팥죽 할머니와 호랑이 옛이야기 그림책 까치호랑이 15
조대인 글, 최숙희 그림 / 보림 / 199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통 아이들과 서점에 가면 자기들이 좋아하는 디지몬이나 다른 캐릭터들에 관련된 책에 더 관심을 쏟아서 엄마가 좋은 동화책을 읽어주려고 해도 듣지 않기 일쑤이다. 그런데 이 책을 펼쳐서 읽어주었더니 옆에 붙어서서 내가 읽어주는 걸 계속 듣고 있는 것이었다. 그날 서점에서 사지 않고 나왔지만 집에 와서 아이에게 물어 보았더니 서점에서 본 책 중에서 이 책이 제일 재미있었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책 구매시에 함께 주문하였고 도착하던 날 다른 책을 놔 두고 제일 먼저 잡은 책이 바로 이 '팥죽 할머니와 호랑이'였던걸 보니 꽤나 이 책이 재미있게 느껴졌나보다.

내기를 하자고 말은 하지만 이미 잡아먹기로 작정하고 찾아온, 힘세고 날렵한 호랑이와 나이들어 힘없고 풀 한포기 뽑을 때마다 '에고~'를 연발하는 할머니가 내기를 한다는 설정이 재미있다. 호랑이도 힘없는 할머니를 그냥 잡아먹기는 미안했던지 생색이라도 내듯이 밭내기를 제안한 것 같다. 그리고 이 책을 읽으면서 생각나는 것은 '떡 하나 주면 안 잡아 먹지~'를 본딴듯한 '팥죽 한 그릇 주면 못 잡아먹게 하지'라는 반복되는 문구이다. 아이들은 이 문구를 읽어줄 때면 후렴구라도 되는 듯 따라한다.

호랑이와의 팥밭 매기 내기에 진 할머니가 눈물을 흘리며 쑨 팥죽을 얻어먹는 여러가지 물건들이 이쪽 저쪽에 숨는 것이 재미있는지 책을 읽어주다 보면 '어디에 있어요? 어디에 숨었어요?' 연발하며 책을 자기 앞으로 잡아당겨 숨어있는 물건을 찾으려고 책을 살펴보는 아이의 모습이 조금은 웃습기도 하다.

호랑이가 나오는 책이라고 말로는 무서워하면서도 어떤 날에는 저 혼자서도 내가 읽어주었던데로 운율을 실어 읽어 나가는 걸 보면 아이가 좋아하는 책은 따로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다른 전집책들 중에서도 아이가 유난히 좋아하는 책들은 저 혼자서도 읽지만 다른 책들은 엄마가 읽어주어야 듣게 되는 책들이 많다. '팥죽 할머니와 호랑이'처럼 비록 한 권의 책이지만 아이가 흥미를 가지고 스스로 찾아서 읽으려는 책이라면 좋은 책이고 생각한다. 더구나 명작동화등에 식상했을 아이가 우리나라의 옛이야기를 즐겁게 받아들여서 읽어주는 나 역시 옛날 할머니들이 손주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듯한 느낌마저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손이 나왔네 하야시 아키코 시리즈
하야시 아키코 지음 / 한림출판사 / 199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툭하면 물 장난을 하거나 무엇을 마시다 바지에 쏟아버리는 우리 둘째 아이.. 조금이라도 옷이 젖으면 축축하다며 홀랑 벗어버리고는 쪼르르 서랍장으로 달려간다. 그러나 아직도 바지를 입을 때면 한쪽에 두 다리를 밀어 넣고는 일어서지도 못하고 안된다고 떼를 쓰곤 한다. 그래서 '싹싹싹'이란 책을 산 후 작가의 그림도 귀엽고 해서 이 책의 시리즈 격인 '손이 나왔네'를 구입하게 되었다.

그런데 책 내용을 읽어보니 실제로 우리가 윗옷을 입을 때 보통 머리를 먼저 내민 후에 팔을 내미는데 비해 이 책에서는 아기가 한 손을 먼저 내민 후에 옷을 잡아당겨 머리를 내미는 것으로 나와 있다. '일본에서는 그렇게 옷을 입나? 아니면 아기라서 그렇게 입는 것으로 표현했나? 제목을 그렇게 지으려고?' 하는 궁금증들이 들곤 한다.

