팡세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소 고전총서 서양문학 4
B. 파스칼 지음, 김형길 옮김 /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5년 5월
평점 :
품절


2006년의 설을 전후로 '미래'와 '현재'에 치중하던 나의 '읽고 쓰기'가 '과거'로 약간 이동했다. 지나간 글을 돌이켜 보고, 정리를 하자는 뜻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속도에 대한 반성'이다.

동양철학은 허투루로 배운 줄 아느냐! '느림의 미학'보다 중요한 미학은 '일시정지' 즉, '엑스캔버스하다(XCANVAS-hada)'이며, '돌아감'이다. '돌아감'이라는 말은 참으로 풍부하게 의미를 담을 수 있는 안성맞춤의 용어이다. '빙 돌아감'과 '회귀'와 '돌아가심'이라는 뜻이 모두 담겨 있다. 옛말에 '게으른 선비가 책장을 헤아린다'는 속담이 있다. 책을 읽다 보면 '권수'와 '페이지수'에 눈이 가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텍스트와의 진정한 독대'를 이루기 위해서는 뒤로 돌아가 보기도 하고, 처음부터 다시 읽기도 하고, 아예 베껴써보기도 해야 하지 않을까. 나의 '과거 읽기'가 천박한 '쪽수 헤아리기'의 못된 병통에서 벗어나기를 바란다. 에잇! 서두가 너무 길어졌다.

철학자가 가장 철학자다워 보일 때는 '모순'이나 '역설'을 이용해서 사상을 전개할 때이다. "쾌락과 고통은 우리들의 욕망의 원인이 아니라 결과이다. 우리는 어떤 사물이 우리에게 쾌락을 주기 때문에 그 사물을 욕망 하려는 것이 아니고, 우리가 그 사물을 욕망하기 때문에 사물이 우리에게 쾌락을 주는 것이다"라고 한 스피노자의 명쾌한 주장도 유쾌하며, "의미는 말에 품위를 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말에서 품위를 얻는다"는 파스칼의 주장도 시원스러워서 좋다.

자타가 공인하는 파스칼의 미덕은 '간명한 문장'이다. 다른 말로는 '금언', '격언', '아포리즘', '잠언' 등 여러 가지 말로 불리기도 하는데, 파스칼 자신이 '늘어지는 문장'을 매우 싫어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실 정신이 번뜩 하는 것은 한 줄이면 충분하다. 그것이 시가 영원히 살아남는 이유이기도 하다.

'모랄리스트'는 '인간성' 자체를 탐구하는 사람들이다. 도덕적 사상이 전개되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에 대한 솔직담백한 각성이 필요하다. 때문에 '도덕'으로 가기 위한 '자기 반성'이 모랄리스트들이 주로 한 일이었다. 이 두 가지 키워드를 고르게 묻혀야 그 의미가 드러나므로 한쪽의 의미에만 너무 경도되지 않기를 바란다.

파스칼의 모랄리스트적 면모는 두 가지 방향으로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처세'에 관한 것이며, 다른 하나는 그보다 '근원적인 것'에 있다. 이 역시 서로를 염두에 둔 철학이기 때문에 양분하기 힘들다. 팡세의 구절 중에

남을 효과적으로 훈계하고 그의 잘못을 지적해 주려 한다면, 그가 사물을 어떤 측면에서 보고 있는가를 관찰해야 한다. 왜냐하면 그 사물은 보통 그 측면에서는 올바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이 올바른 점을 인정하면서 그의 잘못된 다른 측면을 지적해 주어야 한다. - 본문 중에서

라는 내용을 보자. 이것은 '처세'와 더욱 연관이 있겠지만, '근원적인 것'을 무시하고 생각할 수 있겠는가. 파스칼의 철학은 근원적인 것이 처세적인 것을 향하며, 처세적인 것은 근원적인 것을 줄기차게 향하는 구도로 정리돼 있다.

파스칼의 '근원적인 사유'를 이야기할 때 가장 어울리는 말은 '모순'이다. 철학자든 문학자든 모두 이 동굴에서 태어났다. 파스칼은 철학, 문학, 과학에 두루 걸쳐 있기 때문에 그의 '모순'은 보다 강력한 힘을 갖는다.

