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1. 거시기 2. 시방 3. 아따 4. 식겁했다.

문제> 위 보기에서 표준어를 찾으시오. (답은 아래쪽에)

‘교양 없는 호남 사투리’라는 편견 때문에 외면받는 표준어들을 일상 표현으로 살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모으고 있다.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 편집위원 김선덕씨는 10일 CBS 라디오 ‘뉴스야 놀자’(진행 : 개그맨 노정렬, 낮 12시5분~1시30분)와의 인터뷰에서 “거시기, 시방, 아따 등의 단어가 표준어임에도 불구하고 호남 사투리로 잘못 알려져 일상 생활에서 교양 없는 말로 외면당하고 있는 형국”이라고 지적했다.

김씨는 “‘거시기’는 ‘말이 얼른 생각나지 않거나 바로 말하기가 거북할 때 쓰는 군소리’라는 뜻의 표준어”라고 밝혔다.

이어 “‘시방(時方)’은 지금이라는 말의 한자어 표준말, ‘아따’는 ‘어떤 상황이 못마땅하다고 할 때 쓰는 감탄사로서 역시 표준어”라고 설명한 뒤 “전라도 사투리로 잘못 소개하는 방송들 때문에 사람들이 교양 없는 말투이자 호남 사투리라고 잘못 생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시껍했다’는 표현도 ‘뜻밖에 놀라 겁을 먹다는 뜻의 한자말 ‘식겁(食怯)했다’를 그대로 읽은 말로서, 식겁했다는 말 역시 표준어임에도, 사람들이 영남 사투리로 생각하고 잘 쓰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김씨는 “사투리가 아닌 표준어를 사투리라고 오해해서 교양 없는 말이라고 생각해 외면하거나 덜 쓰는 것은 우리 말 발전을 저해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또한 “표준어를 사투리로 오해하는 것도 문제지만, 사투리라는 이유로 희화화시켜 놀리듯 사용하는 것도 문제”라며 “나아가 잘 쓰이는 사투리들, 예를 들어 ‘어여’, ‘애기’, ‘이쁘다’, ‘손주’, ‘나래’ 등의 단어들은 복수 표준어로 정하는 것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답 > 모두 표준어

CBS 라디오 '뉴스야 놀자' 이진성PD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노아 2006-10-10 22: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홋!

marine 2006-10-10 22: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특히 전라도 사투리는 촌스러움의 대명사죠 전 솔직히 "말달리자" 라는 사투리 프로그램도 짜증나요

마노아 2006-10-10 23: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런 프로그램이 있군요. 전 전라도 사투리가 구수하게 들려서 좋더라구요. 근데 확실히 영화 등에서 '무식'한 사람들이 쓰는 사투리로 오용될 때가 많은 것 같아 불편해요.ㅡㅡ;;;;

비로그인 2006-10-11 01: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나이다움=경상도, 깡패=전라도, 파출부,가게주인=충청도.악착같음=이북에서 월남한 사람들..영상이 보여주는 이미지죠.

마노아 2006-10-11 01: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적나라하게 짚으셨어요. 정말 그렇게 나오더라구요. 세뇌 교육이에요ㅡ.ㅡ;;;;
 

서울=메디컬투데이/뉴시스】

와인이 심장에 좋다는 말에 꾸준히 와인을 섭취해 오던 김 모씨는 얼마 전 종합검진에서 간수치가 높다는 경고를 받았다. 의사는 평소 간이 좋지 않은 김씨가 오랫동안 와인을 섭취하는 바람에, 와인의 알코올이 김씨의 간에 부담을 준 것 같다고 설명했다.

심장병 예방을 위해 꾸준히 마셔온 와인이 오히려 건강에 문제를 일으킨 것이다.

심장병 예방뿐 아니라, 항암효과, 고혈압, 치매예방 등 항노화 효과까지 있다고 알려진 와인 섭취로 인해 오히려 건강상태를 악화할 수 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와인의 긍정적인 효과들은 ‘몸이 건강한 상태’라는 전제 하에 적용된다는 것. 간 기능이 좋지 않은 등의 건강상 문제가 있는 사람들이 마시는 와인은 아주 조금의 양이라도 건강에 무리를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레드와인 두통’ 증세를 보이는 등 와인을 선천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다.

‘레드와인 두통’은 대표적인 와인 부작용으로, 숙취 때문이 아닌 아주 소량이라도 레드 와인만 마시면 15분 이내에 머리가 깨질듯한 두통을 나타내는 증상을 일컫는다.

이에 대해 하버드 의대에서는 헬스레터를 통해 '원인이 정확히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증상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아황산염이나 타닌에 의한 증상으로 추정된다는 것.

특히 집안 병력에 천식이 있는 경우 아황산염이 함유된 음식에 예민하게 반응하는데, 와인에는 아황산염이 포함되어 있기도 하다.

