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81 | 18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며칠 전에 우연히 황동규 시인의 예전 인터뷰를 읽고서 검색해보다가 <시가 태어나는 자리>(문학동네, 2001)라는 산문집이 눈에 띄어 주문했다. 대부분의 책을 갖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구매내역에 없어서였다. 오늘 같이 주문한 시선집과 받아보니 <나의 시의 빛과 그늘>(중앙일보, 1994)의 개정판이다. 한편의 글만 새로 추가돼 있으니 거의 읽은 셈인 책. 그래도 20년도 더 전에 읽었으니 다시 읽어볼 만하다. 책은 드문 종류의 '자작시 해설'이다.  

 

 

같이 주문한 시선집은 <삶을 살아낸다는 건>(휴먼앤북스, 2010)이다. 이미 두 권으로 묶인 시전집도 갖고 있지만(물론 손에 바로 쥘 수 없는 형편이다) 가볍게 손에 들 수 있는 걸로는 시선집이 요긴하다. 애초에 처음 읽은 황동규 시집도 <삼남에 내리는 눈>(민음사, 1975)이었다. 대학 1학년 때로 기억되니 거의 30년 전이다. 민음시인총서의 시집들이 내게 첫 한국시 읽기였다(교과서에서 나온 시들과 김소월, 윤동주 시집을 제외하고). 지금은 대부분 빛이 바랜 상태라 재작년에 몇 권은 바뀐 표지로 다시 구입했는데, 확인해보니 <삼남에 내리는 눈>은 빠진 모양이다. 조만간 구입해볼 참이다.

 

황동규 시의 의의란 무엇인가? 초기 시에 한정하면, 시인 자신의 자평이기도 하고 시선집에 해설을 붙인 이숭원 교수의 복창이기도 한데, 그 의의는 '최초의 현대적 사랑시'라는 데 있다.

"초기의 사랑 시는 김소월, 한용운, 서정주 등의 연시와는 다른, 새로운 감성의 현대적 연애시를 창조했고, 사랑을 주제로 한 연작을 통해 황동규만의 독특한 '사랑노래' 양식으로 정착되었다."(이숭원)

'즐거운 편지'가 널리 알려져 있지만, '기도' 같은 초기 시에서도 읽을 수 있는 이런 대목들.

내 당신은 미워한다 하여도 그것은 내가 당신을 사랑하는 것과 마찬가지였습니다. 당신이 나에게 바람 부는 강변을 보여주면은 나는 거기에서 얼마든지 쓰러지는 갈대의 자세를 보여주겠습니다.

한국시에서 '모던 러브', 최초의 현대적 사랑이라는 게 있다면 그것은 강변에서 쓰러지는 갈대의 자세가 보여주는 사랑이다.

 

 

요즘의 무더위와는 관계가 없는 자세이긴 하군...

 

16. 07. 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근에 나쓰메 소세키 소설전집(현암사)이 완간된 데 이어서 이와나미 신서 시리즈로 <강상중과 함께 읽는 나쓰메 소세키>(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2016)도 출간됐다. 일본의 국민작가로 볼리는 간판급 소설가인 만큼 국내외 연구자들의 책이 좀 나와 있는데, 그래도 진지하면서도 비교적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으로는 유력하다. 사실 <고민하는 힘>의 독자라면 그의 나쓰메 소세키론도 구면일 테지만. 오쿠이즈미 히카루의 가이드북 <가뿐하게 읽는 나쓰메 소세키>(현암사, 2016) 다음으로 읽어봐도 좋겠다.

 

 

가이드북이라고 하지만 모든 작품을 다 다루는 건 아니다. <가뿐하게 읽는 나쓰메 소세키>도 단편(집)을 제외하면 8편의 장편이 독서 대상이다. <강상중과 함께 읽는 나쓰메 소세키>는 5편이다. 데뷔작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와 전기 삼부작(<산시로><그 후><문>), 그리고 <마음>.

 

 

 

이번에 나온 소세키 소설전집 4차분이 바로 <마음>부터 <한눈팔기><명암>까지 마지막 세 작품이다. <명암>은 미완성 유작.

