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으로 곤궁하던 시절의 이야기입니다. 1801년 음력으로 11월 22~23일 쯤 역적죄인 신분으로 다산은 머나먼 바닷가 강진읍에 도착합니다. 무서운 전염병 환자라도 만난 듯, 사람이면 모두 문을 부수고 담장을 넘어뜨리며 달아나 상대도 해주지 않을 때에, 어느 주막집의 늙은 노파가 다산이 거처할 집을 허락해주었습니다. 천추에 칭송을 받아야 할 의로운 여인이었습니다.


  강진읍내의 동문 밖 샘거리에 있던 흙으로 지은 토담집이었습니다. 추위에 언 몸을 녹이고 주린 배에 밥과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도와주었고, 잠을 자고 책을 읽을 수 있으며 천한 집안인 아전들의 아들들을 가르칠 수가 있었던 곳이 바로 흙담집 초가삼간의 그 집이었습니다. 누추한 주막집, 그곳이 다산의 학문이 익어가던 요람이 될 줄 그 누가 알았겠습니까.


  “사의재란 내가 강진에서 귀양살이하며 살아가던 방이다.


생각은 마땅히 맑아야 하니 맑지 못하면 곧바로 맑게 해야 한다.
용모는 마땅히 엄숙해야 하니 엄숙하지 못하면 곧바로 엄숙함이 엉기도록 해야 한다.
언어는 마땅히 과묵해야 하니 말이 많다면 곧바로 그치게 해야 한다.
동작은 마땅히 후중하게 해야 하니 후중하지 못하다면 곧바로 더디게 해야 한다.


 이런 이유로 그 방의 이름을 ‘네가지를 마땅하게 해야 할 방’(四宜之齋)이라고 했다. 마땅함(宜之者)이라는 것은 의(義)에 맞도록 하는 것이니 의(義)로 규제함이다...” 1803년 음력 11월 10일 동짓날 그날 <주역>의 건괘(乾卦)를 읽었다는 날짜까지 밝혔습니다.


  생각, 용모, 언어, 동작 등 학자가 지녀야 할 태도에 조금이라도 소홀함이 있다면 철저하게 반성하고 올바르게 규제하면서 학자적인 행동으로 돌는 스스로의 다짐이자 외부에 대한 선포라고 생각됩니다. 비록 비좁고 누추한 방이지만 하늘 우러러, 그리고 땅을 굽어보아 한 점 부끄러움 없이 당당하고 떳떳하게 마음의 자유를 만끽하면서 살아가겠다는 선비다운 주장이었습니다. 이 방에서 다산의 상례(喪禮)와 주역의 연구가 이루어졌으니 얼마나 멋진 일입니까. 지금은 흔적도 없이 사라진 집이지만 생각하면 매우 의미가 큰 집이 아닐 수 없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파란여우 2004-12-01 21: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산초당 뒷곁의 뚝뚝 떨어지던 동백꽃의 산화가 생각나는 글입니다. 늙은 여인네의 따사로운 마음이 지식인의 허울을 앞섰군요.

글샘 2004-12-01 23: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요, 예전엔 나이가 벼슬이었고, 지혜의 표상이던 때도 있었나 봅니다. 저도 다산의 꼿꼿한 의기보다는 누추한 방이지만, 훌쩍 줄 수 있었던 마음의 넓이가 아름다웠습니다. 벌써 트리를 세우셨군요.^^
 

재밌고, 안 때리고, 듣기 싫은 소리 안하고,
수업 적게 하고, 먹을 것 잘 사주는 선생님은
인기가 좋다. 그러나 그들과 눈을 맞추고, 이야기를
더 많이 들어주고, 아픔에 함께 울어주고,
인생의 방향을 알려주고,
마음으로 이해해 주는 선생님을
아이들은 존경한다고 말한다.

- 홍주연의 <나도 튀는 교사가 되고 싶다?>
(월간《좋은교사》2004년 9월호) 중에서 -


* 처음 교단에 섰을 땐 인기 좋은 선생님이 되고 싶었습니다.
학생들이 많이 따르는 선생님들을 뵈면 은근히 부러웠지요.
작년 가을에야 겨우 그 생각을 내려놓을 수 있었습니다.
학생들의 마음을 읽고, 이해해 주고, 그애들에게
조금이라도 힘을 실어주는 선생님으로 서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혜덕화 > 해탈의 길

성철 스님의 "해탈의 길"을 읽다가 좋은 부분을 따로 인쇄해서 책상 앞에 놓아두었습니다.

