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에서 살아남기 서바이벌 만화 과학상식 2
최덕희 지음, 강경효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0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광고보고 덜컥 구입한 책. 아마도 1편은 무인도에서 살아남기인 모양인데, 꼭 순서를 지켜야 할 독서는 아닐 듯 싶다.

이 책은 아무래도 아마존에서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는가... 서버이벌을 보여주기 때문에, 그들이 왜 거기까지 가는지에 대한 탁월한 이유까지 제시되진 않는다.  엘도라도를 찾겠다~ 뭐 이런 말은 나오지만 사실은 서바이벌이 이들이 목표인 셈^^;;;

뭐랄까.  학습만화라는 사실을 내가 간과한 것 같다.  과학상식을 만화로 보여주는 거니까 나름 재미있을 거란 짐작부터 앞섰는데, 이미 다 어른인 내가 보기엔 내용의 전개가 너무 유치하다..ㅠ.ㅠ

여러 과학상식을 알려주는 것은 좋은데, 삐딱선이 먼저 탄다.  "아마존에 안 가면 되잖아.ㅡ.ㅡ;;;;"

흠, 세븐 시즈의 설정 같은 극한 상황이 닥치면 굉장히 필요한 책이 될 테지만, 그냥 서울에 남아 있는 나같은 사람한테는 너무 먼 나라 이야기.  호기심으로라도 난 아마존에 가고픈 마음은 없거든...;;;;

그러니, 이 책의 내용을 습득하기 전에, 아마존 같은 곳이라도 과감히 들어가 모험을 즐길 수 있는 마인드부터 만드는 게 내겐 필요할 듯 싶다. ^^

거기 떨어져서도 포기하지 않고 생존하려 하는 자각 말이다.  (물론, 닥치면 살아남기 위해 뭔 짓이든 할 테지만^^;;;)

어른이 보기에는 재미가 떨어질 지 모르지만, 아이들은 재미있게 볼 수 있을 것 같다. 아이의 눈높이에 맞춘 책이니 그게 당연하다.  보이 스카웃, 걸 스카웃... 이런 것을 하게 되면 이 비슷한 경험을 조금이라도 하게 되는 건가?  안 해 봐서 알지 못하겠다.  그렇지만 필요하단 생각이 든다.

이 책은 고이 보관했다가 조카가 자라면 보게 해야겠다. 녀석이 다섯 살이니까, 좀 오래 기다려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전시 괴정동에 살고 있는 김혜영(65) 할머니. 얼마 전 할머니는 114에 문의전화를 걸었다가 낯선 경험을 했다. 수화기 너머에서 ‘사랑합니다’는 말이 들려왔던 것. 화들짝 놀란 할머니는 황급히 수화기를 내려놓았다. ‘잘못 걸었겠지’라고 생각한 할머니는 이번에는 114 버튼을 하나하나 ‘꾹’ 눌렀다. 전화선을 타고 또 다시 들려오는 훈훈한 한 마디. “사랑합니다.” 114 안내 멘트가 바뀌었음을 그제 서야 눈치 챈 할머니는 왠지 싫지 않았다. 다소 어색했지만 오랜만에 따뜻한 정을 느꼈다. 사람 냄새가 물씬 풍겼기 때문이다.

제주 ‘사랑합니다’ 운동 전국으로

114가 최근 파격 변신했다. 전화를 걸면 언제든지 ‘사랑고백’을 받을 수 있다. 114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KT 자회사 KOIS(한국인포서비스㈜·서울~경기~강원)· KOID(한국인포데이타㈜·충청~경상~전라~제주)는 지난 1일 안내 인사말을 “사랑합니다, 고객님”으로 바꿨다. 제주는 24시간, 나머지 지역은 오전 9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이 인사말을 사용하고 있다.

본래 ‘사랑합니다’ 운동은 KT 제주본부에서 처음 도입됐다. KOID 제주본부의 114 전화 안내 인사말에도 시범 적용됐다. 반응은 예상 밖이었다. ‘듣기 좋다’는 호평이 줄을 이었던 것. “서비스가 형편없다”는 항의성 전화도 급감했다. ‘대박(?)’ 조짐을 읽은 KT 우상은 제주본부장은 전국 확대를 꾀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안내를 담당하고 있는 KOIS 이현종 본부장에게 ‘사랑합니다’ 운동에 동참할 것을 제안했다.