 

 

<한눈팔기>는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에도 포함돼 있고 이전에 몇 번 나왔던 작품. 그렇게 세계문학전집판으로도 나와 있는 대표 작품으로는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와 <그 후>를 꼽을 수 있다. 어림에 한국인이 가장 많이 읽는 작품은 <도련님>,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마음> 순이지 않을까 싶다(일본에서도 이 세 작품이 유력해 보인다).

 

 

나쓰메 소세키의 작품은 예전에 <도련님>과 <마음>을 문예출판사판으로 강의에서 다룬 적이 있다. 사후 100주년 기념판으로 현암사판 전집도 완간된 김에 올 하반기에는 더 많은 작품을 강의에서 읽어보려고 한다. 현재 기획으로는 판교현대백화점에서 5강(5작품), 이진아도서관에서 8강(10작품)을 진행할 예정이다. <강상중과 함께 읽는 나쓰메 소세키>는 내게도 유익한 길잡이다...

 

16. 07. 17.

 

 

P.S. 강상중 교수의 신작으로 <구원의 미술관>(사계절, 2016)도 이번에 출간되었다. "<구원의 미술관>은 지은이가 일본 NHK 방송사에서 40년째 이어지고 있는 인기 프로그램 '일요미술관'을 진행하며 만난 예술 작품에서 출발하여, 오늘날 현기증이 날 정도로 혼란한 세상에서 현대인은 어디에 두 발을 딛고 살아가야 하는지, 우리는 무엇으로부터 살아갈 이유와 용기를 얻을 수 있는지를 잔잔하지만 단단하게 풀어 쓴 작품이다." 얼추 서경식의 미술 순례를 떠오르게 하는 책이다. 자연스레 비교가 될 듯싶다.

 

한편 강상중의 소세키론의 핵심에는 <마음>론이 있는데, 그 '마음'을 키워드로 한 책들이 <마음의 힘>(사계절, 2015)과 소설 <마음>(사계절, 2014)이다. 소세키의 <마음>을 다시 읽으면서 강상중의 <마음>론도 되짚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란츠 카프카가 가족 가운데 가장 절친했던 막내 누이 오틀라에게 보낸 엽서와 편지가 다시 나왔다. <그리고 네게 편지를 쓴다>(솔, 2016). '다시' 나왔다고 한 건 <카프카의 엽서>(솔, 2001)란 제목으로 이미 나왔던 책이기 때문이다. 15년만에 표지와 제목을 바꾸어 재간된 것인데, <카프카의 엽서>는 당초 '카프카 전집'(전10권)의 한 권이었다(전집의 마지막 10권이다).

 

 

약간 어색하게도 <카프카의 엽서>는 아직 품절되지 않았다. 절판시켰지만 재고가 좀 남아 있는 모양이다. 그래서 포장만 바뀐 동일한 책이 나란히 진열되게 생겼고 모르는 독자라면 서로 다른 책으로 오인할 수도 있겠다.

 

새 장정으로 출간된 것 자체에 시비를 걸 일은 아니나 여전히 미완인 '카프카 전집'에 대해서는 유감의 말을 적지 않을 수 없다. 10권이 최종권이 아니었고, 결국 이 빠진 전집의 모양새로 방치돼 있는 게 소위 '카프카 전집'이다. 애초에 작품전집만을 기획해서 꾸렸다면 사정이 좀 나았을 것이다. 그건 5권으로 완간됐기 때문이다.

 

 

 

그 5권의 전집이란 1권(단편전집), 2권(잠언, 유고집), 그리고 세 권의 미완성 장편소설(<소송><실종자><성>)을 가리킨다. 1권은 <변신>, 2권은 <꿈 같은 삶의 기록>이란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문제는 편지와 일기를 묶은 이후의 5권이다. 처음에 예고된 전집 목록에 따르면 6권은 카프카의 일기이고, 7-9권이 카프카의 편지, 그리고 마지막 10권이 누이에게 보낸 카프카의 엽서였다. 편지는 분량이 워낙 많아서 세 권으로 분권한 것.