어쨋거나 두 뺨이 발그레한 아기가 스스로 옷을 입으며 짓는 갖가지 다양한 표정들이 눈에 띠는 책이다. 웃기도 하고, 스스로를 대견해 하기도 하고, 슬퍼하기도 하고, 마음먹은 대로 잘 되지 않는 것에 화를 내기도 하는 등 이 나이에 벌써 인간의 희노애락을 다 알고 있는 아기의 역량(?)이 잘 표현된 책이라는 것이 내가 이 책을 보면서 느낀 점이다.^^ 아이가 이 책을 보면서 아이의 신체가 하나씩 옷을 통과할 때마다 재미있어하고 즐겨보는 것을 보고 참 잘 고른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나귀 실베스터와 요술 조약돌 뒹굴며 읽는 책 2
윌리엄 스타이그 글 그림, 이상경 옮김 / 다산기획 / 199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에 이 책의 표지나 그림을 보았을 때 조금은 실망했다. 다른 동화책들의 그림과 비교해 보았을 때 너무 단순하다고는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책을 읽고 난 후 아이를 잃어버린 엄마와 엄마를 잃어 버린 아이의 마음을 잘 나타내 주는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를 잃어 버려 찾아 헤매는 엄마나 엄마를 찾지 못해 이리저리 쫒아다니며 울고만 있는 아이나 정말 끔찍한 경험을 하게 되는 것이고 영원이 잊혀지지 않을 사건이 될 것이다. 나 역시 그런 경험이 있는 사람이기에 이 책의 내용이 너무도 사실적으로 다가왔고 아이도 그전의 경험을 예를 들면서 읽어 주었더니 그 후로도 수시로 찾아서 혼자서 읽어 보곤 한다.

다행히 몇 시간만에 찾을 수는 있었지만 5살짜리 내 아이를 잃어 버렸던 오후, 비록 단 몇 시간이었을 뿐이지만 지금도 그 때를 생각해 보면 아찔한 느낌이다. 만일 그 때 아이를 찾지 못했다면 어떠했을까. 책의 주인공인 실베스터 엄마와 아빠처럼 몇 날 며칠을 잠 못 자고, 아무 것도 먹지 못지 못하고, 아이를 제대로 지켜보지 못한 것을 자책하며 아무 것도 하지 못한 채 넋을 놓고 지냈을 것이다.

아이의 동생을 태운 유모차를 밀고 다면서 놀이터 주위를 아무리 둘러보아도, 사방을 돌아 다니며 찾아 보아도 보이지 않는 내 아이, 설마하는 생각조차 점차 사라지고 머리 속이 하얗게 비어져 울음은 커녕 아무 생각도 나지 않는 진공의 시간이었다. 누가 데려가 버렸으면, 나쁜 사람에게 유괴되었으며, 어딘가를 헤매다 사고나 당하지 않았는지 하는 생각은 그 때 들지 않았다. 아이를 찾고 난 뒤 한참 뒤에야 그런 가능성들을 떠올리고 어찌나 겁이 났던지...

사자를 만나 위기를 모면하고자 순간 바위로 변해버린 실베스터는 낮이 가고 밤이 되어도,단풍잎이 지고 겨울이 와도 집에 가지 못한다. 결국 나들이 나온 그의 부모에 의해 다시 자신의 모습으로 돌아온 실베스터.. 공원 관리실에서 보호하고 있던, 먼지를 뒤집어 쓴 채 울어서 땟국물이 줄줄 흐르는 내 아이를 보면서 그제서야 긴장이 풀려 한참을 그 자리에 주저앉아 아이를 보듬으며 서로의 존재를 확인하던 그 때의 감격을 어찌 말로 다 표현할 수 있겠는가. 실베스터와 그의 부모가 만났을 때의 마음을 나도 조금은 알 수 있을 것 같다.