매일 보면서 마음의 거울로 삼으려구요.

自省
내 옳은 것 찾아봐도 없을 때라야
사해가 모두 편안하게 될것이니라
내 잘못만 찾아서 언제나 참회하면
나를 향한 모욕도 갚기 힘든 은혜이니.
因果
콩심어 콩나고 그림자는 형상 따라
삼세의 지은 인과는 거울에 비추는 듯
나를 돌아보며 부지런히 성찰한다면
하늘이나 다른 사람을 어찌 원망하리오.

성철 스님의 12가지 다짐 중에서
-시시비비에 마음 사로잡히지 않으리라.
-좋고 나쁜 기회에 따라 마음을 바꾸지 않으리라.
-다른 이의 허물은 농담도 않으리라.

수도 팔계 중에서
1.賤待-천하에 가장 용맹스러운 사람은 남에게 질 줄 아는 사람이다.
       남에게 대접 받으려고 하지 말라.
2.下心-나를 끊임없이 낮추라.
육조대사의 말씀 "항상 자기의 허물만 보고 남의 시비, 선악은 보지 못한다"
세상 모두가 "내 옳고 네 그른 싸움"이니, 내 그르고 네 옳은 줄만 알면 싸움이 영
원히 그치게 된다. 그러니 깊이 깨달아 "내 옳고 네 그름"을 버리고 항상 나의 허
물, 나의 잘못만 보아야  한다.
 하심의 덕목
* 모든 사람을 부처님같이 존경하여라.
* 어린이나 걸인이나 어떠한 악인이라도 차별하지 말고 지극히 존경한다.
* 낮은 자리에 앉고 서며 끝에서 수행하며 남보다 앞서지 않는다.
* 음식을 먹을 때 물건을 나눌 때 좋은 것은 남에게 미루고 나쁜 것만 가진다.
* 언제든지 고되고 천한 일은 자기가 한다.
3.精進 -늘 참선에 힘쓰라.
4.苦行 -모든 어려움을 참고 견디라.
5.禮懺 -모든 중생을 위해 참회하라
6.利他 -남 모르게 남을 도우라. 아는 것이 천하를 덮어도 실천이 없는 사람은 한
털끝의 가치도 없는 물건이다. 참으로 아는 사람은 말이 없는 법이다.
"옳은 말 천마디 하는 것이 아무 말 없는 것만 못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저 알고 있다는 것만으로 충분한
그래서 오랫동안 만나지 않아도
따뜻한 느낌으로 남아 있는 사람

말하지 않아도
언제나 귓전에서 속삭임으로
기억하려 하지 않아도

꿈속의 재회가 있기에
그 사람의 이름 석자가
일기장 가득 추억이 되어
세월이 흘러도 잊혀지지 않는
그런 사람이 있어요


- 김윤진의《그런 사람이 있어요》중에서 -



*  세월이 흘러도 잊혀지지 않는 사람이 있습니다.
아니, 세월이 흐를수록 더욱 선명히 떠오르는 이름이 있습니다.
세월은 지났지만 아프고도 아름다운 추억 속에
오늘도 마음과 마음으로 만납니다.
때로는 웃으며, 때로는 울며...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연 2004-11-25 16: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요..세월이 흐를수록 선명해지는 사람, 있지요.

간혹 길거리에서 실루엣이라도 비슷한 사람이 보이면 가슴이 쿵 내려앉고

가끔씩 사람들의 모습 속에서 닮은 모습들을 발견하며 아쉬워하고...

그 많고 많은 우연 속에 한번쯤 스치기를 바라지만 그래지지 않는...

그래서 너무나 그리운 사람이.

혜덕화 2004-11-26 08: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런 사람이 있다는 사실이 가끔은 행복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이제와 생각해보면 서로 사랑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어떻게 사랑하는지 몰랐을 뿐이었는데.......

그냥 잘 살고 있다는 바람결의 소식만으로도 고맙게 느껴지는 그런 사람. 그사람이나 나나 가정 꾸려서 잘 살고 있는 것이 결국은 서로에 대해 베풀 수 있는 최대한의 사랑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글샘 2004-12-06 02: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음에... 마음 속에만... 깊이 묻어 두었다가, 십 년에 한 번 정도 꿈속에서나 만나는 그런 사람... 바람 결에라도 소식 듣지 못하지만... 우연조차도 허락하지 않는... 그리워하는지 어떤지도 이제 잊혀졌을 법한... 그런 사람이 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