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방학 숙제 조작단 사계절 아동문고 103
이진하 지음, 정진희 그림 / 사계절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이 맞게 붙여진 건가? 약간 의문이 들었다.

'조작'이라는 단어가 가지는 부정적인 느낌이 있어서다.

이 책의 세 꼬마 아이는 여름 방학 숙제를 위해 참된 마음으로 노력했기에 더 그런 느낌이 든 거 같다.

방학 숙제! 생각하면 맘이 편치 않다.

시상식이 있는 경우, 방학 숙제를 하느라 저 아이의 방학은 즐거웠을까 의문이 들 정도로 방학 숙제를 위한 방학을 보낸 것 같은 아이들이 있어 마음이 불편하기도 했다. 

어떤 경우에는 아이의 손은 하나도 가지 않은 부모가 한 숙제가 있어서 누가 했냐 물으니 엄마가 했다 하길래...

그럼 이건 전시하기 어렵겠다고, 아무리 못 해도 숙제는 스스로 해야 하는 거라고 돌려 보낸 적이 있었다.

아, 그 때 왜 그랬을까? 눈 딱 감고 받아 두었다 며칠 후 보냈어야 하는데 말이다.

그 어머니, 이 일을 맘에 꼭 담고 서운함을 어느 순간 폭발하셨다.

아이 일기까지 대신 써 주시길래, 그러시면 안 된다고 했는데...

내가 완전 이상한 사람인 것처럼 다다다 자기 말만 하고 전화를 '팍' 끊어서 아직도 안 좋은 맘으로 남아 있다.

주인공 오준보는 방학 숙제 상을 받으면 갖고 싶은 거 하나를 사 준다는 엄마의 말에 흥분한다.

준보로 말하자면, 모범생과는 거리가 먼 캐릭터다.

준보는 절친 구봉이와 방학 숙제에 도전하려 하지만, 상을 타야만 하니 좀 더 다른 대책이 필요했다.

공부만 잘하는 바보 경수와 손을 잡기로 한다.

모범생 경수가 말하는 숙제 잘하는 법은

아빠가 대신 해 주기, 사이트에서 돈 주고 사기 등이 있다.

어째 좀 이상하다. 이렇게 해서 상을 받는 게 맞나 싶다. 

수동적 인간 경수는 영 믿음이 안 간다.

요즘은 방학 숙제 시상식이 많이 없어졌고, 숙제를 위한 숙제도 많이 사라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학날 일기 한 편 써 오지 않는 아이들이 있어서 속을 끓일 때도 많다.

"다 썼는데 잃어버렸어요."라는 말을 들으면 이 아이가 거짓말을 하는구나 싶은 마음에 가슴이 답답해오기까지!

요즘은 인권 침해, 뭐 그런 문제 때문에 일기쓰기 숙제도 없는 경우가 많을 것도 같다.

준보는 여러 가지 숙제 중 3개를 골라서 하라는 방학안내문을 보고 친구들과 함께 어떤 숙제를 할까 궁리하기 시작한다.

처음에는 장난처럼 설렁설렁 하는데, 그 과정에서 아름다운 성장을 한다.

대충하자는 말과는 달리,

세 아이가 방학 숙제를 해 나가는 과정을 보면서 '기특한 녀석들!'하고 마음 속으로 칭찬해 주게 된다.

친구간의 우정이 자라는 과정을 읽는 것도 이 책의 맛이다.

(공부를)잘 하는 아이는 잘 하는 아이 대로 (공부를) 못 하는 아이는 못 하는 아이 대로 방학 숙제를 사이에 두고 무럭무럭 자란다

재미있다, 이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철곰 꼬리가 보이는 그림책 7
이기훈 글.그림 / 리잼 / 2012년 10월
평점 :
품절


2010 볼로냐 국제 어린이 도서전 일러스트레이터 선정작이라고 한다.

그림에 상당한 공이 들어갔다는 생각을 든다. 

좋은 그림책은 화첩, 도록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 낸다.

미술관에 초대받은 느낌이다.