인간의 위대성은 자기의 비참함을 아는데 있다. 나무는 자기가 비참하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자기의 비참함을 아는 것은 비참한 일이다. 그러나 자기가 비참하다는 것을 아는 것은 위대한 일이기도 하다. - 본문 중에서

위대성과 비참함은 묘하게 중첩되어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안정된 '의미'를 이룬다. 모순과 역설이 '강력한 철학'의 동력이 되는 이유는, 그것이 우리들의 타성에게는 '경종'이 되기 때문이다. 우리는 원인과 결과를 바꾸어 생각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철학자는 간단히 앞과 뒤의 말을 바꿈으로써 놀랄 만한 의미를 만들어낸다. 습관과 본성은 어떠한가.

습관은 제2의 본성이며, 이 제1의 본성을 파괴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성이란 무엇인가? 습관은 본성적이 아니라고 말해서는 안될까? 습관이 제2의 본성인 것처럼 이 본성 자체가 제1의 습관이 아닐까? - 본문 중에서

이것뿐만 아니다. 방정식에 비유하자면, 우리는 좌변과 우변을 거꾸로 두고 생각할 뿐만 아니라, 아예 중요 지수를 빠뜨리는 일도 많다. '잃어버린 지수, 언어'를 되돌리는 일도 철학자의 역할이다. 문학자와 철학자가 자꾸 새로운 것들을 만들어낸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들은 '창조자'가 아니다.

나의 저작이라고 해서는 안 된다. 그의 저작에는 이미 많은 사람의 저작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의 저작'이라고 해야 한다. - 본문 중에서

파스칼은 그의 학문 영역 만큼이나 사유의 스펙트럼이 넓다. 단순히 한 문구씩 따라가는 것만으로도 유익하고 놀라운 이야기가 많다. 그리고 요즘도 많은 문필가들에게 인용되는 단골 문구인 "이 무한한 공간의 영원한 침묵이 나를 두렵게 한다"는 말과 같이 파스칼은 '실존 철학'을 예고하고 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종교' 이야기이다. 우리는 '신을 증명할 수 없기 때문'에 종교를 부정하지만, 파스칼은 '신을 증명할 수 없기 때문에' 종교를 긍정한다. 신을 증명할 수 있다면, 그것은 이미 신이 아니라 인간과 다름 없는 어리석고 미천한 존재라는 것이다. 여기서도 그의 화법이 어김없이 드러나지만, 따지고 보면 우리는 신이나 종교에게 무리한 '인간적 강요'를 하고 있지는 않은지 반성해볼 필요가 있다.

팡세의 상투적인 수식어로 빠지지 않는 것이 '미완성'이라는 꼬리표이다. 물론 파스칼이 '필생의 역작'을 의도로 작업을 하다가 요절하였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렇다면 너무 '무책임한 독자'가 되어버리지 않을까? 그것을 '완결'짓는 것은 파스칼이 아니라 '나'가 아닐까. 모든 '완결'된 저작들이 그러하듯이.


댓글(3)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드무비 2006-02-02 08: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길어진 서두가 재밌습니다.
저도 <팡세> 읽어보고 싶어서 한 권 사두고는 못 읽고 있네요.
이상하단 말예요.
어떤 책은 그 책 속의 몇 줄을 아는 것만으로 전부 읽은 것처럼 생각돼요.
리뷰 잘 읽었습니다.

승주나무 2006-02-02 11: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 몇 줄을 하고 싶어서 그 사람은 그 '두꺼운' 책을 만들었을지도 모릅니다. 저도 다시 읽고 싶은 책입니다.
"학자는 하고 싶은 이야기를 다 하고서도, 15분간 더 이야기를 했으면 하는 충동으로 가득 차 있다." <본문>

가넷 2006-07-26 01: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금 국내에 나온 <팡세> 중에 이 책이 가장 좋을까요?
 

열자(列子)는 도둑질이라는 말을 가지고 재미있는 이야기를 했다.

