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스하기 전에 우리가 하는 말들
알랭 드 보통 지음, 이강룡 옮김 / 생각의나무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아무도 이야기하지 않는 사소한 것들에 관한 전기. 를 쓰는 사람은 누구일까?

여기, 이 책에서 보통은 일반적으로 전기작가들이 쓰지 않는 사소한 것들에 관하여 고찰하고, 전기작가가 자신의 위인으로 선택하지도 않을 평범한 시민에 관한 전기를 쓰고자 한다. 이사벨이라는 여성에 대한 전기. ( 그는 끝까지 전기 작가로서의 자신을 내새우고 있다) 이 책은 '전기' 가 아니라, '전기'를 쓰고자 하는 작가의 이야기이다. 그런고로, 중간중간 굉장히 뜬금없이 문장이 넘어가서 ( 정말 그런걸까? 못내 미심쩍은 나는 원서를 주문해버린다. ) 좀 거슬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보통은 그의 다른책에서처럼 '연애' 와 '철학'과 '문학'을 자알 버무리고 있다. 

 이 책에서 '연애'는 뒤로 숨은 배후조종자. '철학'과 '문학'은 이야기를 풍부하고 감칠맛나게 해주는 양념, 그리고 책의 앞에는 오로지 '전기' . '전기를 쓰고자 하는 남자'와 이사벨이라는 여자가 있을 뿐이다.

거짓말도 너무 능숙하면 진짜같다. 보통의 책을 읽을때마다 나는 픽션과 논픽션의 경계를 잊고 책에 빠져들게 된다.... 그거는 그거고, 책의 판형은 정말 잡고 읽기 불편하다. 걸어다니면서 읽기도, 앉아서 읽기도, 누워서 읽기도 불편한 정사각스러운 판형. 표지도 시류만 탄것 같아서 맘에 안든다. 보통의 책은 가볍게 읽을 수 있고, 읽고 있으면 무식해보이지는 않는 커피테이블 책이라고 생각하긴 하지만, 책의 디자인보다는 읽기에 편한 책을 만들어 줬음 하는 소망이다!

덧붙임 : 중간에 이사벨에 관련된 어릴적 사진부터, 남자친구들의 사진( 괜찮은 아이디어다), 그리고 가족, 가장 친한 친구의 사진등이 컬러로 삽입되어 있다. 책 읽으면서 중간중간 남자친구들 얘기 나올때마다 사진으로 체크업 해주면서 봤다. 흐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일본인 아티스트 나라 요시토모가 자신의 공식 사이트 www.happyhour.jp에 게재해 온 일기를 그림과 함께 엮어낸 책이다. 1999년 8월부터 2000년 11월까지 독일의 아틀리에에서 쓴 일기와 60여 점의 미발표 드로잉을 수록하고 있다.

나라 요시토모가 40대 중반의 '소년'으로서 어떻게 하루하루를 살아왔는지 엿볼 수 있다. 도한 유머와 우울, 순수와 악마성이 공존하는 그의 캐릭터들이 어떤 고민 끝에 나오게 되었는지도 이해할 수 있다. 나라의 일기와 그림이 지닌 정서를 차분하게 담아내고 있는 북 디자인 또한 신선하다.

지은이의 글쓰기는 일상의 기록이었다가 시(詩)가 되기도 하고, 낙서처럼 끄적이거나 기행문 혹은 반성문이 되기도 한다. 각 문장 속에는 전투라도 벌이는 듯 치열한 자의식과 예술에 대한 애정이 깊이 배어 있다.

예술에 대한 그의 애정은 인간에 대한 이해와 사랑에 뿌리를 두고 있는 듯하다. 자아 속에 함몰해 있다가도 불쑥 떠오르는 주변인에 대한 고마움으로 고개를 숙이고, 때로는 세계에 대한 큰 꿈까지 이야기하는 나라 요시토모. 그처럼 언제나 삶에서 길어 올린 리얼리티에 근거를 두고 있기에 그의 그림은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인다.
 
 
요시토모의 책은 곱게 비닐포장되어 안의 내용을 볼 수 없다.
이 책도 앞의 미농지표지가 예뻐 덜컥 샀다가 안에 그림보담은 글씨가 ( 일본어) 너무 많아서 절망했던 책 중 하나이다.
 
이번에 번역 되어 나온 것은 아무래도 이번 전시 덕분?
 





