거움입니다! ㅋㅋㅋㅋㅋ

유부만두 2021-07-19 16:45   좋아요 1 | URL
레베카 정말 정 안가는 인물이다 싶었다가 마지막 한 방에 백점 만점이에요.
 

빌르빠리지 부인이 (자신과) 그녀의 “가문이 [작가들]과 맺었던 사적이고 각별한 관계를 내세워, 그들에 대한 평가가, [화자]처럼 그들과 교류할 수 없었던 젊은이들이 내리는 평가보다 더 정확하다고 생각”하며 “그[작가]들의 가치를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이들의 말을 믿으라고 한다. (397-8)

소설을 소설 텍스트만 볼 것인지, 작가와 출판 당시의 사회도 함께 다룰 것인지, 작가의 사생활까지 볼 것인지 고민은 지금도 (나는) 진행중.

더해서, 소설이나 다른 문학/예술 작품이 지금 21세기 한국에서 갖는 의미도 따져봐야한다. 그래서 프루스트 ㄱㅅㄲ 같고 그르타.

126) 프루스트가 『쌩뜨 뵈브 논박』 등 많은 논설문에서 소위 실증주의적 평론이라고 하는 것에 대하여 거듭 가한 비판의 핵심이다. 한 문인의 작품 자체보다는 그의 사생활 혹은 사회적 행태에 관심을 집중하는, 즉 ‘문인의 내밀한 자아‘를 포착하려 하는 대신 가시적 현상들에만 매달리는 평론 관행에 대한 그의 격렬한 비판(오스카 와일드도 궤를 같이하고 있다)은, 『잃어버린 시절을 찾아서』라는 작품이 내포하고 있는 주제들중 가장 본질적인 것이다. <옮긴이 주석> - P77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