 

 

그런데 실제로 출간된 건 전집 6권으로 나온 <행복한 불행한 이들에게>(솔, 2004), 9권으로 나온 <카프카의 편지>(솔, 2002), 그리고 10권으로 나온 <카프카의 엽서>, 세 권뿐이다. 일기 한 권과 편지 한 권이 빠진 채 전집이 흐지부지되었다. 가제로 보자면 <카프카의 일기>와 <밀레나에게 보내는 편지>가 마저 출간되어야 하지만, 역자나 출판사 쪽에서는 미완으로 남겨놓는 게 더 '카프카적'이라고 생각하는 건지도 모를 일이다. 이 책을 다 구입한 독자로서는 분통 터지는 일이지만.

 

 

그나마 밀레나에게 보낸 편지는 <카프카의 편지: 밀레나에게>(지만지, 2014)와 <밀레나에게 보내는 편지>(범우사, 2003), 두 종으로 번역본이 나와 있다. 일기는 <꿈>(워크룸프레스, 2014) 같은 책에 일부 발췌돼 있는 정도.

 

2010년 완간이 예정돼 있었지만 아직도 미완으로 남아있는 '톨스토이 문학전집'(작가정신)처럼 유사한 사례가 좀 더 있다. 그에 비하면 최근에 14권 전집으로 완간된 '나쓰메 소세키 소설전집'(현암사)은 아주 모범적이다. 카프카나 톨스토이 같은 작가도 번듯한 전집으로 읽을 수 없는 상황이 유감스러워 몇 마디 적었다... 

 

16. 07. 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두 권의 앤솔로지 제목이다. '아시아 베스트 컬렉션'으로 나온 <물결의 비밀>(아시아, 2016)은 계간 <아시아>에 10년간 발표된 작품 가운데 12편을 모은 선집이다. '아시아문학선'의 15번째 책이기도 한데, 이 시리즈는 중국문학도 포함하고 있지만 타이완과 베트남, 인도, 아랍 지역의 문학까지 포괄하고 있다.

 

 

작품의 성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한 작가/작품이 대다수다. 세계문학 강의를 계속 진행해오고 있는데, 어느 정도 가늠이 되면 이 '아시아 문학선'에서도 문제적인 작품들을 골라 강의에서 다루고 싶다(2-3년쯤 후면 가능하지 않을까 싶다).

 

 

'아시아문학선'은 <물결의 비밀>을 제외하고 현재까지 13권이 출간돼 있는데(14권이 아직 나오지 않았다), 그 가운데 인도 뭄바이 출신의 작가 로힌턴 미스트리의 작품이 세 편이다. 지금은 캐나다에서 전업작가로 활동하고 있는데, 인도 출신의 살만 루슈디 작품을 오늘도 강의에서 다룬 터라 미스트리의 작품에도 관심이 간다(루슈디는 '세계문학'이고 미스트리는 '아시아문학'인 것인가? 연배는 큰 차이가 나지 않는데, 루슈디가 1947년생, 미스트리가 1952년생이다). 데뷔작 <그토록 먼 여행>부터 <적절한 균형>, <가족 문제>까지 가족 삼부작이 모두 번역돼 있다.

 

 

또 다른 앤솔로지는 현역 영미 작가들의 단편집이다. 23명의 작가가 참여했고, 편집은 제이디 스미스가 맡았다. 

"우리 시대 대표적인 영미 작가 23인이 한데 모여 획기적인 단편집 프로젝트를 벌였다. <엄청나게 시끄럽고 믿을 수 없게 가까운>의 조너선 사프란 포어, <클라우드 아틀라스>의 데이비드 미첼, 영국 최고의 이야기꾼 닉 혼비, 영화 [미 앤 유 앤 에브리원]의 감독이자 전방위 예술가인 미란다 줄라이, <브루클린>의 콜럼 토빈 등이 개성 넘치는 단편을 썼다. 미국을 대표하는 두 만화가 대니얼 클로즈와 크리스 웨어가 그래픽 노블을 선보였고, 데뷔작 <하얀 이빨>로 전 세계 문단의 주목을 받은 작가 제이디 스미스가 편집자로 나섰다."