글자없는 그림책이라 그림을 더욱 꼼꼼히 들여다 보아야 한다.

이 책이 가지는 철학적 가치는 조금 어렵다. 다른 분들의 해석을 조금 살펴보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열차를 타고 떠나려는 많은 사람들이 우주공항에 있다.

지구 환경은 무언가 인간이 살기에는 만만치 않은 곳이 되어 버린 모습이다. 

모든 것을 버리고 떠나려는 많은 사람과 달리 한 아이는 양철곰에게 무언가를 이야기 하고 싶어 한다.

자연이 죽어있는 도시에서, 양철곰 몸 속에 다람쥐들이 숨겨 둔 도토리들이 많이 있다.

아이는 양철곰에게서 이 도토리를 꺼내고, 그 도토리는 싹을 틔워 쇠붙이만 가득한 세상에 초록으로 다시 태어난다.

양철곰에서 시작된 초록이 회색 도시를 다시 자연의 모습으로 돌려 놓았다.

어두운 마음을 거둬 들이면서 책을 덮을 수 있어 다행이다.

<<나무를 심은 사람>>이 조금 겹쳐진다.

우리가 할 일은 벗어나는 일이 아니라 회복하는 일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화가 난 수박 씨앗 호호할머니의 기발한 이야기 4
사토 와키코 글.그림, 박숙경 옮김 / 한림출판사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햇살 좋은 어느 날, 호호 할머니가 정원에 구멍을 파서 작은 씨앗 하나를 심는다.

그게 무엇인지 궁금해서 고양이가 파 보고

강아지가

토끼가

여우가

다시 호호 할머니가 파 본다.

"에개? 겨우 수박 씨앗이잖아!"라며 다시 원래대로 묻고 토닥토닥.

그러는 중에 시시하다, 별 볼 일 없다는 말을 듣고 작은 수박 씨앗이 뿔따구가 났다.

화가 나서 싹이고 뭐고 아무 것도 안 할 거라는 수박 씨앗에게

호호 할머니가 떽! 하고 이르시기를

"네가 꾸물거리니 이렇게 된 거 아냐! 이제 싹도 좀 틔우고 얼른 얼른 자라기나 해."

수박 씨앗은 화 나서 더 이상 못 살겠다며 싹도 틔우고 쑥쑥 자라서 토끼네, 여우네, 호호할머니네에 커다랗고 둥근 수박을 덩글덩글 선물한다.

쑥쑥 자라는 수박의 모습이 역동적이다.

잘 익은 수박 한 덩이를 쫙 가르니 수박 씨앗들이 아우성이다.

"이래도, 이래도 내가 시시해 보여?" 하고 말이다.

수박 한 덩이 맛있게 잘 먹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마음이 들리나요
조아라 지음 / 한솔수북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자 없는 그림책이다.

글자는 그림 속에는 존재하지만, 글로는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모두에게서 떨어져 나와 있는 한 아이.

외톨이 아이와 대비되게 아이가 올라가는 계단을 막는 무리들 뒤로

학교폭력없는 우리 학교, 왕따없는 우리 학교 라는 문구가 눈을 시리게 한다.

그림 전체 톤은 흑백.

우울한 분위기가 더욱 강조된다.

혼자 노는 아이가 그리는 음표가 가득한 세계

아이의 옆에는 이야기 나눌 수 없는 새와,

별 상관없는 어린이집 아이들이 있다.

건반과 음표를 가르는 쥐들, 그걸 쫓는 고양이.

아이는 쥐일까, 고양이일까?

숫자로 본다면 고양이가 맞겠지만

아이가 가지는 위상으로 따지자면 쥐일 거 같다.

뒷표지의 음표 위에 딱 붙어 있는 새 두 마리처럼

아이에게도 옆에 딱 붙어 있을 친구 하나 생기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루토 비밀결사대 - 2005년 제11회 황금도깨비상 수상작 일공일삼 37
한정기 지음, 유기훈 그림 / 비룡소 / 200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은 남편이 정말 재미있다고 거짓말 조금 보태어서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했다.