하지만 이 본부장은 ‘주춤’했다. 무엇보다 ‘사랑합니다’는 안내 인사말이 서울·경기권에서도 호응을 얻을 수 있을지 장담하기 어려웠다. 전화 안내서비스의 생명인 ‘스피드’가 떨어진다는 단점도 감안해야 했다. 스피드 감소는 곧 실적 저하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실제 “사랑합니다, 고객님”으로 안내 인사말을 변경한 이후 서비스 처리시간이 다소 늦어졌다. 기존 “안녕하십니까?” 안내 인사말일 때, 평균 서비스 처리시간은 18초. 반면 변경 후엔 20~21초에 달한다. 고객이 잘못 건 것으로 오인해 침묵하거나, “114 맞나요?”“인사말이 바뀌었나요?”라고 반문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하기 때문이다. 서비스 처리시간이 약 3~4초 지체됨에 따라 상담원 당 받는 콜(call) 수도 평균 1천30건에서 980건으로 약 50여건 감소했다. 이로 인해 일일 평균매출 역시 2천100만원 정도 줄어들었다.


이 본부장의 골머리를 앓게 하는 것은 또 있었다. 열악한 환경 속에서 하루 1천여건의 서비스를 처리하느라 지칠 대로 지친 상담원들에게 보다 좋은 서비스를 요구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이 본부장의 보고를 받은 KOIS 이상호 사장도 장고를 거듭했다. 두 차례나 재검토를 지시했다. 6월 중순경. 이 사장은 결국 ‘사랑합니다’ 운동에 동참하기로 결정했다. ‘삼고초려’(三顧草廬) 끝에 내린 결단이었다. 고민은 고스란히 일선 상담원에게 넘어갔다. KOIS 서울본부 상담원 전정임씨는 “사랑합니다 고객님으로 인사말을 교체했다가 좋지 않은 반응이 나올까봐 불안했던 게 사실”이라고 털어놓았다. 또 다른 상담원 조은정씨도 “기대 반 우려 반이었습니다”라고 말했다.

운명의 7월1일 토요일 오전 9시. KOIS와 KOID는 안내 인사말을 동시에 바꿨다. “사랑합니다”가 전국적으로 전파를 타는 순간이었다. KOIS 서울본부 김선숙 정보안내 1부장은 당시를 이렇게 기억했다. “사랑합니다는 말이 우리나라 정서와 잘 맞지 않는 게 사실이잖아요. 노파심 때문인지 몰라도 불안했어요. 몇 번이나 114에 전화를 걸어 고객 입장에서 확인해 봤어요. 생각보다 부드럽고 따뜻한 느낌이 들어서 안심했죠.”

“사랑합니다, 고객님”의 반응은 현재 만족스런 수준이다. 간혹 짜증을 내거나 당황하는 고객이 없지 않지만 대체로 ‘호의적’이라는 게 KOIS·KOID측의 판단이다. 서비스 시간이 다소 길어졌음에도 상담원들의 기분이 덩달아 좋아진 까닭이다. 일부 고객은 “저도 사랑합니다”고 화답, 상담원들의 가슴을 찡하게 만들었다는 후문이다. 전화선을 타고 ‘사랑합니다’ 바람이 잔잔하게 불고 있는 셈이다.

고객 반응 지역별로 각양각색

그래서일까. 시행된 지 불과 20여일 흘렀을 뿐이지만 유쾌한 에피소드가 쏟아지고 있다. “사랑합니다, 고객님”이라고 인사말을 던지자 “나 유부남이야”“나를 사랑하면 안 되지”라는 등 다소 엉뚱한 답변이 돌아와 상담원들을 곤혹스럽게 만들었다는 에피소드는 미소를 머금게 한다.

지역별로 고객들의 반응이 천차만별이라는 점도 흥미롭다. 전라도 지역은 “지금 뭐라 그랬소, 다시 한번 말해보시오”“얼마만큼 사랑하오?”“me, too”라는 등 장난기 섞인 응대가 많다. 반면 경상도 지역은 “사랑합니다”는 말에 부끄러워하기 일쑤인 것으로 전해진다. “저~ 아가씨, 부끄러워서 말을 못 하겠어요”라는 경상도 사나이의 수줍은 말 한마디는 KOID 경상본부 직원들에게 유쾌함을 선사했다고 한다.

KOIS 하재연 부장은 “딱딱한 ‘안녕하십니까?’ 보다 ‘사랑합니다’는 인사말이 고객들에게 훨씬 푸근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것 같다”면서 “비록 실적은 조금 떨어졌지만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뿌듯하다”고 말했다.

KOIS와 KOID는 “사랑합니다, 고객님” 서비스를 통해 국민의 비서로서 거듭나겠다는 야심 찬 포부를 밝히고 있다. 적극적인 인사말 사용으로 고객에게 한 걸음 다가서겠다는 의지다. 한마디로 21세기 화두인 ‘감성경영’을 실천하겠다는 것이다.

