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 더 풀
오쿠다 히데오 지음, 양억관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전작 '공중그네' 에 비해 환자들의 짜증강도가 조금 더 집요하게 올라갔다.
이라부는 여전히 초현실적이다.
<도우미>에는 과대망상증인 나이찬 도우미걸이 나온다.
온세상이 자기만 바라보고 스토킹을 한다고 착각하는 미.녀.이다.
가끔 결혼정보회사에 물관리 아르바이트를 하며 얌전을 떠는데,
"그런데 요즘 세상은 히로미 씨처럼 미인도 상대를 찾기가 힘든 모양입니다."
그럴리가. 좀 이상하다는 생각 안 들어?
"우리 회사는 기혼자뿐이에요." 얌전하게 말해 주었다.
"그럼요. 그래서 만남이 이루어질 수 없다고나 할까, 우리 같은 미혼자에게는 가장 어려운 점이죠. 우리 회사의 여사원은 모두 아르바이트 아줌마들이거든요."
너의 문제점은 또 있잖아. 뚱땡이!
속으로 욕을 하면서 한 시간은 그럭저럭 보낼 수 있다. 이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식사를 맛있다고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중략)
"이건 절대로 앞에 있다고 하는 말이 아니지만요, 히로미씨는 정말 좋은 센스를 가진 것 같아요."
울컥 화가 치밀었다. 어디를 누르면 그런 대사가 나오는 거야, 돼지 주제에!
(중략)
" 히로미씨, 어린애는 몇 정도가 좋으세요?" 일본 정원의 연못에서 헤엄치는 비단 잉어를 바라보며 남자가 물었다.
"저 둘정도." 부끄러운 듯이 대답하는 히로미
"아, 나랑 똑같네요. 우린 정말 여러 거지로 잘 맞는 것 같아요."
시팔, 다리 아래로 그냥 밀어 버릴까 보다.
<아, 너무 섰다!>에서 나온 너무 슨건, 생각하는 그거 맞다. 스트레스를 발산하지 못하고 항상 참기만 하는 데츠야씨는 '지속발기증' 또는 '음경강직증' 이란 희귀한 병에 걸려버린다.
이 책의 표제작이기도 한 <인더 풀>에서도 참고만 사는 남자가 나온다.
수영중독이 된 카즈오씨에게
우리의 이라부샘은 '스트레스란 것은 인생에 늘 따라다니는 것인데, 원래부터 그렇게 있는 놈을 없애려 한다는 건 쓸데없는 수고라는 거지. 그보다는 다른 쪽으로 눈을 돌리는게 좋아.' 라고 처방을 내려준다. 다른쪽이란, 크크크
결말이 귀여운 작품이다.
<프렌즈>는 휴대폰 중독인 고딩의 이야기. 중학교때 내성적이어서 친구 없다가, 고등학교때부터 친구 만들기 위해 최신CD를 사서 구워주고, 하루왠종일 휴대폰으로 문자를 보내고, 약속을 잡고, 이라부 시리즈를 읽다보면 결말이 언제나 쾌감이지만, 특히나 이 작품의 결말은 무지하게 통쾌했다. 이 결말이 통쾌하다니, 쫌 이상한거 아냐, 할지도 모르지만, '남의 눈치 보지말고 나이브 하게 살자' 는게 내 삶의 모토인만큼, '정치적으로 올바른' 은 개나 줘라. 가 두번째 모토인만큼( 방금 만든) 이라부 화이팅!이다.
<이러지도, 저러지도>에서는 걱정이 태산인 논픽션 작가가 나온다. 이와무라씨가 왜 논픽션 작가일 수 밖에 없는지, 이라부가 왜 이라부일 수밖에 없는지. 흐흐
이라부 병원을 찾아가는 사람은 모두가 분명 심각한 정신병을 앓고 있는 환자이다.
때로는 그들을 보고, 쯔쯔 혀를 차고, 이라부가 고쳐줄꺼야. 생각하고, 깔깔대고 웃기도 하지만,
문득 드는 겁나는 생각은 이들처럼 나도 안고 있을 그 어떤 망상증, 불안증, 결벽증 이다.
사회생활에 지장 있을정도라 '이라부 병원'을 찾을 생각은 못하지만, 나를 좀 먹고 있을, 나를 덜 행복하게 하고 있는 그런 '병' 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