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이 있어 오랜만에 성남에 다녀왔습니다.한때는 전국에 헌책방을 전전한 적도 있었는데 성남에도 몇개의 헌책방이 있었지만 거진 다 사라지고 몇년전까지만 해도 성남 신흥역 부근에 있는 대명서점만이 남아 있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래서 오래만에 대명서점이 들릴까해서 찾아 봤더니 당최 안보이더군요.예전 기억을 더듬어보니 분명 약국있는 건물 2층에 있었는데 그 약국은 찾았는데 2층은 대명서점이 아니라 노래방이 들어와 있네요.아무래도 가지않은 몇년 사이에 폐점을 한듯 싶습니다.

인터넷을 찾아보니 대명서점에 관한 블로글이 2014년이 마지막 인것으로 보아 아마도 그 이후 어느때 폐점을 한것으로 보입니다.블로그글을 읽어봐도 손님이 잘 안오고 어느달은 임대료도 못낼정도로 판매가 부진하지만 일종의 사명감으로 부부가 운영한다는 글을 읽었는데 아무래도 판매부진으로 문을 닫은것 같네요.

성남의 오래된 헌책방 대명서점을 찾아서

 

알라딘과 같은 기업형 중고서점의 출현과 손님이 오지않아 생기는 판매부진등으로 많은 헌책방들이 없어지는 것 같습니다.예전에 방문했던 헌책방들이 하나 하나 사라지는 것을 보니 맘이 좀 아프네요.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얼마전 SBS에서 야심차게 추진했던 조선구마사가 역사왜곡과 중국의 동북공정문제로 시청자들의 큰 반발을 사면서 2회만에 전격 폐지되었습니다.

뭐 드라마속에 조선새대임에도 중국풍의 물건이나 음식이 등장한것도 문제였지만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임금인 태종과 세종에 대한 역사 왜곡이 가장 큰 문제였죠.

 

많은 사람들이 문제삼은 것은 한글 창제등 대표적인 명군이라고 할수 있는 세종대왕에 대한 역사왜곡을 문제 삼았지만 개인적으론 세종보다는 태종에 대한 역사 왜곡이 더 문제가 되지않았나 생각됩니다.

드라마속에서 태종은 백성을 마구 살해하는 암군으로 묘사되고 있는데 사실 태종은 일반적으로 성군보다는 폭군에 이미지가 강한것이 사실입니다.에를 들면 조선건국을 하기 위해 정몽주를 대표로하는 고려시대 충신을 도륙한 일이라든가,왕위를 계승하기위해 형제들을 살해하는 왕자의 난을 일으키고 태조를 내쫒았으며 왕권강화라는 미명하에 처남 4명과 세종의 처가를 도륙하고 개국공신도 죽이거나 쫒아냈기 때문이죠.왕조 초기라 왕권강화를 위해서 한 일리라고는 해도 현재의 시각으로 본다면 매우 잔인한 것이 틀림없죠.

하지만 역사학계에서는 태종의 이런 실정과 별개로 드라마속에서 보였듯이 백성을 마구 살해한 폭군이 아니라 반대로 백성들을 사랑한 애민군주라고 합니다.

 

그것은 철인왕후에서 조선왕조실록에서 박계옥작가가 찌라시네라고 비하한 조선왕조실록에 아주 잘 나옵니다.

 

태종실록 25, 태종 13230일 기묘 1번째기사 1413년 명 영락(永樂) 11년 /혜정교 근처의 아동들이 주상·효령군·충녕군의 이름을 빌어 타구 놀이를 하다

 혜정교(惠正橋) 거리에 아동 곽금(郭金)·막금(莫金)·막승(莫升)·덕중(德中) 등이 있어 타구(打毬) 놀이를 하는데, 매 구()의 칭호를 하나는 주상(主上)이라 하고, 하나는 효령군(孝寧君)이라 하고, 하나는 충녕군(忠寧君)이라 하고, 하나는 반인(伴人)이라 하였다. 서로 치다가 구() 하나가 다리 밑의 물로 굴러 들어가자, 그 아이가 대답하기를,

"효령군이 물에 빠졌다."