오래 전이긴 하지만, 마침 작가 강연회도 준비하던 때라 4권까지 사서 가지고 있다.

마지막 5권만 사면 완결편까지 가지는 거다.

그런데, 1권 앞부분을 읽다가 썩 매력적으로 마음을 당기지 않아 읽지 않고 시간을 보냈다.

책도 가끔 인연이 있다는 생각을 한다.

그렇게 눈에서 손에서 멀어졌던 책이 어느 순간 다시 신호를 보내어 이렇게 딱 만나게 되기도 하니 말이다.

탕준상이 나오는 여러 드라마를 재미있게 보았다.

프로필을 검색해 보니 EBS 어린이 드라마 <플루토 비밀 결사대>에 출연한 사실이 나왔다.

작가 강연회 때 한정기 선생님이 곧 드라마로 제작될 거라고 이야기 했던 기억이 난다.

유튜브 영상을 찾아보니 1부가 <컨테이너 살인사건>이다.

분위기도 음침한 것이...

앞부분만 살짝 보고 책을 펼쳐 들었다.

플루토!

이 단어의 뜻에 대해서 생각해 본 적이 없는데, 책에서 이야기 하기를

에드가 앨런 포의 <검은 고양이>에 나오는 고양이 이름이라고 한다. 우리 말로 하면 염라대왕.

또, 가만 생각해 보니 명왕성을 그렇게 불렀던 게 떠오른다.

로마신화명으로 플루토는 그리스신화명으로는 하데스. 죽음, 저승, 풍요의 신이다.

크로노스와 레아의 아들이며 제우스의 형제이고 페르세포네의 남편이다.

1편의 부제는 <다섯 아이들이 모이다!>이다.

이야기에서 가장 눈부신 활약을 하는 금숙이는 얼마 전 경기도 이천에서 전학 온 아이다.

우진이와 서진이는 형제다. 동영이는 우진이의 절친.

풀꽃을 좋아하는 서진이는 이구아나를 키우는 한빛 형아랑 친구가 된다.

금숙이를 제외한 넷은 부산 아이들이다.

부산 사투리가 대화글에서 걸쭉하게 등장한다.

금숙, 우진, 동영이는 비밀 아지트에서 플루토 비밀 결사대를 조직한다. 

세상의 모든 악에게 염라대왕이 되자는 금숙이의 제안으로 말이다.

이야기의 끝부분을 보면 함께 활동 한 서진이와 한빛도 새로운 조직원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공간적 배경은 부산에서도 기장이다.

7년간 기장군에서 근무를 해서 그런지 내리, 대변항, 멸치축제(한 번도 가 보지 않았다.)...

이런 장소와 행사가 낯설지 않았다.

버스 타면 지나오는 해운대 경찰서도 나와서 왈칵 반가운 마음이 더 일었다.

어느 날, 고속도로가 뚫리고, 새로운 건물이 들어서고... 개발 과정에서 도자기 유물이 다수 발굴된다.

그 도자기 유물을 밀반출하려는 무리들, 그 사이에서 벌어지는 우발적 살인.

그 살인의 퍼즐 조각을 하나씩 맞추어 나가 범인을 잡는데 공을 세운 아이들이 있었으니 그들이 바로 '플루토 비밀결사대'다.

이야기 곳곳에 놓인 복선들이 사건 해결 과정에서 하나하나 의미있게 활용되고 있어, 작가가 큰 그림을 잘 그려 두었구나 하는 생각을 하며 읽었다.

어린이 드라마로 제작될 정도니 이 책의 재미는 검증이 되었다고 보면 되겠다.

탐정소설, 추리소설 좋아하는 아이들이라면 흠뻑 반해서 읽을 만하다.

아니, 누가 읽어도 한 두 꼭지만 넘기고 나면 책을 덮지 않고 끝까지 읽을 거라 생각한다.

조만간 작가님 만날 일이 생길 거 같은데 잘 가지고 있다가 사인을 받아야겠다. 하핫^^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