 

국씨(國氏)는 큰 부자고 향씨(向氏)는 큰 가난뱅이인데 향씨가 국씨보고 부자 되는 방법을 물었더니 국씨 대답하기를 도둑질을 해서 됐노라고 했다. 향씨가 들은 대로 도둑질을 하다가 잡혀 죄를 짓고, 있던 것까지 뺏기고 분해 국씨한테 가서 질문을 했더니, 국씨가 말하기를 “너 어떻게 도둑질을 했느냐” 했다. 향씨는 제 한 대로 대답했더니 국씨는 듣고 말하기를 “도둑질하는 도를 그렇게도 모른단 말이야? 내 일러줄 터이니 들어보아라. 하늘에 시(時)가 있고 땅에 이(利)가 있다. 나는 천지의 시, 이 , 구름, 비, 산과 못의 나고 자라는 것을 도둑질해서 내 곡식을 키우고 내 집을 짓고, 뭍에서는 새, 짐승을 도둑하고 물에서 고기를 도둑해서 산다. 도둑질 아닌 것이 없지. 그것이 다 하늘이 낸 것이지 내 것이 아니다. 네가 도둑질했다는 금은옥백(金銀玉帛)은 사람이 모아놓은 것이지 하늘이 준 것 아니다. 죄 얻어 마땅하지 않느냐?” 했다. 향씨가 그 말을 듣고도 알 수 없어 동곽(東郭) 선생한테 가서 호소했다. 동곽 선생은 대답하였다. “네 한 몸부터 도둑질한 것 아니냐? 음양의 화(和)를 도둑해서 네 생을 이루고 네 몸을 담았는데 하물며 그 밖엣것이겠느냐? ……국씨의 도둑질은 공도(公道)다. 그러므로 재앙이 없고, 네 도둑질은 사심이다. 그렇기 때문에 죄를 진 것이다. 공사(公私)가 있다는 놈도 도둑이요, 송사가 없다는 놈도 도둑이다. 공(公)을 공으로 하고 사(私)를 사로 하는 것이 천지의 덕이다. 천지의 덕을 아는 사람을 누가 도둑이라 하겠느냐? 누가 도둑 아니라 하겠느냐?

 

 

사람은 사람에게 쉬이 상처를 준다. 그들은 수심이 가득하고, 자신의 불행에 대해서 탓한다. 행복한 사람들은 자신이 행복하든 불행하든 관심이 없다. 언제 어느 때든 자신은 할일이 있기 때문이다. 불행할 때는 그에 맞는 일을 하고, 행복할 때는 또 그에 맞는 일을 하지만, 정작 불행과 행복 자체에 대해서는 논하지 않는다. 행복한 사람들은 그것을 시간낭비라고 생각한다. 그 사람들은 인간과 인간 외의 공간에 대해 밝은 사람들이다. 과학이 만약 모든 사실들을 근본까지 파해쳤으면 발전을 이룰 수 없었을 것이다. 사실 그들은 자신들이 알고 있는 한계까지 제대로 간 것이다. 그 이상 시도하는 것은 한심한 짓이라는 것을 잘 안다. 사실 그 이상에는 온갖 거짓이 끼어들기 때문이다. 우리들이 여행을 떠나는 것, 자연과 가까이 있으면서 영향을 받는 것들은 모두 하늘을 훔치는 일이다. 자연에 기댈수록 점점 가슴은 커지고, 눈은 밝아진다. 훔쳐야 될 귀한 것들이 무한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한한 곳에서, 쓸모 없는 것들을 훔치는 사람들은 항상 가난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향 지음, 신동주 옮김 / 인간사랑 / 2004년 12월, 948쪽, 4만원 가량

 

전국시대 주나라 말기 때 일이다. 당시 강성한 진나라가 구정(九鼎)이라는 보물을 요구했다. 보물을 요구하는 것은 당시 강대국이 즐겨 쓰는 외교전술인데, 약소국의 입장에서는 줄 수도 없고, 주지 않을 수도 없는 처지에 놓이게 된다. 주지 않으면 그것을 빌미로 공격의 명분을 준 셈이고, 주면 나라의 상징인 보배를 넘겨주는 꼴이 되어 심정적으로 패망한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에 곤란에 빠지게 된다.

그러나 어느 나라든 현명한 신하 하나쯤 있기 마련이다. 안솔(顔率)이라는 이름을 가진 신하가 나서며 보배를 지키겠다고 말했다. 안솔은 제나라로 가서, 진나라를 물리치면 보배를 건네주겠다고 약속하였다. 그 말을 믿은 제나라는 군사 5만을 내어 진나라 군대를 물리치고 당당히 보배를 요구했다.