하였다. 효령군의 유모(乳母)가 마침 듣고 쫓아가 잡아서 효령군의 장인[舅] 대사헌 정역(鄭易)에게 고하였다. 정역이 형조에 고하여 옥에 가두고 물으니, 말하기를,

"곽금(郭金)이 제창하여 장난한 지 이미 3일입니다."

하였다. 행행(行幸)하는 때이므로 아뢰지 못하고, 이때에 이르러 형조에서 요언률(妖言律)로써 갖추 아뢰니, 임금이 말하기를,

"이 아이들은 모두 10세에 불과하니, 요언(妖言)을 조작한 것으로 논함은 불가하며, 또 동요(童謠)라 이를 수도 없다. 예전의 이른 바 동요란 이런 일이 아니었다. 비록 이것이 동요라 하더라도 또한 무죄(無罪)이니, 동요의 율은 즉시 대언사(代言司)로 하여금 형조와 함께 불태우게 하라."

하고, 이어서 명하였다.

 

"다시는 이 일을 말하지 말라."

 

태종실록 17, 태종 9418일 경인 2번째기사 409년 명 영락(永樂) 7년 /시골 사람 손귀생이 창덕궁을 구경하고 광연루까지 들어와 구금되었으나 석방하다

손귀생(孫貴生) 등 두 사람을 석방하도록 명하였다. 손귀생 등은 시골 사람인데, 창덕궁(昌德宮)을 구경하고 들어와서 광연루(廣延樓)의 못 아래에 이르렀었다. 순금사(巡禁司)에서 장(杖) 80 대로 조율(照律)하니, 임금이 말하였다.

"이들은 무지한 시골 사람이니 방면(放免)하는 것이 옳다. 예전에 조서(趙敍)가 대언(代言)이 되었을 때, 시골 선비 한 사람을 데리고 들어와 숙직하고 이른 아침에 내 보냈었는데, 그 사람이 갈 길을 잃어서 곧바로 침전(寢殿)의 뜰안으로 들어왔었다. 궁인(宮人)들이 놀라서 꾸짖으니, 대답하기를, ‘나가려고 한 것뿐입니다.’ 하였다. 내가 말하기를, ‘이는 무지한 자이다. 좌우(左右)에서 들으면 반드시 법대로 처치하도록 청할 것이니, 빨리 놓아보내서 가게 하고, 이 말을 드러내지 말도록 하라.’고 하였었는데, 바로 이와 똑같은 일이다."

 

 

사실 임금의 이름은 피휘라고 하여 당시 책등에서는 일부러 피하는 것이 당연시대던 시절인데 비록 아이라 하여도 궁궐앞에서 공차기를 하면서 그 공에 태종과 효령및 충녕대군의 이름을 붙여 공을 찼으니 사실 대역죄로 3대가 멸해도 무방한 일이었지만 태종은 아이들이 모르고 한 일이라고 용서해 준것이죠.

그리고 시골선비가 궁궐에 근문하는 친구를 보러 왔다가 길을 잃어 왕의 침전에 들어가고 왕의 개인공간이라고 할수 있는 광연루에 들어가게 되는데 태종처럼 왕위와 왕권강화를 위해 형제와 와척 측근들을 도륙한 경우라면 자신의 목숨을 중요시해 침전을 침입한 외부인이라면 즉시 주살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의외로 시골선비가 궁궐에 와 흥분해서 길을 잃은것이미 무죄방변하라고 했지요.

 

뭐 이 글만 봐서 뭐라고 하긴 뭐하지만 태종의 경우 왕권 강화를 위해 피의 도륙을 벌였지만 의외로 백성들에게는 당시 관점에서 매우 관대했다고 볼수 있습니다.

