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10도 아니고, TOP 5 라니 약하지만, 워낙에 겁이 많은 인간이라 잘 찾아 읽지 않는 관계로 다섯권만 무순으로 꼽아본다.

1. 스티븐 킹의 <애완동물 살인사건>
내가 읽었던 책중 가장 무서운 책으로 기억되고 있는 책이다. 예전에 <고양이 윈스턴 처칠>으로 봤더랬다. 방에서 혼자 읽다가 너무 무서워서 가족들 티비 보고 있는 거실에 나가서 겨우 읽어냈다.

가족이 아끼던 고양이 윈스턴 처칠이 죽는다. 애완동물묘지에 고양이를 묻으면 고양이가 살아난다고 해서 묻으니 고양이가 살아온다. 살아오긴 하는데, 한 번 죽음의 강을 건넜다가 온 고양이는 예전의 그 고양이가 아니다. 여기까지만해도 무서워 죽겠는데, 과연 스티븐 킹, 여기서 한 단계 더 독자의 심장을 조인다.

2. 교고쿠 나츠히코 <우부메의 여름>
이십개월동안 임신중인 여자의 비밀. 교고쿠도 시리즈의 시작이다. <애완동물 살인사건>이 정말 오금 저리게 무서운 공포라면, <우부메의 여름>은 등줄기에 식은땀이 주르르 흐르는 호러다. 교고쿠도의 장광설은 여기에서 독자를 홀리는 주문과도 같다. 이후로 읽은 교고쿠도 시리즈인 <망량의 상자>, <광골의 꿈>, 그리고 외전격인 개그버젼 <백기도연대雨>까지 중에서 가장 섬뜻한 작품이 <우부메의 여름>이 아닌가싶다.

 

3. 기시 유스케 <천사의 속삭임>
소재가 한때 유행을 탔던 소재라서 소재만으로는 식상한 면이 없지 않으나, 그 뻔한 소재를 뛰어넘는 작품이다. 아마츄어 아마존 탐사단의 단원들이 귀국한 후 하나씩 가장 끔찍한 방법으로 자살을 한다.이 자살은 그야말로 그들의 몸과 정신을 철저히 말살하는 죽음이다. 이 소설은 '공포'에 관한 '공포'이야기이다. 공포가 없는 인간이라도 빠져나갈 길이라곤 없다. 공포소설이 나중에 생각해보니, 무섭더라. 하는건 좀 웃기지만, 이 소설만큼은 책을 덮고 생각할수록 무서운 책이다.

 

4. 조 힐 <하트모양 상자>
그 아버지에 그 아들이라고, 스티븐 킹의 아들인 조 힐은 기대치가 있었을 독자를 실망시키지 않는다. 기괴한 물건들을 수집하는 왕년의 록큰롤 스타 주드와 그의 고쓰족 여자친구 조지아, 그리고 자살한 전 여자친구의 양아버지 귀신. 귀신을 떨쳐내는, 물리치는 로드무비라고 해도 좋은데, 왠 귀신 얘기냐?! 황당한 것이 아니라, 이야기에 홀딱 빨려들어가서 내 비록 주드처럼 기괴한 수집병은 없으나, 주드처럼 똑바로 현실, 아니 귀신을 바라보게 된다는거.책 읽는 내내 조지 클루니가 죽이는 문신을 하고 나왔던 <황혼에서 새벽까지>를 떠올렸다. 그런류의 공포를 좋아하는 사람에게 추천

5. 오츠 이치< zoo>

열편의 호러단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가 생각하는 어린시절의 가장 무서운 티비 프로그램은 <환상특급>이었다. 세개 정도의 짧은 에피소드들이 연속해서 나왔는데, 그 기억들은 아직도 완전히 잊혀지지 않아서, 비행기 창가에 앉을 때면 문득 날개 위에서 누가 나를 쳐다보고 있지는 않은가 하는 생각에 땀을 삐질 거리고, 가끔 꿈속에서 티비를 보고 있는 소녀의 모습을 머리부터 차례로 보는데, 입이 없는 모습에 깜짝 놀라 깨곤한다.

