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로쟈 > 다자이의 만년을 떠올리며

2년 전 페이퍼다. 마침 다자이의 <만년>(민음사)이 최근에 다시 나왔다(소화판으로 읽었던 번역이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리브해의 영국령 트리니나드 태생의 작가 V. S . 나이폴(1932-2018)의 대표작 가운데 하나인 <자유 국가에서>(민음사)가 새 번역본으로 다시 나왔다. 1971년 부커상 수상작. 2001년도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인 나이폴에 대해선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강의 때 초기작 <미겔 스트리트>(1959)를 다룬 적이 있다. 그때도 절판되지 않았다면 <자유 국가에서>를 골랐을 터였다(<자유 국가에서>가 <세계 속의 길>과 함께 번역됐지만 절판됐었다. <세계 속의 길>은 민음사판으로 재번역돼 나온다 한다). 


















나이폴은 제3세계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가운데 한명인지라 주요작이 번역되면 강의에서 읽어보려던 작가였다. <자유 국가에서>가 다시 나옴으로써 이제 때가 된 것(절판된 작품 중에서는 <흉내>도 다시 나옴직하다). 전체적으로 나이폴의 소설은 열네 편 가량이고, 그 가운데 8편쯤 번역됐다. 번역된 작품 가운데 강의에서 다룰 만한 작품을 연대순으로 나열하면 이렇다. 


















<미겔 스트리트>(1959)

<비스와스 씨를 위한 집>(1961)

<흉내>(1967)

<자유 국가에서>(1971)

<도착의 수수께끼>(1987)

<세계 속의 길>(1994)
















나이폴은 논픽션(여행기나 에세이)도 열댓 권 이상 남기고 있는데, 일부는 번역되면 좋겠다. 가령 카리브해 지역 탐방기인 첫번째 논픽션 <대서양 중간항로>. 


트리니나드 출생이지만 인도계 작가여서 나이폴은 다음 세대 작가인 살만 루슈디를 떠올리게 한다. 현대 영문학에서 독자적인 지분을 갖고 있는 인도계 작가들(파키스탄 포함)을 한데 묶어서 다뤄봐도 좋겠다 싶다. 남아시아문학? 동남아문학과 함께 내년쯤에는 다룰 기회가 있었으면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리스 레싱은 장편소설이 주종목인 작가이지만 적잖은 분량의 단편도 썼다. 그 가운데 20편을 수록한 단편선집 <19호실로 가다>(1994)가 국내에는 <19호실로 가다>와 <사랑하는 습관>으로 분권돼 나와있다. 작가 서문도 붙어있는 것으로 봐서는 대표 단편모음으로 볼 수도 있겠다. 선집의 초판은 1978년에 나왔고 레싱은 1994년판에 서문을 붙였다. 표제작 ‘19호실로 가다‘는 1963년 발표작이다(30년의 세월을 버텨낸 작품인 것).

레싱의 작품으로는 첫 장편 <풀잎은 노래한다>(1950)와 <마사 퀘스트>(1952), 그리고 대표작 <금색 공책>(1962)과 후기작 <다섯째 아이>(1988)를 강의에서 다뤄왔다. 지금 다룰 수 있는 작품의 대부분에 해당한다(SF소설 <생존자의 회고록>은 절판되었기에 다루지 못한다). 레싱 강의에서는 자연스레 작품을 어떤 순서로 읽을지에 대한 안내도 덧불이는데, 보통은 장편을 중심으로 소개해왔다. <금색 공책>에 대한 워밍업으로 <풀잎은 노래한다>나 <마사 퀘스트>를 추천하는 식이다.

그렇지만 <금색 공책> 같은 소설이 국내에서 (영국에서처럼) 베스트셀러가 되기는 어려울 것 같다(조지 엘리엇의 <미들마치>가 한국 독자들에게 읽히길 기대하기 어려운 것처럼). 그래서 생각해본 차선의 경로가 단편집들과 함께 <다섯째 아이>를 읽는 것이다(속편 <세상 속의 벤>도 번역돼 나오길 기대한다). 특히 ‘19호실로 가다‘는 여러모로 <다섯째 아이>와 비교될 수 있다. 행복한 중산층 가정을 꾸리려던 부부가 각각 네 아이까지 키우거나 낳은 다음에 부닥친 문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레싱은 그들 부부의 꿈을 절망으로 만든다.

이 두 가지 경로가 현재로선 레싱 읽기의 선택지라고 생각한다. 아무리 다작의 작가라 하더라도 우리는 주어진 번역본 내에서 읽을 수밖에 없겠기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번주에 나온 에세이 <우연한 생>(지식의편집)의 부제다. 저자는 앤드루 밀러라는 미국대학의 영문학 교수로 빅토리아시대의 영문학이 전공분야라 한다. 분야와 이력만으로는 번역된 배경을 가늠하기 어렵다(독자가 제한적일 것이기에). 그렇지만 나로선 숨은 보석(너무 흔한 비유지만)을 발견한 기분이 들었고 바로 주문했다(사실 그의 연구서들에도 관심이 있다).

˝로버트 프로스트부터 샤론 올즈까지, 버지니아 울프에서 이언 매큐언까지.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평론가 앤드루 H. 밀러는 시, 소설, 영화, 철학, 심리학 등 세심하게 선별된 현대적 텍스트들을 통해 우리의 개별적이고, 불완전하고, 우연한 삶의 아름다움과 의미를 탐색한다.˝

책의 원제는 ‘On Not Being Someone Else‘이다. 번역본의 부제(우리가 살지 않은 삶에 관하여)가 염두에 둔 것. 직역하면 ‘우리가 다른 누군가가 아니라는 사실에 관하여‘쯤 될까. 랭보적 변주로는 ‘삶은 다른 곳에‘. 양자역학적 변주로는 ‘내가 이곳이 아닌 다른 곳에 존재할 확률에 관하여‘.

오늘 저녁엔 ‘우연한 생‘에 대한 성찰과 마주해볼 수 있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빛과소금 2021-07-24 10: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성으로서 우아함.. 아름다움은 갈망하는 단어들입니다.
삶에 대한 깊이있는 성찰도 할 수있겠군요.
요즘 코로나 때문에 책 한권 사는 것도 참 많이 생각하고 고민하며 사게됩니다.
되도록 도서관에서 빌려 읽는 편이구요.
이 책도 갈등하게 하는 책이군요.^^

로쟈 2021-07-26 12:24   좋아요 0 | URL
도서관에 주문하시면 될듯.^^
 
 전출처 : 로쟈 > 김소월 평전을 기다리며

3년 전에 적은 페이퍼다. 기다린다고 한 평전은 여전히 소식이 없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블루마블 2021-07-15 23: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집단지성의 힘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진달래 시집 자체가 미스터리하잖아요. 뭔 이본이 그리 많은지. 북한에 혹시 다른게 남아있지 않을까하는 기대도 하게 되고요.

로쟈 2021-07-16 21:04   좋아요 0 | URL
북한에서라도 평전이 나왔다면 좋을 텐데 그렇진 않은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