6실베스터의 아빠가 금고 속에 넣어 버린 그 요술조약돌이 만일 우리 아이가 발견하였을 때 그것을 사용하는 것과 부모와 함께 하는 시간을 선택하라고 한다면 어떤 것을 선택할까 하는 생각을 잠깐 해 보면서 이 세상의 모든 사람이 누군가를 잃고 절망하는 일이 없기를 기원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녀 위니 비룡소의 그림동화 18
코키 폴 브릭스 그림, 밸러리 토머스 글, 김중철 옮김 / 비룡소 / 199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녀위니는 도깨비와 마녀를 좋아하는(?) 아이를 위해 일부러 고른 책이다. 그런데 이 책의 그림을 보면 '위니'는 내가 살아오면서 이미 많은 책이나 영상매체를 통해 굳어져 버린 마녀의 이미지와는 전혀 다른 이미지를 어른인 내게 보여 주고 있다. 늘 탱글탱글한 고양이 윌버에게 걸려 넘어져 버리는 약간은 멍청한 듯한 느낌을 주는 마녀 위니.. 주위에는 거미나 도마뱀, 해골들이 널려 있는 집에 살고 있지만 마녀라서 무섭다는 생각이 들기보다는 안타까운 느낌을 자아내게 하는 애처로운 독신 아줌마 같다.

숯으로 칠한 듯한 온통 검은 색인 '위니'의 집에서 검은 고양이 윌버는 초록색 눈만 빼면 전혀 눈에 띄지 않는 존재이지만 일부러 마녀가 걸려 넘어지거나 깔고 앉을 만한 위치에 있음으로 해서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것 같다. 위니는 그것이 불만이었을까? 드디어 마녀라는 직업(?)을 확인할 수 있는 마법을 부리는 위니. 요술지팡이를 휘둘러 연두색을 만들어 버리지만 풀 숲에 있는 걸 보지 못하여 다시 한 번 걸려 넘어져 장미 덤불 속에 쳐박혀 버리자(화날만 하죠?) 아예 다섯가지 색깔을 가진 고양이로 만들어 버리고야 마는데...

알록달록, 한마디로 우스꽝스러운 고양이가 되어버린 윌버, 그 윌버의 슬퍼하는 모습을 보고 마음 아파하던 위니는 다시 검정색 고양이로 되돌려 주고, 대신 이번에는 요술지팡이를 마구 휘둘러 마법을 다시 한 번 행함으로서 아예 집을 총천연색으로 만들어 버린다. 검정색만 뺀 화련한 집을 보니 거기서 살고픈 욕구를 자아내게 할만큼 근사한 집이 되어 버렸다.

자신에게 고난을 안겨 주는 존재를 변화시키기 보다는 주위 환경을 변화시켜 사랑하는 존재가 변화되는 것을 바라지 않는 그 마음이 어른인 내게는 잘 다가오지만 우리 아이는 이 책을 어떤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아직은 잘 모르겠다. 아이는 그저 마녀가 요술지팡이로 마법을 부리는 것이 더 신기해하는 것 같다. 좀 더 크고 나면 그 속 뜻을 깨달으려나.. 아이가 잘못을 할 때마다 잔소리를 늘어 놓는 엄마인 나 자신이 아이를 변화시키려고 노력하기 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내 아이를 받아들이기 위해서라도 이 책을 같이 보면서 읽어주어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리 포터와 불의 잔 1 (무선) 해리 포터 시리즈
조앤 K. 롤링 지음, 최인자 옮김 / 문학수첩 / 200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해리포터라는 책을 사고 싶다고 말했을 때 남편은 무슨 애나 보는 책을 사보냐고 핀잔을 주었다. 그렇지만 판타지를 좋아하는 나는 기어이 우겨서 그 책을 샀다.

아침에 출근 준비를 하던 남편은 읽을 책도 없는데 하면서 그 책을 먼저 빼앗아 가버렸고, 퇴근하자마자 하권을 찾는 것이었다. 그제서야 나 역시 그 책을 읽을 수 있었고 참으로 동화적인 이야기지만 뻔한 내용이지만 그 끝이 궁금해 밥을 지으면서도 책을 놓을 수가 없었다.

아마 해리 포터와 두들리를 우리나라 동화책에 비교하자면 꼭 콩쥐와 팥쥐를 연상할 수 있을 것이다. 콩쥐에 비해 인물이 좀 빠지긴 하지만(^^) 결국 해리도 금의환양할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두 아이의 엄마이면서 해리가 무사히 성인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은 아마 내 아이를 키우는 듯한 착각 속에 빠진 탓이 아닐까? 후후후...

그리고 이렇게 많은 독자서평이 올라 온 책이 또 있나 싶을정도로 많은 서평이 올라와 있는 것을 보며 정말 전세계적으로 몰아친 해리포터의 열풍을 다시금 느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