그 말이 되지 않는 이야기들은 가끔 그렇게 된 이유들이 있는데, 오츠 이치의 단편집을 읽으면서 그 옛날의 환상특급을 떠올렸다. 이유있는 호러 이야기들...

 

그러고보면 내가 좋아하는(?) 호러 이야기들은 다 영화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다만, 때때로 어찌할 수 없는 머릿속 상상력의 극대화로 이야기를 읽는 것은 모니터를 보는 것보다 훨씬 더 무섭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ephistopheles 2007-08-20 03: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에게 있어 호러는 하루죙일 잠까지 안자면서 일 끝마치자 마자 전화 따르릉 와서 "설계변경입니다."라며 죄다 바꿔버리는 상황이 바로 전율이 이는 호러랍죠.^^

오차원도로시 2007-08-20 09: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제가 좋아하는 책들 여기 다있군요..ㅋㅋ 오즈이츠의 단편집은 최근읽은책중 가장 기억에 남네요. 제가 읽은 가장 무서웠던 책은 스티븐 킹의 '그것' 이랑 '샤이닝' 이네요 ~~ 방에서 혼자 읽다가 괜히 방안을 휘휘 둘러보며 읽었던 기억이...
 



Belvedere Apollo
Marble
h. 2.24 m (7 ft)
Roman copy of a Greek original from the fifth century BC
Pio Clementino Museum, Vatican

델피 신전 벽의 네 개의 금언 - <가장 정확한 것이 가장 아름답다>, <한계를 지키라>, <오만함을 증오하라>, <지나침이 없게 하라> - 과 같은 정확하고 측정 가능한 세계의 조화의 토대 위에 그리스인들의 미에 대한 이상이 있고, 이와 같은 세계관은 아폴로의 비호 아래 놓여 있다. 그리고 그 반대에는 카오스의 신이자 자유분방하게 모든 규율을 위반하는 디오니소스가 있다.  

   
 

질서와 척도로 이해될 수 있는 평온한 조화를 니체는 아폴론적인 미라고 명명한다. 하지만 이러한 미는 동시에 현상 형식을 넘어선 것으로 표현되는, 혼란스러운 디오니소스적인 미의 존재를 가리고자 하는 휘장이 되기도 한다. 디오니소스적인 미는 유쾌하고 위험한 미로, 이성과 안티테제를 이루고, 종종 강박관념과 광기로 표현되는 미이다.

 
   

Peintre de Berlin 1686 (attribué au), Dionysos, ~540-530 av. J.-C.
 Amphore attique à fig. noires, h. 34 cm ,  © [Louvre.edu],  Ph. RMN, Lewandowski

아폴론적인 미
프리드리히 빌헬름 니체
<비극의 탄생> III , 1872
호메로스의 <소박성>은 아폴론적인 환영의 완벽한 승리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것은 자연이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주 이용하는 환영이다. 진정한 목적은 환상적 이미지에 가려진다. 우리는 이 환상을 향해 손을 뻗고, 자연은 우리의 실수를 통해 목적을 달성한다. <의지>는 그리스 인들에게서, 곧 정신과 예술 세계의 변용을 통해서 자기 자신을 보려고 했다. 의지의 소산물들은 스스로를 찬미하기 위해 자신들이 찬미의 대상이 될 만한 가치가 있다고 느껴야만 했고, 직관의 이 완벽한 세계가 명령이나 비난으로 작용하는 일 없이 더 높은 영역에서 자신들을 재발견해야 했다. 이것은 미의 영역이다. 여기서 그리스 인들은 자신들의 거울 이미지, 올림포스 신들을 보았다. 이런 미의 반영과 더불어 그리스의 <의지>는 예술적인 소질과 상관 관계가 있는, 고통을 느끼는 소질, 고통을 이해하는 소질과 싸웠다. 그리고 그 승리의 기념비로 무엇보다 소박한 작가 호메로스가 서 있다.

