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 ㅣ 문학과지성 시인선 508
유희경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8년 4월
평점 :
요즘 시 읽는 사람이 누가 있을까?
그런데도 시인은 참 많다.
그런데도 읽을만한 시 만나기는 힘들다.
표지의 컷이 '재수'의 그림이라 인상적이다.
페이스북에선가, 재수의 그림을 보면 익숙해질 정도로 만났다.
특히 그의 고양이가 좋다.
고양이는 인간보가 선이 아름답다. 아무래도 몸짓이 풍부하기 때문일게다.
하루 그리고 하루, 내 곁에는 울 수 있는 사람들이 너
무 흔했다. 나는 지워지고 싶었다. 지워짐을 남기고 싶었
다. 그는 내 세계에 없었다. 밤이 찾아올 때마다 낮을 기
다렸으나
태양이 모든 것을 차지하는 때가 오면, 나는 무기력했
다. 막다른 골목에 닿으면 새를 상상하게 되는 것처럼 무
심코 계절을 넘기는 神 그리고 神, 펜 끝이 닳아갔다. 매
일같이
나는 지문을 지우기 위해 애썼고 그러나 다음 날이면
다시 돋아나는 생의 증거. 그는 말이 없었으므로, 다시는
그의 글을 읽지 않았다. 그는 죽었다. 매일
점점 늘어가는 무덤들. 메말라가는 적요. 밤마다 일기
를 쓰며 사라져가는, 쓰고 싶은 것도 쓸 수 있는 것도 없
는 시절에 대한 이야기다.(작가, 전문)
작가라는 사람의 심사가 잘 드러난다.
그의 시집을 읽으면 너무 심심한 맛이 난다.
슴슴한 맛을 담백한 맛이라 한다면
심심한 맛은 무미건조에 가깝다 할까.
세상 소식이 너무 맵고 짠 것 투성이여서,
내 입맛이 어지간한 자극으론 감각이 무뎌져 그런지도 모른다.
어떤 인칭이 나타날 때 그 순간을 어둠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그 어둠을 모래에 비유할 수 있다면 어떤 인칭은
눈빛부터 얼굴 손 무릎의 순서로 작은 것이 무너져 내리
는 소리를 내며 드러나 내 앞에 서는 것인데 나는 순서
따위 신경쓰지 않고 사실은 제멋대로 손 발 무릎과 같이
헐벗은 것들을 먼저 보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인칭이
성별과 이름을 갖게될 때에 나는 또 어둠이 어떻게 얼마
나 밀려났는지를 계산해보며 그들이 내는 소리를 그 인
칭의 무게로 생각한다. 당신이 드러나고 있다 나는 당신
을 듣는다 얼마나 가까이 다가왔는지(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 전문)
시집 제목이 된 표제시다.
막연하다.
당신을 만났는데, 안개 속의 그림자처럼 흐리다.
나는 그런 게 맘에 안 든다.
깊은 바닷속으로 가라앉고 있는 중이다 영원히, 영원
이라는 것이 있다는 바로 그곳이다 가라앉고 있다 나도
당신도 아니고 우리의 중간쯤에서 어딘가로 (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 부분)
그에게 '잠시' 느껴진 감상들은 밍밍한 맛이다.
세상엔 홍준표처럼, 이재명처럼 화끈한 맛이 많고,
남북 정상의 포옹처럼 미더운 장면도 많다.
'중간쯤 어딘가로' 가는 언어들을 사서 읽고 싶지는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