 
 



   
 
 

개관시간 (6월 17- 8월 21)
화요일~일요일 10:00~18:00 (매표마감 17:30) ※ 월요일 휴관

입장요금
일반 5,000원 (대학생·일반)
학생 3,000원 (초·중·고등학생)
20인 이상 단체 할인

전시설명 프로그램
평일 2회(14:00, 16:00) / 주말 3회(11:00, 14:00, 16:00)
문화자원봉사 도슨트(docent)가 관람객에게 전시작품을 설명합니다.

작가 강연회
일시 2005년 6월 18일 (토) 오후 2시~5시
장소 삼성생명 국제회의실(구 시넥스)

관객 참여 프로그램
관람객이 직접 작품을 해석하고 활동하는 참여 프로그램입니다.

위 치
태평로 삼성생명빌딩 1층 (구 동방플라자)

교통편
지하철 1, 2호선 시청역 하차, 8번 출구 (남대문 방면)에서 도보로 약 3분
버   스 시청경유 전노선, 시청 또는 삼성본관 앞 하차
승용차 삼성플라자 주차장 이용, 주차권 발급 (1시간)

주 소
서울시 중구 태평로 2가 150 삼성생명빌딩 1층 100-716
Tel 02-2259-7781~2 Fax 02-2259-7795
http://www.rodingallery.org

   
 
 

전시개요
나라 요시토모의 작업은 대중 문화의 정서를 바탕으로 일본과 서양미술사를 아우르는 예술 전통에 대한 애착, 한적한 시골에서 보낸 어린 시절의 추억, 청소년기부터 심취해온 저항과 자유를 노래하는 펑크 등을 포괄하는 그의 폭넓은 관심을 담고 있다. 그의 예술은 장르와 영역의 경계를 초월한 현대미술의 한 특성을 보여주며, 그는 대중문화를 성공적으로 포용한 일본 현대미술의 대표작가로 최근 세계 미술계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한국에서 열리는 첫 개인전인 이 전시를 통해 나라 요시토모는 숨가쁘게 달려온 지난 20년 간의 활동을 돌아보고자 한다. 이는 한때는 소중했지만 잊혀졌던 옛 물건들을 서랍 속에서 꺼내 보듯, 과거의 자신을 통해 현재를 돌아보고 미래를 위한 힌트를 얻고자 하는 마음인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1980년대 중반 이후 최근작까지 망라하는 이 전시는 회화와 조각들은 물론, 즉흥적이고 자유분방한 드로잉과 사진 등 다양한 작업이 포함되었다. 이번 전시는 우리 나라에서 오히려 삽화와 캐릭터로 먼저 알려진 나라 요시토모를 진정한 미술가로서 이해하고 그의 예술 세계를 느낄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것이다.

나라 요시토모의 아이들
불만 가득한 심술궂은 표정으로 우리를 노려보는 꼬마들이 지금 전 세계인을 매료시키고 있다. 괘씸할 법도 하지만 사실 이 아이들은 너무도 사랑스럽다. 작가는 자신의 감각을 일깨운 첫 경험들을 돌이켜볼 때 어린 시절로 돌아가게 되어 어린이를 그리게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반항심, 고독함, 막연한 두려움 등이 읽히는 아이들의 표정에서 어른이 된 우리 마음 속에 늘 교차되는 복잡 미묘한 감정의 흐름을 볼 수 있다.

나라의 드로잉들
나라 요시토모는 캔버스회화나 입체작품과 달리 드로잉을 통해 즉흥적이고 자발적인 창작 에너지를 표출한다. 그의 드로잉은 단순히 밑그림이라기보다 걸러지지 않은 그의 일차적인 예술의지를 담고 있으며, 마치 그의 독백이나 일기와 같다고 할 수 있다. 이번 전시에는 1984년부터 2005년까지 작가가 그린 드로잉 중 122점이 출품되었다.

서울하우스
나라 요시토모는 서울에서 열리는 개인전을 기념하여 전시장에 특별한 집을 만들었다. 작가가 디자인 그룹 graf팀과 함께 만든 이 집은 전시장 벽면과 마찬가지로 낡은 판자로 만들어져서 마치 오래된 오두막 같은 느낌이다. 관람객은 이 집에 직접 들어가 그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고 작가가 작업했던 작은 방도 구경할 수 있다. 특히 맨 윗 층의 작은 발코니에 올라선 관람객은 뜻밖의 진기한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굼 2005-06-16 07: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퍼갈게요: )

마냐 2005-06-16 19: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헤헤. 오늘 착한 후배로부터 입장권 상납받았어요....랄랄라, ^^;;

하이드 2005-06-16 21: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맛, 좋은 후배!

chika 2005-06-17 17: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퍼갈꺼예요.
그니까.. 노트는 그림책이 아니라 글자공책이라는 말이지요? ㅡ.ㅡ
 

5월에 주문한건 아직 쉬핑도 안되었다. 7월 23일경에 쉬핑 예정일이다. 8월 20일경 도착한다. 생일선물이라도 되는겁니까? 무려 3달여에 걸친 출고작업은 월요일에 알라딘에서 주문한 책들이 '출고작업중' 이라도 이 꾹다물고 참게 만드는 좋은점이 있다. 고 해야하나?