디오니소스적인 미
프리드리히 빌헬름 니체
<비극의 탄생> XVI, 1872
<우리는 영원한 생명을 믿는다.> 비극은 그렇게 소리친다. 반면 음악은 이러한 생명의 직접적인 이념이다. 조형 예술은 전혀 다른 목적을 갖는다. 여기서 아폴론은 현상의 영원성에 대한 눈부신 찬미에 의해 개체의 고뇌를 초월한다.여기서 미는 삶과 밀착되어 있는 고통을 이겨 내며 고통은 삶의 고뇌에 승리를 거둔다. 고통은 어떤 의미에서는 자연의 서질에서 말끔히 지워진 것처럼 보인다. 바로 이 자연은 디오니소스의 예술에서, 그리고 그 비극적 상징법에서 진실하고 솔직한 목소리로 이렇게 말한다. <너희들은 나를 닮아라! 현상의 끊임없는 흐름 속에서 영원한 태초의 어머니이며, 영원히 존재하며 이 현상의 변화 속에서 영원히 만족을 찾는 창조자인 나를!>

'미의 역사'  움베르토 에코 中
2장 아폴론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 by 지롤라모 데 미켈레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쌤앤파커스 2007-11-06 20: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인문정보를 제공해 주시네요. 저의 블로그에도 방문해 주셔서 스트레스풀고 가셔요^^
 
도시탐험가들 모중석 스릴러 클럽 8
데이비드 모렐 지음, 최필원 옮김 / 비채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데이비드 모렐의 <도시탐험가들>은 도시 속의 잊혀진 폐허들을 탐험하는 자들의 이야기이다. 벨린져라는 모호한 전직의 기자는 크리퍼스, 도시탐험가들을 취재한다는 명목하에 그들을 따라 여덟시간 동안의 긴박한 모험에 참가한다.

패러곤 호텔. 1902년에 건립되어 하워드 휴즈를 떠올리게 하는 혈우병이라는 치명적인 유전병을 지닌 괴짜 주인 모건 칼라일에 의해 완벽하게 유지되었던 과거로의 타임머쉰과 같은 장소가 그들의 탐험 목표이다. 이야기의 챕터는 패러곤 호텔에 잠입하여 나오기까지의 매시간이다. 여덟챕터, 여덟시간 동안의 악몽으로 변한 탐험과 탈출을 실감나게 그리고자 하였다.

주인공인 벨린져. 적당히 모호한 과거와 하는 짓을 봐서는 절대 보통 기자가 아닌듯한 그의 모습은 톰클랜시의 주인공들을 떠올리게 한다. 아, 데이비드 모렐이 람보의 원작 저자였지, 데이비드 모렐은 그의 소설 속에 등장하는 테스토스테론이 넘쳐 흐르는 남자 주인공들이 구사하는 모든 기술들을 직접 할 수 있다고 하니, 아마 이정도로도 이 소설이 어떤류인지 대략 감이 잡힐 것이다.

책커버에 나오는 외눈박이 쥐, 다리 다섯개의 고양이, 죽은 원숭이 시체가 담긴 여행가방 등의 으시시한 분위기를 조장하는 소재들은 딱 그게 다다. 이 작품이 호러상을 탔다는 것은 책을 읽는 내내, 그리고 읽은 다음도 이해하기 힘들다.

