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을거리를 챙겨서 나오다가 경비실 앞 의자에(택배물 위탁장소다) 배송물이 놓여있어서 다시 집으로 들어갔다 나왔다. 다음주 강의가 있어서 중고로 주문한 <파스칼의 편지>(지훈)였다. 목차를 알지 못한 상태에서 주문했는데, 예상보다 책상태도 괜찮고 내용도 흡족하다. 편지 외에 소품들도 번역돼 있는데 역자인 이환 교수가 젊은 시절 한 번역을 수정한 판본이기도 하다.

오래전에 <팡세>를 읽으며 이환 교수의 책들을 읽은 적이 있다(<파스칼 연구> 등). 당시엔 유일한 파스칼 전공자로 보였는데 이후에 김형길 교수가 새로운 <팡세> 번역본을 선보이며 등장했고, 나의 파스칼 읽기도 그 즈음에서 중단되었다. 다시 검색해보니 김화영 박사(카뮈 전공의 김화영 교수와는 동명이인인 듯)가 젊은 세대의 파스칼 전공자로 보인다.

17세기를 살았던 블레즈 파스칼의 생애는 짧았다. 1623년생이고 1662년몰(<파스칼의 편지> 책갈피에는 부주의하게도 1623-1622로 표기되었다). 만 39년의 삶이었지만 <팡세>(1670)라는 기념비적인 사색록을 남겼다. 사후에 출간된 유작. 엊그제 강의한 몽테뉴와 함꼐 근대 전환기 프랑스의 흥미로은 지성이다. 역시 오래 전에 도서관에서 대출해서 읽은 이환 교수의 <몽테뉴와 파스칼>을 이번에 새책으로(중고본이지만) 구해서 다시 읽고 있다. 오래전 친구와 재회하는 느낌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wo0sun 2020-05-23 16: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주문한 <몽테뉴와 파스칼>을 저도 조금전 받았어요.
이책에 대한 샘 글을 읽고 주문했는데 다음주 파스칼 강의
듣는데 많은 도움이 될거 같아요.

로쟈 2020-05-23 16:43   좋아요 0 | URL
네 파스칼 연구서는 희소하기도하구요.

모맘 2020-05-25 20: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겐 눈이 번쩍 뜨이는 책소개입니다 룰루랄라입니다~
파주의 이번 강의는 정~말,
잠시라도 이사가고 싶습니다ㅋㅋ
 

‘사라진 책들‘ 카테고리에 적는다. 어젯밤에 문득 생각이 나서 사회학자 정수복의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생각의나무)을 주문했다(절판본이라 중고로). 2007년에 초판, 2012년에 개정판이 나왔으나 현재는 모두 절판된 상태(출판사가 사라지면서 책도 같은 운명에 처했다). 소장본이긴 하지만 (장서가들의 애로사항으로) 찾을 수가 없다.

˝<의미세계와 사회운동>를 펴낸 정수복의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 탐구서. 근대 이후 한국 문화를 공유하는 구성원들 사이에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져 거의 의식되지 않는 상태에 있으면서 구성원들 의 행위에 일정한 방향을 부여하는 문화적 의미 체계의 흐름을 비판적으로 숙고하고 있다.˝

한국인론이나 한국문화론 관련으로 필독해볼 만한 책인데 출간시에는 숙독하지 않았다. 다시 찾는 건, 한국문학사 책들을 절판본까지 구해서 다시 들여다보면서 사회학자의 시각과 비교해보기 위해서다. 한국문학이 말하는 ‘한국인‘, ‘한국문화‘와 그 바깥의 시각으로 보는 ‘한국인‘, ‘한국문화‘가 어떻게 다른가 하는 것. 이병주와 박경리 관련서들도 그래서 모으고 있다. 강의가 없을 때는 강의와 무관한 책들을 수집한다. 장서가들이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라진 책들‘ 카테고리로 적는 페이퍼다. 서양 근대문학을 강의하면서 자연스레 근대혁명(영국, 프랑스, 러시아에서의 혁명)도 자주 입에 올리게 되고 관련서도 꽤 많이 갖고 있다. 그 가운데는 국내서도 포함돼 있는데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어도 희소하지는 않다. 그렇지만 근대혁명사 삼부작을 한 저자가 써낸 경우는 김민제 교수가 유일하다. 바로 ‘서양 근대혁명사 삼부작‘의 저자다. 그리고 이 책들이 현재는 모두 절판된 것으로 보인다.