태종이 폭력적인이 왕이었다는 사실이지만 어떻게보면 그런 일을 했기에 세종이란 걸출한 명군이 나왔다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그렇기에 악귀에 쓰여 백성들을 도륙하는 태종의 모습은 말 그대로 역사 왜곡이란것이 틀림없다고 여겨집니다.

 

참고로 태종에 대해 좀더 알고 싶으시면 조선왕조실록 태종편을 읽어보시면 좋을듯 싶어요.

 

 

조선왕조실록 태종편을 읽으면 조선구마사가 얼마나 황당무계한지 잘 알듯 싶네요.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즘 현대수사는 과거와 달리 과학수가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이번 구미 유아 유기사건에서도 등장하는 DNA검사입니다.DNA검사는 과학수사의 끝판왕이라고 할수 있는데 살인의 추억으로 유명한 화성 부녀자 연쇄살인사건의 범인도 당시에는 붙잡지 못했지만 DNA검사시술이 발전하면서 범인을 체포한 경우라고 할수있죠.

연쇄살인 사건의 많이 발생하는 미국의 경우도 DNA검사 기술이 발달로 과거에 잡지못했던 범인을 수십년만에 체포하는 경우가 왕왕 있을 정도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사실 DNA란것에 대해 어렴픗하게 알고는 있지만 이번 사건처럼 외할머니가 절대 출산이 적이 없다고 강변하고 경찰도 출산여부를 증명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과연 DNA만으로 모든것을 해결할수 있을까하는 의구심을 가지는 분도 있을거란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DNA와 관련된 과학수사를 다루는 책들을 소개해 봅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사건해결을 위한 수사와 연관된 DNA관련 책들은 의외로 적은 것 같네요.이 책을 읽어보시면 아마도 왜 출산을 부정하는 외할머닌가 유기돤 아이의 친엄마가 확실하진 아마 아실수 있을 거란 생각이 듭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실이 소설보다 더 미스터리하다는 말이 있지요.그 대표적인 예가 용즘 신문지상을 떠들썩하게 하는 구미 유아 유기사건입니다.

 

이사건은 구미에서 방치되어 죽은 어린아이의 DNA를 조사해보니 사망한 유아의 친모는 호적상의 엄마가 아닌 외할머니로 밝혀져 전국을 충격으로 몰아넣은 사건이죠.문제는 DNA검사결과 죽은 아이와 외할모니의 관계가 친 모녀일 확률이 99.9%라고 하는데 외할머나는 절대 자신을 아이를 낳은 적이 없다고 지금까지 발뺌을 하고 있다는 사실인데,하지만 경찰 초등수사의 미흡으로 인해 아직까지도 외할머니가 어디서 출산을 했는지 실제 딸이 낳은 아이는 언제 바꿔졌으며 또 어디로 갔는지 아직까지 모든것이 미궁에 있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인권침해의 소지가 다분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할머니와 연관된 150명의 남성들(택배기사나 회사 직원들)의 DNA샘플을 수거하여 친부검사를 했지만 아직까지 친부로 판명된 사람도 없다는 점이죠.

 

정말 미스터리 소설의 모든 것을 갖추고 있는 사건인데 현실에는 셜록홈즈와 같은 명탐정이 없어선지 과연 이사간의 진실이 파헤쳐질지 무척 궁금해 집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현 세대들은 과거와 달리 더치페이가 일상화되었다고 하지요.그래선지 어른들중에는 이런 문화가 낯선분들이 많은것 같습니다.저역시 친구들과 만날떄는 더치페이를 많이 하는 편이죠.그런데 아래와 같은 극단적인 더치페이나 개인주의는 과연 있을까 싶습니다.

설마 친구들간에 저런 일이 있을까 싶은데 사실이라면 어머니들 맘이 무척 찢어질것 같네요.알리디너분들중에도 자녀들이 있으신 분들이 많은데 요즘 초딩들이 과련 저런지 무척 궁금해 집니다.

근데 글쓴 날이 2021년 4월 1일인데 설마 만우절 블랙 유머는 아니겠지요??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