Shipping estimate: June 22, 2005 - June 27, 2005
Delivery estimate: July 12, 2005 - July 26, 2005

심지어, 5월에 주문한거 출발하기도 전에 도착하겠군.

그러니깐 오늘 주문한 것들은

 마르틴 벡 시리즈-. roseanna

 마르틴 벡 시리즈 - the man on the balcony

마르틴 벡 시리즈 - the man who went up in smoke

 Sviatoslav Richter : Notebooks and Conversations

 알랭 드 보통  - romantic movement

 알랭 드 보통  - kiss and tell 분명 amazon.co.uk에서 산 것 같은데, 아무리 찾아도 없다.

 일단 궁금한 부분이 있으므로 다시 사 보기로.

Status Anxiety 알랭 드 보통 Status Anxiety

보통에 체하는거 아닌가 싶긴 하지만, 마지막 책은 정말 재미있어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자살 토끼를 능가하는 '죽은 고양이 사용설명서' 라는 선전으로 메인에 떠 있다.

'자살 토끼'는 때로는 끔찍하지만, 그래도 뭔가 현실을 꿰뚫는 자학적 유머가 있었다.

그러나 이 책 '죽은 고양이 사용 설명서' 는 역겹고 소름끼친다.




<자살토끼>의 토끼는 살아있지만 죽으려고 노력했지만, <죽은 고양이 사용설명서>의 고양이는 이미 죽어있다. 게다가 이 고양이는 죽은 후에도 바쁘기 짝이 없다. 작가의 펜대, 객실칸의 연결고리, 수세식 화장실의 물내리는 손잡이 등으로 새롭게 태어나기 때문이다.

전반에는 주로 이처럼 고양이의 온갖 특징을 이용한 기상천외한 활용법이 소개되었다면, 후반에서는 타임머신을 타고 역사의 한 장면으로 들어간 죽은 고양이를 만나볼 수 있다. '브루투스, 너마저!'를 외치는 카이사르의 손, 골리앗과 대적한 다윗의 주먹에 잡힌 그것은 모두 죽은 고양이이다. 간혹 카툰을 보고 동물학대를 염려하는 이에게 작가는 '자신은 실제로는 고양이를 아주 좋아한다'고 강조한다.




사이먼 본드 - 1947년 뉴욕에서 태어났다. 1965년부터 1968년까지 영국 웨스트 서섹스 대학 예술디자인과를 다니다가 1970년 건강상의 문제로 미국으로 돌아갔다.

Saturday Evening Post, Esquire, National Lampoon, Men Only, Vole 등 여러 매체에 카툰을 기고했다. 1982년 영국 Punch와 Private Eye 등에 프리랜서로 카툰을 발표했따.

1981년부터 '죽은 고양이' 시리즈를 발표하며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다. 이 책의 원제는 'Complete Uses of a Dead Cat'으로, 저자의 작품집 세 권을 묶어 2001년 20주년 기념판으로 낸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200만 부 이상이 판매되기도 했다. 작가는 실제로는 고양이를 아주 좋아한다고 한다.













댓글(9) 먼댓글(1) 좋아요(2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영엄마 2005-06-15 07: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윽.. 그러게요. 발만 잘라서 사용하는 그림보니 헉~입니다..@@;;

진주 2005-06-15 09: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재봉핀을 잔뜩 꼽고 앉은 것도 허~윽 입니다요@@

moonnight 2005-06-15 10: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너무 무서워요. ㅠㅠ

물만두 2005-06-15 10: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

클리오 2005-06-15 11: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동물학대.. 염려가 아니라 현실입니다... 엽기카툰... 흑..

마냐 2005-06-15 17: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성격이 뭔가요. 정말 엽기네요...-,.-

실비 2005-06-15 21: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편으론 불쌍하다는 생각이.^^;

더마릴라 2005-06-15 21: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책 뒷 표지에 적힌
'너무 재밌다' 등등을 보고 서점에서 사왔는데
흑흑 ㅠㅠ 후회 됩니다.
앞으로 책 뒷 표지의
'재밌다' 등등의 홍보 문귀에는 속지말아야겠다.
혼자 다짐했습니다.


해적오리 2005-06-16 12: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끔찍, 끔찍...
 