영국과 프랑스, 러시아혁명을 다룬 삼부작의 제목은 각각 <영국혁명의 꿈과 현실><프랑스혁명의 이상과 현실><러시아혁명의 환상과 현실>이다. 약간씩 다르지만 각 혁명에 대한 긍정적 해석과 부정적 해석을 나란히 제시하고 있다는 게 삼부작의 특징이자 장점이다. 책의 초판은 1998년에 나왔는데 세 혁명에 관해 1997년까지 나온 논저들의 주장을 정리하고 있다는 점에서 책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물론 그로부터 20여년이 더 지났으니 지금 시점에서는 증보되어야 할 부분이 있을 터이다(그 작업이 가능할지 모르겠다). 그렇더라도 혁명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의 기본 근거에 대해서는 대중할 수 있다.

저자의 전공도 그렇고 또 희소성에 있어서도 그렇고 삼부작 가운데 가장 요긴한 책은 <영국혁명의 꿈과 현실>이다. 소위 ‘영국혁명‘(이 용어 자체가 문제적이어서 수정주의 학자들은 ‘영국 내전‘이란 용어를 쓴다고 한다)에 대한 책 자체가 드물기 때문이다. 올해도 영국문학 강의가 줄줄이 잡혀 있는 상황이라, 나로선 영국사와 영국인, 그리고 영국혁명에 관한 책들을 들여다볼 수밖에 없다. 책장에서 눈에 띄기에 다행스러워하며 페이퍼까지 적어둔다. ‘삼부작‘의 개정판이 나오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라진 책들‘ 카테고리에 적는다. 절판된 책들이어서. 지난가을부터 부쩍 강의에서 피카레스크소설에 대해 언급할 일이 잦았다. 그렇게 분류되는 작품을 많이 다루어서인데 자연스레 스페인산 피카레스크소설이 근대소설 형성과 발전사에 끼친 영향이 궁금했다. 대략적인 어림은 하고 있지만 이 분야의 책이 빈곤해서(특히 작품 번역) 좀더 깊이 있는 이해에는 형편이 닿지 않는다.

특히 독일 교양소설의 형성과정에 끼친 피카레스크소설의 영향이 궁금한데 강의에서는 가설적 설명으로 대체하고 있다(러시아문학에서도 다룰 수 있는 테마다. 가령 고골의 <죽은 혼>에 미친 피카레스크소설의 영향). 관련서가 전무했던 건 아니고 영문학자 이가형 교수의 <피카레스크 소설>과 서문학자 김춘진 교수의 <스페인 피카레스크소설> 같은 기초적인 연구서는 나와있었다(절판되어 유감이다). 이 분야의 업그레이드된 연구서가 나오면 좋겠다.

독일교양소설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독문학자의 저서가 두어 권 보이는 정도. 오한진 교수의 <독일 교양소설 연구> 같은 책이 대표적인데 20대에는 읽지 못했지만 지금은 전체를 가늠하며 읽을 수 있다. 영어로는 연구서가 몇권 있어서 보이는 대로 구입하고 있다.

이론적 쟁점 몇가지는 이렇다. 중세 로망스에서 근대소설로의 이행과정에서 피카레스크소설의 역할. 이것은 <돈키호테>와의 관계와 나란히 살펴야 한다. 로망스와 <돈키호테>의 관계, 그리고 <돈키호테>와 피카레스크소설의 관계. 그리고 영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에서의 피카레스크소설 수용. 특히 중요한 것은 독일에서의 수용과 교양소설의 탄생이다. 그리고 피카레스크소설의 유산. 19세기와 20세기의 대표적 피카레스크소설들의 성취와 의의에 대해서 살펴야 한다. 이런 정도의 궁금증을 풀어주는 책을 읽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안드레이 쿠르코프의 펭귄 이야기

13년 전 독서기록이다. 우크라이나 작가 안드레이 쿠르코프의 <펭귄의 우울>(솔출판사)을 소개하고 있는데 나도 다 읽지 않았다. 이후에 <펭귄의 실종>이 추가로 더 나왔지만 현재는 모두 절판된 상태다. 완전히 잊힌 작가라고 할까. 그래서 ‘사라진 책들‘ 카테고리에 넣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