람보의 원작을 쓴 작가라고 해서 편견을 가지는 것은 절대 아닌데, 스티븐 시걸, 장 끌로드 반담 류의 악당과 주인공의 쫓고 쫓김은 그런 류에 목마른 이들에게는 이 이야기가 아주 재미있는 오락일 수 있겠으나 조금 더 섬세하고 다크한걸 원하는 나에게는 이 와장창 액션의 남자 주인공과 악당, 그리고 금발머리 여주인공(?)이 지루했다. 더운 여름날 읽은 신간 스릴러가 재미없어서, 더 더웠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주미힌 2007-08-19 11: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악... 간만에 '호러' 소설 좀 볼라고 샀는데...
출간하자 마자 구입하는 '짓'을 자제해야겠어요. 하이드님 같은 '얼리어덥터'를 적극활용하는 방안으로다가.. :-)

하이드 2007-08-19 16: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웅- 신간이 재미없으면 짜증나요 -_-; 호러는 '기시 유스케'가 좋은데 <천사의 목소리> 나 엊그제 읽었던 조 힐의 <하트모양상자>도 화끈했어요-

Apple 2007-08-20 00: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더 더웠다.^^;;케케~저도 모중석 스릴러 클럽은 그닥 댕기지 않네요.
하트모양 상자밖에 재밌는게 없었던것같아요..=_=

하이드 2007-08-20 08: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애플님, <미친 사내의 고백>은 괜찮지 않았나요? ^^ 사실 저도 모중석 스릴러 클럽 저랑 안 맞아요.

Apple 2007-08-20 18: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직 안봤어요.^^;;히히...지금 쌓여있는것들 좀 해결보고 고걸 사야겠다는...^^
 
하트 모양 상자 모중석 스릴러 클럽 10
조 힐 지음, 노진선 옮김 / 비채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농담이 아니고, 진짜다. 귀신이야기이다. 으아아아

주드는 유명한 록큰롤 스타. 그의 개인 소장품은 디즈니 만화를 좋아하는 성추행범이 그려준 일곱난쟁이 스케치, 몸에서 악마를 쫓아내기 위해 머리에 구멍을 뚫은 농부의 두대골과 두개골 중앙에 쑤셔박힌 펜들. 300년된 마녀 사인이 첨부된 자백서, 19세기 영국에서 교수형에 사용되었던 닳아빠진 올가미 등등등.

기괴한걸 좋아하는 그에게 비서인 대니는 이베이 아류 경매사이트에 오른 아버지의 영혼이 깃든 양복을 보여준다. 왠지 모를 불길한 예감을 느끼며 주드는 양복을 사고, 검은 하트상자에 담겨 양복은 배달된다.

주드의 개인 소장품중 하나는 고쓰족 여자친구이다. 그를 쫓아다니는 고쓰족 여자를 골라 미국의 주 이름을 붙여주며 데리고 있는다. 지금은 조지아. 이 전에는 플로리다. 그런식.

막상 받아보니 더욱 불길한 검은 하트 모양 상자에 담긴 양복은 귀신과 함께 오고, 그 귀신은 알고보니, 전 여자친구인 우울증에 걸린 플로리다, 애나의 양아버지이다. 최면술사인 애나의 언니는 양아버지가 주드를 죽여 애나가 주드 때문에 자살한 것에 복수할 것이라며 전화를 통해 악에 바쳐 소리지른다.  

자, 여기서부터 시작이다. 양아버지 귀신과 왕년의 록큰롤 스타와 고쓰족 여자 아이. 인간쪽의 무기는 개들이다. 주드의 사나운 셰퍼드 본과 앵거스.

이와 같은 설정의 귀신 스릴러라니! 이 책은 나오자마자 판권이 팔려 닐 조던 감독에 의해 영화화된다고 한다. 이야기의 진행은 로베르트 로드리게즈 감독의 영화들을 떠올리게 하지만, 아, 얼마전에 본 뜨거운 녀석들(핫 퍼즈)의 에드가 라이트도 좋겠다.

나는 귀신, 공포 이야기에 약하고, 우왁- 하는 스크림류의 공포영화보다는 암시가 강한 공포영화에 더 끌리는 편이지만, 이와같은 '황혼에서 새벽까지' 류의 스릴도 좋다.