나 이뻐?
도리스 되리 지음, 박민수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8월
평점 :
품절


Keiner liebt mich ( 누구도 나를 사랑하지 않아 /한국제목 : 파니핑크) , Bin Ich Shoen? ( 나 이뻐?) 제목에서부터 물씬 풍기는 치명적인 외로움의 냄새.

열일곱개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이 책은 외로움이 그렇게 묻어나는 책이다. 한 단편에서 나왔던 조연은 다른 단편에서는 주연으로 나온다. 열일곱 단편이 모두 같은 등장인물로 엮어져 있는 것은 아니지만,  '외로움' 이라는 끈으로 묶여 있다. '외로움'이라는 같은 얼굴을 가지고 있다.

누구나 정말 읽기 싫어하는, 보기 싫어하는 것 한두가지쯤 있다. 여러가지 터부들. 그것이 사회적 문화적으로 용인되지 않는 것이어서일수도 있고, 단지 어떤 사람들에게만 해당하는 터부들도 있다. 아마도 독자는 자신만의 터부를 이 책에서 만날지도 모른다. 그것은 '관'일수도, ' 애완동물의 죽음' 일수도 혹은 '거세' 일수도 있다. 단 그 터부가 '외로움'이라면 '외로움' 을 읽는 것만으로 신경질을 내는 독자라면, 이 책을 읽어내기 힘들 것이다.

이미 영화에서 봤던 파니핑크, 그녀가 주인공이다. 오르페우스를 만나기도 하고, 행운의 별을 든 남자를 만나기도 한다. 속옷을 입고 거리를 걷기도 하고, 점을 보며 미래를 엿보려하기도 한다.  영화에서 보지 못했던 그 나머지 부분들을 때로는 우나로, 때로는 엘케로, 때로는 루시의 이름으로 볼 수 있다.

'차례를 펼치니 ' 삶에 대한 두려움'이라는 장이 먼저 눈에 들어온다. 나는 떨리는 손으로 그곳을 펼친다. 미라... 당신은 죽었다. 차갑게 식은 몸엔 향료가 발라지고, 털끝 하나 보이지 않도로 온몸은 붕대로 감겨 있다. 상상해보라. 당신은 관에 뉘어 어두운 동굴로 옮겨진다. 그리고, 이제 당신은 몸을 일으켜 온몸을 감고 있는 붕대를 푼다. 하나하나, 차례차례...'

책을 읽는내내 파니핑크가 오버랩된다.

도리스 되리는 인터뷰에서 자신의 소설은 '다른 삶'에 대해 이야기한다고 한다. 그것은 '현재와 다른 삶'을 의미한다. 한 여자가 있다. 사랑에 빠졌거나, 사랑을 갈구하거나, 사랑에 버림받았다. 엄마의 모습의 그녀. 사랑했던 과거는 그녀의 과거인가 싶고, 변하고 무뎌진 자신의, 자신이 사랑했던 사람의, 그리고 그 사랑의 모습은 유통기한이 지났다. 유통기한 지난 모습으로 칭얼대는 아이들에, 더 이상 뜨겁게 사랑하지 않는 남편이란 이름의 남자에 매여 있다. 그리고 '그녀'는 달라지고 싶다.고 바란다. 그러나 달라지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책 속에 '감각의 제국' 이란 제목의 단편이 있다. 다이앤 애커먼의 '감각의 제국' 을 보고 쓴 글이라는데 천원 건다. 전혀 예상치 않았던 반가운 만남이다. 책의 뒷면에는 독일의 각종 매체의 선전글이 있다. 그 중에서 이 책과 가장 닮아 있는 글은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짜이퉁의 글이다.

' 도리스 되리는 일상을 이야기한다. 사랑에 대해, 슬픔에 대해, 그리고 치명적일만큼 슬프고 우울하며, 환멸을 느끼게 하는 극악한 인생에 대해...'

 


댓글(3)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클리오 2005-06-14 22: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쩐지 오늘 하이드님의 글을 느낌도... --;; 다음 글을 유쾌발랄한 걸로 읽으셔요.. 물론 삶에 그런 날도 있지만... 글 참 좋아요, 잘 읽었어요...

panda78 2005-06-22 14: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저 이번에 헌책방에서 이 책 샀어요. 오늘 받았는데 어떨지.. ^^;
저는 파니핑크는 그냥 그랬거든요..

하이드 2005-06-22 15: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그러시면 재미없을 수도 있는데, 파니핑크랑 정말 비슷한 느낌이거든요. 독일식 고독은 뉴욕의 그것보다는 좀 많이 낯설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