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모든 기업들이
종교적 믿음처럼 신봉하고 있는
‘고객은 항상 옳다’라는 말은 완전히 틀렸다.
그것은 종업원을 배신하는 것이다.
고객 중에는 기내에서 폭음을 하고
이유없이 직원을 괴롭히는 등
해를 끼치는 이들이 있다.
가치 있는 고객들만이 항상 옳고,
그런 고객만이 대접을 받을 가치가 있다.
- 사우스웨스트 항공 허브 캘러허 전 회장
‘모든 고객이 항상 옳다’라고 강조한다면,
직원들은 단 한 사람의 고객에게라도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할 경우
큰 죄의식을 느끼게 됩니다.
그것을 벗겨줌으로써,
허브 캘러허는 종업원들로 부터
마음에서 우러난 존경과 신뢰를 얻게 되었습니다.
사랑하는 직원들을 위해서
불량(?)고객을 해고할 수 있는 용기가 부럽습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연 2005-01-20 13: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발상의 전환이 돋보이는 말이군요..^^ 퍼갈께요~

하이드 2005-01-21 08: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요. 추천 꾸욱~ ^^

marine 2005-01-22 09: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랫만에 인사드려요, 글샘님 저도 이 말에 진짜진짜 동의합니다 고객이 항상 옳다고요? 천만예요 전 써비스직이라 고객들을 응대하다 보면, 이건 일 문제를 떠나서 기본이 안 된 사람들을 너무 많이 만납니다 써빙하는 어떤 분은 그러더군요 자기는 돈을 받고 음식에 관해 최상의 써비스를 해 줄 의무가 있지만, 그 사람이 나를 돈으로 산 것도 아닌데, 인간적인 모욕을 퍼부으면서도 써비스 정신 운운하는 걸 보면 어처구니가 없다구요 고객이 왕이다는 것은, 일에 국한된 부분에서만 그렇지, 기본적인 예의나 인간적인 부분에서까지 직원을 종 취급하는 건 아주 잘못된 거라 생각합니다 제 사장님이 고객 앞에서는 죽는 시늉이라도 해야 한다는 주의라 일하는데 피곤해 죽겠습니다

글샘 2005-01-22 12: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너무 장인 정신이 부족한 말이죠. 고객이 만족할 때까지... 라는 둥... 서비스는 고객이 원할 때 최선을 다해 도와주는 것이긴 하지만, 자기를 없애는 서비스는 <비인간의 영역>을 만들 공산이 크지요. 학교에서도 언제부턴가 신자유주의 물결을 타고, 소비자 위주의 교육, 교육서비스란 찌꺼기 같은 말들이 난무합니다. 학생들은 얼마나 도도한지, 한 대 맞으면 신고하겠다고 협박하는 세상이 되었는데도, 그 소비자들은 정말 기본이 안 돼있는 경우에도 우대받아야 하는 건지... 이런 걸 생각하는 게 철학이 아닐까 합니다. 이 말에 스트레스 받으시는 분이 많은 걸 보니, 이 말이 문제가 있긴 하군요. ^^
 

좋은 사람을 만나는 것은 신이 내리는 선물이다.
그 사람과의 관계를 지속시키지 않는 것은
신의 선물을 내팽개치는 것이다.
- 데이비드 팩커드 (휴렛 팩커드 공동 창업자),
‘휴대폰 하나 컴퓨터 한대로
100억 부자가 된 사람들’에서 재인용
빌 게이츠 회장은 자신의 인생에서
가장 탁월한 의사결정이 뭐냐는 질문에,
‘폴 앨런과 스티브 발머를 최고경영자로
영입한 것’을 꼽았습니다.

전적으로 신뢰할 수 있고 헌신적으로 노력하는 사람,
비전을 공유하고,
독선을 견제해 줄 수 있는 뛰어난 사람이 있다는 것은
큰 복이 아닐 수 없습니다.
선물을 알아보는 혜안과
이를 확실히 챙기기 위한 더 큰 노력이 필요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줄리 2005-01-20 12: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너무 좋은 가르침이네요. 몇자 되지도 않는 글을 끄적거리면서도 늘 갈등하게 되는 부분인데.. 가슴에 새겨 놔야겠네요.

글샘 2005-01-20 13: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을 써 본 사람은 늘 '위선'의 목소리에 갈등하죠. 자기의 생각을 글로 완성시킬 수는 없으니까요. 그렇지만, 그러면서 차츰 진실에 다가갈 수 있다는 믿음으로 조금씩 쓸 수 있는 힘이 있을 겁니다. 만나서 반갑습니다. ^^
 
 전출처 : 바람구두 > 희망의 이름으로 ...80일의 단식..지율스님의 근황.

희망의 이름으로 ...80일의 단식..지율스님의 근황.

마음을옮기지 않았는데 시간이 갔다는 것을 나는 잘 모르겠습니다.

체와 용이 하나라고 생각하면 ........

                                             <불교 정보센타 제공>

      이제 지율스님의 단식은 날짜를 세어 갈 수가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희망을 버리지 못합니다.  그 길은 미래로 통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손잡아 주세요........... 아이들과 함께 종이접기를 하며 천성산과 도롱뇽의 이야기를 나누어 주세요.

                      100만 마리 도롱뇽 접기 동참을 호소하며 ..... 스님 동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달팽이 2005-01-18 21: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 아버지보다 성숙한 아이의 영혼을...우리는 자식이라는 고정관념으로 그들을 우리들의 눈으로만 어리게 보고 있지는 않는지...다시 한번 생각해봅니다.

글샘 2005-01-19 01: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 '돈'에 뒤집혀 버린 지 오랩니다. '돈'에서 조금 멀어져 있어도 <나>를 자유롭게 느낄 수 있는 <깨닫는> 사람으로 살고 싶습니다. 저 아이처럼 순수한 눈이, 거만하지 않은 밑바닥의 눈이, 세속의 콩깍지를 벗겨주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