분명 열대야를 조금쯤은 밀어낼 것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연 2007-08-17 23: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이 책을 사야겠군요! 열대야를 몰아내리라~~~~~

하이드 2007-08-17 23: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흐흐 막 이리저리 뒤집으며 봤어요. 더위 몰아내는 방법으로 추천합니다!

Apple 2007-08-18 01: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꽤 상큼하니 괜찮지요? _ 마하하....깔끔했어요~
그나저나 뜨거운 녀석들, 올해 재일 많이 웃으면서 본 영화입니다. 진짜 엄청나게 웃겼어요.히히히히...^^
 



Rampin Horseman detail of head.
Plaster head copy (original at the Louvre Museum in Paris), marble torso.
c. 560-550 BCE (Acropolis Museum)



제우스의 따님들인 뮤즈와 미의 여신들이여,
당신들은 하드모스의 결혼식에서
아름다운 노래를 부르셨소.
<아름다운 이 사랑스럽고,
아름답지 않은 이 사랑스럽지 않다네>

칼론Kalon , 테오그니스 (기원전 6~기원전 5세기)
: 칼론은 마음에 드는 것, 감탄을 자아내고, 시선을 사로잡는 모든 것.이다. '아름다운'정도로 번역

사실 고대 그리스에 미에 대한 기준은 없었다. 적어도 페리클레스 시대에 이르기까지 미학과 미의 이론은 거의 없었다고 말한다. 델피 신탁에서 <가장 올바른 것이 가장 아름답다>고 말했듯이, 아름다움은 <척도>와 <적합성> 같은 다른 가치에 비추어 평가되었다.

아테네가 군사,문화,경제적으로 전성기를 누린 시기에 비로소 미에 대한 인식이 형성된다.

   
  페르시아 인들과의 전쟁을 승리로  이끌어 전성기를 맞은 페리클레스 시대는 예술이, 특히 회화와 조각이 발전한 시기였다. 주로 페르시아 인들에 의해 파괴된 신전을 재건축해야할 필요성과 아테네가 가진 힘에 대한 과시, 예술가들에 대한 페리클레스의 호의 등이 예술을 발전시키는 동기가 되었다.  
   

그리스 조각은 살아 있는 신체의 종합을 통해 이상적인 미를 찾았다. 그 속에 영혼과 육체가 조화를 이룬 형식미와 영혼의 '선함'이 표현되었다.

   
 

정적인 형식들 속에서 최고의 상태로 표현되며, 그 속에서 단편적인 행동이나 움직임이 균형과 안정을 찾을 수있다. 그러므로 이런 형식에서는 세부적인 부분이 풍부하게 표현되는 것보다는 단순함이 더 어울린다.

 
   

Bronze statue of Zeus (or Poseidon) with arms extended as if in the process of throwing an thunderbolt (or trident) found at Cape Artemision. Circa 460 BCE, 2.09 heigh. National Archaeological Museum, Athens, Greece.

etc. 플라톤의 '조화와 비례의 미' , '기하학적 형태의 미'

'미의 역사'  움베르토 에코 中
1장 고대 그리스의 이상적인 美  by 지롤라모 데 미켈레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urnleft 2007-08-17 08: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대학 때 미학개론 수업을 들었던게 참 많이 남는 것 같아요. 철학적 사유가 풍성해졌다고나 할까.. 이 책도 언젠간 읽고 말거야!! 라고 다짐 중입니다 ^^

하이드 2007-08-17 11: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도판이 제가 본 책중 최강입니다. 보고만 있어도 눈이 시원해지는 도판이죠. 당연한 얘기지만, 내용들도 지금까지 봐왔던 미술사 책들과는 많이 다르네요.

쌤앤파커스 2007-11-06 20: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유럽문화 기행 수업때 들었던 내용입니다. 움베르토 에코는 소설적 능력만 뛰어난 작가가 아니라 그야말로 역사학자네요..

쌤앤파커스 2007-11-06 20: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희 블로그에도 방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