KOIS 이금숙 정보안내 2부장은 이렇게 말했다. “인터넷 시대가 활짝 열리면서 전화번호 검색도 인터넷으로 많이 하죠. 그만큼 세상은 기계적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114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사람’이 중심입니다. 기계가 아닌 ‘사람’과의 소통을 통해 정보가 교환되죠. 그래서 인터넷 보다 훨씬 ‘따뜻함’이 느껴져야 합니다. “사랑합니다, 고객님”이라는 인사말을 통해 114 상담원들의 ‘정’이 고객들의 마음에 전달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전화 안내서비스를 받고 싶다면 오늘만큼은 인터넷 대신 114를 이용해 보는 것은 어떨까. 빠른 전화번호 안내와 함께 사랑고백까지 받을 수 있을 테니….

이윤찬 기자 chan4877@economy21.co.kr

출처 :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21/143145.html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노아 2006-07-22 18: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느 나라의 언어든 "사랑합니다"란 고백은 아름다울 테지만, 유독 우리 말의 고움을 느끼게 하네요. 그 말을 예쁘게 쓸 때가 더 중요하지만요. ^^
 



 합성을 참 잘했네요.

그런데 키아누 리부스는 좀...ㅡ.ㅡ;;;

순전히 허셀크로우를 만들기 위한 작업은 아니었을까나 싶군요.ㅎ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제인 에어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9
샬럿 브론테 지음, 유종호 옮김 / 민음사 / 200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도 여성들에게 이 사회가 지극히 개방적이거나 평등하다고 생각되진 않는다.  과거보다 많이 좋아졌을 뿐이지, 아직도 많은 부분에선 차별이 있고 비합리적인 일이 벌어진다. 

21세기를 사는 나도 이렇게 여기는데, 19세기의 영국은 오죽했겠는가.  (영국에서 여성들에게 참정권을 준 것도 일백년 역사가 채 안 될 정도니... )

그러한 닫힌 시대에서 꿈을 가지고 열정을 가지고, 자신의 인생을 적극적으로 개척해 나가기 위해선 얼마만큼의 의지와 용기가 필요할까.

난 이 책을 읽으며 제인에어의 현명함과 강인함과 지혜에 많이 감탄했다.

어려서부터 결코 평탄치 않은 인생길을 걸으면서도 꿋꿋이 자존심을 세웠고, 스스로 앞날을 개척해 나가는 데에 결코 주저함도 게으름도 없었다.

주인공 제인 에어는 아주 미모의 여성은 아니었지만, 그렇기에 작품의 강점이 더 두드러지는 것 같다.  그녀의 지성과 현명함과 인격이, 그녀의 대단치 않을 외모를 더 아름답게 느껴지게 만드는 힘이 되었을 것이고, 또 사람을 끌어들이는 매력이 되었을 것이다.(뭐, 마찬가지로 대단치 않은 로체스터의 외모는 그닥 인격으로 카버되는 것 같지 않았지만...;;;;)

그녀에게 가장 반했던 것은, 로체스터씨의 구혼을 받아들이려던 찰나 그에게 아내가 있다는 사실을 알았을 때, 그녀가 보여준 행동의 방향이었다.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그저 감정적으로 행동했다면, 오늘날 이토록 사랑받는 제인에어가 되지는 못했을 것이다.

그녀는 이성적으로 판단했고, 올바른 길을 걸어야 한다고 결심했다.  마음이 찢어지지 않는 것이 아니었고, 그 마음을 다 정리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 진대, 그녀는 감정의 충동에 굴복하지 않았다.  아마 거기에는 그녀의 꼿꼿한 자존심도 한몫 했을 테지만, 난 단순히 자존심 싸움으로 그녀가 결정을 내렸을 거라고는 생각지 않는다.  (오늘날 무수한 불륜 드라마들도 좀 본받아야 하지 않을까..ㅡ.ㅡ;;;;)

전 세계적으로 사랑을 받는 제인에어이지만 영국인들의 사랑은 더 각별할 것이다.  그러니 "제인에어 납치사건" 같은 소설도 나올 테지... ^^ 또 그 소설에서 비극적인 결말을 해피엔딩으로 바꾸려는 작업이 진행된 것도 독자들이 좋아한 이 책의 결말을 입증하는 것일 거다.

