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보 같은 과일 복숭아를 맛있게 먹는 히로타 센세,오전엔 마들렌 대신 크로아상에 카페오레를 (두 번!) 즐기는 무슈 프루스트.
그것은 여름이라는 단어가 그랬듯이 무언가를 느끼게 했다. 무엇보다도 책등이 오래되고 해진 펭귄 클래식 페이퍼백을 떠올리게 했다. 그녀는 열여섯 살인가 열일곱 살이 되던 해 여름에 그 책을 읽었다. - P28
애나는 자신이 이토록 수줍음을 타는 사람인지 미처 몰랐다.애나는 자신이 바깥세상에 나왔을 때 이토록 심하게 이상한 부류임을 발견하게 될 줄은 미처 예상하지 못했다. - P60
이걸 찍어 봐, 카메라들아. 내가 오늘 여기 앉아 있는 것을 찍는 것으로 정말로 일어난 일을 아는 것이 얼마만큼이나 가능한지 좀 보자. 자, 찍어서 내가 거기 있었다는 것을 증명해봐. 내가 거기 있었다는 게 어떤 의미를 띠는지 우리에게 보여줘 봐. - P96
의식하지도 못한 채 이 상태에서 저 상태로 맹목적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인간은 얼마나 적응력이 뛰어난가. 어느 날 아침에 여름을 느꼈는데 그다음에 눈을 떠 보면 일 년이 후딱 지나가 있다. 어느 한순간 서른 살인데 다음엔 예순이 돼 있고, 그다음 해도 눈 깜짝할 사이에 후딱 지나간다. 모든 게 너무 빨랐다. 생각해 보면 계절이 바뀌고 세월이 흐르는 게 너무 빠르고 너무 매끄러웠으며 한편으로는 너무 충격적이었다. - P124
겨울, 겨울은 사물을 눈에 보이게 해 준다. - P125
구글은 이상하다. 구글은 모든 것을 약속하지만 거기엔 찾는 게 없고, 우리가 원하는 것의 단어를 입력하면 우리가 원하는 것은 순식간에 불필요한 군더더기가 된다. 우리가 정말 원하느 것이 어렴풋이 아픈거리기만 하고, 구글은 아무것도 답을 할 수 없다. - P206
하지만 그와 동시에 브룩은 이 농담에서 뱃속이 싸한 느낌을 받는다. 그 느낌은 폭탄을 가지고 공원에 간 남자에 관한 책 같은 것을 읽을 때의 느낌과도 비슷하며, 임의의 문장을 생각할 때의 느낌과도 비슷하다.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는 이런 문장 말이다. 소녀는 공원을 달렸다. 그런데 이 문장에서 수식어를 덧붙이지 않는다면 소녀는, 또는 남자든 누구든 명백히 흑인이 아니라 백인이다. 아무도 백인이라고 언급하지 않았는데도 말이다. 마치 기사 제목에서 더the를 빼도 사람들은 거기에 더가 있다고 여기는 것처럼 말이다. - P390
책꽂이에 놓인 책은 얼마나 조용한지 생각해 보렴, 그가 말했다. 펼쳐 보는 사람 없이 거기에 가만히 놓여 있을 때 말이다. 그런 다음 네가 그 책을 펼칠 때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생각해 봐. - P420
당신이 남자다운 남자라면 얼마나 좋겠어, 엄마가 말했다. 그리고 <로닌>에 슈워제네거는 안 나온다고. 맞아, 하지만 그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나온다면 굉장할 거야, 아빠가 말했다. 그리고 우린 그처럼 훌륭한 롤모델을 우리에게 제공한 데 대해 위대한 작가들에게 감사할 따름이겠지. 실베스터 스완. - P429
여름은 아직 우리 곁에 있지…만 여름이여 곧 안녕 aurevoir.그리고 가을이여 안녕 bonjour.
영화 디비디는 사놨는데 (존 말코비치와 알랭 들롱이 샤를뤼스 남작;;;) 그래도 책을 읽은 다음에 봐야할 것 같아서 비니루도 안 벗기고 모셔놨다. 나 진심인가봐. 완독하면 잃어버린 시간 찾고, 좀 젊어지고 그러는 거야? (응, 아니야. 프루스트 바바)
프루스트를 향한 팬레터 모음집. 나도 어서 프루스트를 더 읽어 완독하고 싶어진다. 길혜연 역자의 인용문 번역은 더할 수 없이 아름답고 (민음, 펭귄 보다 낫다) 독자의 가슴이 벅차 오른다. 심지어 이 책은 읽기에 어렵지 않다. 프루스트의 미학과 철학을 다루지만 지루하지도 애매하지도 않고 가독력이 그저 좋다요?!! 역자후기도 아주 좋다. 단점이라면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최고 스포일러인데다 지금 절판인 책이다. (feat. 팔스타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