엄밀한 구획은 아니지만 여하튼 지역적으로 '아시아문학'과 '영미문학'의 현단계를 보여주는 단편집들로 읽어봐도 좋겠다. 제이디 스미스의 <하얀 이빨>은 명성이 자자해서 구입은 해놓았는데, 언제쯤 읽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 살만 루슈디는 이렇게 평했다. "놀랍도록 보증할 만한 데뷔작이다. 재미있고 진지하며 표현에는 진정한 작가적 특색이 담겨 있다. 나는 너무나 즐겁게 <하얀 이빨>을 읽었고 여러 번 감동받았다. 이 소설에는 통렬함이 있다." 제이디 스미스는 '새로운 살만 루슈디'로도 불린다는데, 어떤 근거에서일까 궁금하다...

 

16. 07. 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슷한 의미로 보이는데, 제목이 다르니 또 '그런가?' 싶은 책들이다. '삶의 의미(Meaning of Life)' 시리즈로 나온 존 메설리의 <인생의 모든 의미>(필로소픽, 2016)와 우에다 노리유키의 <살아가는 의미>(일토, 2016).

 

 

'삶의 의미' 시리즈는 <빅 퀘스천>과 <카뮈, 침묵하지 않는 삶>, 두 권에 대한 해제를 쓴 인연으로 내게는 친숙하다. 이번에 나온 존 메설리의 책이 가장 두꺼운 듯싶은데, 그게 제목에도 반영돼 있어서 그냥 <인생의 의미>가 아니라 <인생의 모든 의미>다. 부제도 '삶의 의미에 대한 101가지 시선들'이고. "우리 시대의 주요 철학자, 과학자, 문필가, 신학자들이 삶의 의미에 관하여 쓴 100여 가지의 이론과 성찰들을 체계적으로 분류, 요약, 정리한 책이다." 말하자면 '삶의 의미'라는 주제 사전 정도로 생각할 수 있겠다.

 

 

찾아보니 우에다 노리유키는 문화인류학 전공이고, 이미 두 권의 책이 소개된 저자다. <종교의 위기>(푸른숲, 1999)와 <한달 뒤에 보자>(정신세계사, 2001)가 그것인데, 15년만에 10년 전에 나온 <살아가는 의미>(2005)가 번역돼 나온 특별한 사정이 있는지는 모르겠다(이건 어떤 검색 시스템이 작동하는 걸까?). 앞서 나온 두 책이 모두 절판된 걸 고려하더라도. 국내 출판사들이 일본의 교양서들을 거의 저인망 수준으로 긁어대는 것일까? 

"우리는 살아가는 의미에 대하여 계속 생각하며 살아 왔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다른 사람의 눈을 의식한 성적과 학교, 직장 이름, 연봉과 같은 숫자에서 그 의미를 찾고 있었는지 모른다. 문학인류학자인 저자 우에다 노리유키는 살아가는 의미의 상실을, 거품경제가 붕괴한 후 일본의 사회 상황과 함께 설명한다. 더불어 어떻게 하면 자신의 인생을 창조적으로 설계해 갈 수 있는지를 제안하고 있다."  

하긴 거품경제 붕괴 이후 일본의 상황이 지금의 우리와 닮은 꼴이어서 10년 전 일본사회를 진단한 책들이 의미가 있는 건지도 모르겠다.

 

 

사실 찾아보면 이 분야의 책으로 분류할 수 있는 국내서가 없지 않다. 이외수, 하창수의 대화록 <먼지에서 우주까지>(김영사, 2016) 같은 인생론뿐 아니라, 윤대녕의 <칼과 입술>(마음산책, 2016) 같은 '맛 산문집'도 '살아가는 의미'에 해당할 테니까. 부제가 '우리를 살게 하는 맛의 기억 사전'. <어머니의 수저>를 다시 펴낸 것인데, "이 책은 열 가지 맛의 기억 사전 형식을 빌려 우리나라 음식의 기본이라 할 된장, 간장, 고추장, 김치, 장아찌, 젓갈부터 소, 돼지, 닭 그리고 갖가지 생선, 술, 제주도와 섬진강의 먹을거리 등을 정갈하고도 맛깔나게 써내려간 윤대녕 작가만의 풍미 가득한 산문집이다." 하긴 우리말에서 '맛'과 '의미'는 동의어이므로 <인생의 의미>란 <인생의 맛>이로군...

 

16. 07. 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81 | 18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