나의 지인은 가장 감동깊게 읽은 책을 "제인에어"라고 했는데, 그 소리를 들은 다른 지인이 피식 웃었던 일이 있었다.  대체 왜 웃는 거지??? 음... 잘 이해가 안 갔다.  나 역시 아주 좋아하는 소설인데... ^^ 브론테 가의 식구들이 쓴 책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이 제인에어와 폭풍의 언덕인데, 난 폭풍의 언덕은 그저 그랬다.  제인에어가 보다 매력적이었고 더 즐겁게 읽을 수 있었다.  그리고 그 결과의 90%는 제인의 캐럭티 때문일 것이다.  당당한 자신감과 소신... 내가 가장 부러워하는 덕목이기도 하니 말이다.  지성을 얻는 것보다 지혜를 얻는 것이 더 어려워 보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페라의 유령 (2004) SE
조엘 슈마허 감독, 에미 로섬 외 출연 / 아이비젼엔터테인먼트(쌈지) / 2005년 4월
평점 :
품절


뮤지컬에 열광했던 사람은 이 영화를 일부러 보지 않았다고 한다.  이미 받았던 감동이 상돼될까 봐...

나 역시 2002년도에 뮤지컬을 보긴 했는데, 내가 보았던 뮤지컬 중 드물게 지루하게 봤던 기억이 난다.

그건 작품이 형편없거나 연기자들이 노래를 못했다거나.. . 뭐 그런 이유는 아니었고, 다만 전 날 너무 열광적인 콘서트를 본 까닭에 상대적으로 임팩트가 덜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노래 부르다가 남자 배우가 삑사리가 나는 바람에..ㅠ.ㅠ(그런 경험 처음이었다. 조성모 콘서트 이후..ㅡ.ㅡ;;;)

그래서인지, 뮤지컬의 감동이 별로 남아 있지 않아서 영화를 보는 데에 별 거부감이 없었다.  다만 현장감은 확실히 포기해야 하기 때문에 아쉽기는 했다.

작품 안에 속한 넘버들은 익히 들어 알고 있던 곡들이었고, 내가 좋아하는 임태경 등이 열린음악회 등에 나오면 곧잘 부르던 곡들이 있어서 매우 익숙했다.  심지어 The phantom of the opera의 경우 박경림과 박수홍도 불렀으니...(윤도현의 러브 레터!)

여주인공이 투모로우의 그 학생이라는 것을 영화 다 본 다음에 알고서는 놀랐다.  분위기가 많이 달랐고, 그녀의 실제 나이가 아주 어리다는 것에 심한 부러움도 느꼈고..*(ㅡㅡ;;)

아무래도 역할 자체가 라울보다는 팬텀 역할이 더 카리스마가 있기 때문에 그쪽으로 더 관심이 갔다.  여러 팬텀의 목소리를 들어보았는데, 이 영화에서 나온 팬텀의 목소리가 내게는 가장 매력적이었다. 거치면서 호소력이 있었고, 외로움과 고독이 느껴지는 목소리랄까.

확실히 과거 뮤지컬을 보다가 내가 졸다가 나온 게 맞나 보다. 작품의 엔딩이 낯선 것을 보니.ㅡ.ㅜ

소설책도 찾아볼까 했는데, 다들 그만큼의 감동이 없다고 말하길래 관뒀다^^;;;(귀가 엷아서...)

아마도 오페라의 유령은, 이후로도 계속 뮤지컬로 공연될 것 같고, 새로운 팬텀과 크리스틴, 라울을 보게 될 것이다.*(물론 배우가 겹칠 수는 있겠다^^;;;)  개인적으로는 이전에 라울을 했던 류정한씨가 팬텀을 해도 아주 잘 어울릴 것 같다.(EBS 공감에서 김소현씨와 함께 노래를 했는데, 그때 팬텀 역할을 했다^^;;;)

앗, 뮤지컬로 다시 얘기가 새버렸군.

이 영화는 비주얼이 막강하다.  작품의 배경을 사실적으로 묘사했고, 팬텀을 따라 지하 수로를 따라가는 장면은 음침한 가운데 위화감과 긴장감을 적절히 배치했다.  사운드도 꽤 좋은 편인데, 그래서 극장에서 보던가, 아님 음향이 좋은 곳에서 DVD를 보아야 감상에 방해가 안될 것 같다.

책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난 유령이 잘했다고 말할 수 없음에도, 그가 많이 불쌍했다.  인간이면서 유령처럼 살아온 그의 존재가, 그렇게라도 소유하고팠던 그의 왜곡된 사랑이 말이다. 

참, 이 영화에서 아마도 모티브를 땄을 거라고 짐작되어지는 영화가 있다.  장국영 주연의 "야반가성"인데, 고등학교 때 엄청 감동받아서 극장에서 5번 보았던 기억이 난다. 노래가 너무 좋았기에^^;;; 비교해서 보아도 좋을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