실제로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미국인의 1% 정도가 아황산염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며, 와인 라벨에 아황산염이 포함된 사실을 적시해야 한다고 요구하기도 했다.

일부에서는 타닌 성분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한다. 타닌 성분은 신경전달 물질인 세로토닌을 과다분비하게 만들어 편두통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또 다른 원인으로 히스타민 성분을 지목하기도 하는데, 레드와인에 함유된 히스타민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사람은 몸속에 특정 효소가 없어 알코올을 섭취했을 때 두통을 호소하기도 한다는 것.

이 밖에 일부 와인에서 발효 도중 생기는 해로운 물질로 인해 와인이 오히려 해가 될 수 도 있다는 경고도 있다.

일부 와인을 발효하는 과정에서 메탄올, 퓨젤 오일, 황화합물, 에틸카바메이트, 디에틸렌글리콜, 히스타민, 타이라민 등의 해로운 성분이 부산물로 만들어지는데, 이들이 몸에 해로운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에틸카바메이트는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메탄올의 경우 과량 섭취시 눈이 멀거나 심하면 죽음까지 야기하는 성분으로 특히 와인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발표된 바 있다.

이 외에 다른 물질들은 두통을 유발하거나 알레르기를 일으키고, 천식 및 소화불량을 야기하는 등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기도 한다.

따라서 와인 역시 자신의 건강상태나 체질 등에 따라 바르게 마셔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와인을 마시는 적정량은 개개인의 유전적 요인이나 성별, 나이, 질병 유무 등에 따라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건강한 성인 남성의 경우 하루 2잔 정도인 300㎖가 적당하며 여성은 보통 성인 남성의 절반 정도인 100∼150㎖ 정도, 노인들은 젊은 사람들의 절반 정도를 마시는 것이 좋다. 물론 이는 개인의 주량이나 나이, 질병 유무 등에 따라 양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와인의 좋은 성분은 굳이 와인이 아니더라도 건강기능 식품을 비롯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섭취가 가능하기 때문에 억지로 와인을 마실 필요는 없다.

오히려 간기능이 떨어져 있거나 술을 못 마시는 사람이 억지로 와인을 마시면, 간을 비롯한 장기에 알코올 자체가 부담이 될 수 있으니 피하는 것이 상책.

따라서 간 질환 등으로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이와 임산부는 적은 양도 독이 될 수 있으니 오히려 금하는 것이 좋다.

이예림기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호인 2006-10-10 11: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정보를 주셔서 고맙습니다

마노아 2006-10-10 17: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뭘요~^^;;;
 

【서울=메디컬투데이/뉴시스】

 

태아및 영아기 머리 둘레가 차후 지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더욱이 따라잡기 성장(catch-up increases)도 초기 작은 머리 둘레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사우스햄튼대학의 가일 박사팀은 "태아 및 영아기 초기 뇌 발달이 인지 능력 형성 뿐만 아니라 또한 형성된 인지 능력이 나이가 들어서도 잘 유지되도록 하는데 있어서 결정적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머리 둘레가 큰 성인일수록 인지능력 검사상 더욱 뛰어난 능력을 보였고 알즈하이머 질환 등과 같은 인지능력 저하와 연관된 질환의 발병 위험이 낮은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 

 

조고은기자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노아 2006-10-10 09: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633명.... 약해... 그리고, 그렇다 해도 머리가 크고 싶진 않아..ㅡ.ㅡ;;;

세실 2006-10-11 15: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얼굴이 작아서 머리도 작은 줄 알았는데 모자집에 가보고 머리 큰걸 알았답니다. 글쎄 맞는 모자가 없어요~~~~ 뭐 절대 머리 좋다는 이야기는 아니랍니다. (예외여요. 흑)

마노아 2006-10-11 15: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도 얼굴은 작잖아요ㅠ.ㅠ 사진 볼 때마다 얼마나 부러워 하는데요. 하다 못해 보기에 작아보이기라도 했음 좋겠어요 .훌쩍...(저도 절대 머리 좋지 않아요^^;;)
 

꼭꼭 숨겨라, 광화문!…‘제자리 찾기’ 공사 3년, 어떤 가림막 설치할까
 
[동아일보 2006-10-10 05:5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캐스팅 실패 日 '나나', 2편으로 종결
 
[뉴시스 2006-10-08 15:56]
 

【서울=뉴시스】

 

일본 영화 ‘나나’가 2편에서 마무리 된다. 3일 도쿄 니카츠 촬영소에서 열린 ‘나나2’ 제작보고회에서 전해진 소식이다.

 

......

 

‘나나2’는 12월 9일 개봉된다. 원작만화는 현재도 연재중이기 때문에 이번 영화의 결말은 당연히 오리지널 스토리가 된다./ 김용호기자 yhkim@newsis.com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노아 2006-10-08 22: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2편을 제작했구나. 1편이 원작의 밀도에 너무 못 미쳐서 전혀 기대 안했는데... 그래도 2편도 봐야지... 궁금하잖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