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에는 한해를 회고하고 정리하는 페이퍼를 적고, 연시에는 새해의 계획과 다짐을 적어야 마땅하겠지만, 어제는 제야의 종이 울리기도 전에 잠이 들었고 오늘 아침엔 해가 진작 뜬 다음에야 일어났다(핑계는 설연휴가 있다는 거). 새해인사를 몇건 나눈 걸 제외하면 어제오늘의 분간이 없다는 생각에 굳이 경계선을 그어보려는 페이퍼다.

지난해 뚜렷한 행적이라면 지중해문학기행(4월)과 프랑스문학기행(11월)을 다녀온 일. 각각 열흘간의 일정이었지만 준비과정(기간)을 고려하면 거의 연중이었다고 해도 무방하다. 모든 사건은 여파와 여진과 여운을 남기는데, 연말에 카잔차키스 학회(카잔차키스의 친구들) 발표회에서 <토다 타바>에 대해 발표한 게 그에 속한다. 지난해에는 <일리아스>와 <오뒷세이아> 새번역도 나와서 그리스 고전 쪽으로도 한매듭(종결과 시작)이 지어진 것 같은 느낌이다.

그런 분위기에 편승할 궁리를 해보다가 이번봄에는(중유럽문학기행을 다녀와서) 플라톤의 <향연>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새번역본이 추가되었다) 읽기를 다시 진행해보기로 했다. 그리스 비극 전작 읽기도 생각해보았지만 조금 더 숙성의 과정을 거치기로 했다(지난해 세네카 비극전집이 나온 것도 고무적이다. 기회가 되면 연속해서 다뤄도 좋겠다. ‘그리스로마 비극 읽기‘로).

아테네에서 문명의 아침이 시작됐다고 했던가. 아테네의 여명(석양인지도 모르겠지만)을 새해아침의 이미지로 고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의 공지다. 내년 3월 중유럽문학기행(3월 25일-4월5일) 준비를 겸하여 2월과 3월에 '중유럽문학기행' 강의를 진행한다. 현재 진행중이거나 진행예정인 작가들(카프카, 차페크, 제발트, 무질 등) 외에 슈니츨러와 츠바이크, 그리고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관련서들을 읽는 일정이다. 7주에 걸쳐서 진행되며 구체적인 일정은 아래와 같다(유료강의이며 강의 문의 및 신청은 010-9922-3193 정은교).


로쟈의 중유럽문학기행


1강 2월 06일_ 전원경, <클림트>



2강 2월 13일_ 맹정현, <프로이트 패러다임>



3강 2월 20일_ 아르투어 슈니츨러, <꿈의 노벨레>



4강 2월 27일_ 아르투어 슈니츨러, <라이겐>



5강 3월 05일_ 슈테판 츠바이크, <초조한 마음>



6강 3월 12일_ 슈테판 츠바이크, <어제의 세계>



7강 3월 19일_ 존 루카스, <부다페스트 19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우리는 왜 한나 아렌트를 읽는가

5년 전 리뷰다. 아렌트 읽기도 좀 밀려 있다. 두툼한 책이 몇권 추가되었기에. 언제 시간이 나려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로쟈 > 누구를 위한 정의인가

13년 전 리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강의 공지다. 내년부터 금요일 오전에 '인문클럽' 강좌를 진행한다. 주로 홀수주 금요일 오전(10시-12시)에 진행하는 비대면 강좌다. 첫 시즌 강의는 헝가리의 대표적 철학자와 예술사학자, 루카치와 하우저 읽기다(두 사람은 부다페스트 '일요서클'의 멤버들이기도 하다). 주제는 근대예술사와 근대소설론이며, 구체적인 일정은 아래와 같다(유료강의이며 문의 및 신청은 010-9922-3193 정은교).


루카치의 소설론과 하우저의 예술사 


1강 1월 05일_ 하우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3>



2강 1월 19일_ 하우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4>



3강 2월 02일_ 루카치, <소설의 이론>(1)



4강 2월 16일_ 루카치, <소설의 이론>(2)



5강 3월 01일_ 루카치, <소설의 이론>(3)



6강 3월 15일_ 루카치, <삶으로서의 사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