그러나 주나라 왕에게는 또 다른 곤란이었다. 제나라에게 보배를 넘겨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때 다시 안솔이 나서서 보배를 보전할 수 있다고 간언하며 제나라로 떠났다. 제나라 왕에게 보배를 어느 길로 수송할 것인지 물었다. 제나라 왕은

‘양(梁)나라가 좋겠습니다.’

안솔은 양나라는 백성들이 간악해서 보배가 지나가도록 놔두지 않을 거라고 말했다.

다시 제나라 왕이

‘초(楚)나라를 통해 수송하겠습니다.’

다시 안솔은 초나라 사람들 역시 호시탐탐 구정을 노리고 있으며, 국력도 강성하기 때문에 보배가 한 번 초나라 안으로 들어가면 다시는 나올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옛날 주나라가 은나라를 정벌할 때 구정을 옮기기 위해서 하나에 9만 명씩 81만 명의 인력이 소요되었습니다. 지금 귀국은 그만한 병력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웃 나라 역시 그만한 병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들을 상대할 병력과 무기가 무수히 필요합니다.’

제나라 왕은 얼굴을 붉히며, 갖지도 못할 보배를 빌미로 진나라를 몰아내려는 의도일 뿐이 아니었느냐고 말했다. 솔은 적당히 둘러대며 ‘우리 주나라는 제나라의 명만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하고 말했다. 제나라는 드디어 구정을 단념하였다.
 
         - 전국책 '주책(周策)' 중에서


세상을 살아기란 녹록치 않은 일이다. 특히 약자들에게는 매번 어려운 선택이 찾아온다. 어려운 선택에 처할 때 당황하지 않고, 적절히 돌파할 수 있는 능력은 적은 시간 공들여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크고 작은 흐름을 알아야 하는 것은 물론, 오감을 열어놓고 대화를 해야 한다.

 

강자와 다툴 때는 강자를 약하게 만드는 방법이 있다. 나폴레옹이 자주 사용한 방식인데, 전쟁에는 국지전이라는 여러 국면이 있는데, 아무리 막강한 대군이라도 지형과 환경을 활용한다면 얼마든지 무기력하게 만들 수 있는 게 지금까지 절대약세의 군대가 불가사의한 전승을 거둔 역사의 비밀이다.

 

사람의 생도 마찬가지다. 생활과 관계가 주는 묘한 심리전에 몰리면 자기의 역량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다. 일단 그것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가 패륜적 살인을 저질렀건, 총기난사로 부대원을 몰살시켰건 법적 도덕적 죄질과는 관계없이 냉정히 그의 행위를 이해할 수 있는 사람만이 ‘사기’당하지 않을 권리가 있다. ‘옳음’과 ‘옳음’으로만 이루어진 성 안에 ‘타락’과 ‘그름’이 존재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옳지 않음’이 적재적소에 있는 그림이 정말 잘 그린 그림이다. 마치 치명적인 독이 우리 몸을 받쳐 주는 이치와 같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부를 때 그는 비로소 생명이 되듯이, 내가 그를 꿰뚫을 때 비로소 그는 나를 쥐던 손아귀를 놓아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삶에 걸고 있는 기대는 진실로 문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것은 삶이 우리들에게 걸고 있는 기대인 것이다.”

우리는 삶의 의미에 관한 질문을 멈출 필요가 있다. 그 대신 우리는 우리들 자신을 매일같이, 또는 수시로 삶에게 질문을 받는 존재로 생각해야 할 것이다. 우리들의 대답은 반드시 말과 명상이 아닌 올바른 행동과 올바른 처신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궁극적으로 삶의 의미는 삶의 문제에 대해 올바른 대답을 찾아내야 한다는 책임을 지는 것이다. 그리고 개개인의 앞에 끊임없이 놓여지는 삶의 과제를 수행해 나가는 것이다.

- 빅터 플랭크, ‘죽음의 수용소에서’ 본문 중에서


빅터 플랭크 박사는 실존적 정신요법의 창시자이다. 인간의 정신을 히스테리로 세분화시키지 않고, 인격 단위로 판단하는 것이다. 우리가 삶에게 의미를 묻는 것이 아니라, 삶이 우리에게 의미를 묻고 있다는 의미심장한 표현은 니코스 카잔챠키스의 말을 연상하게 한다.


“신은 죽었다고 말하기도 하고, 살았다고 말하기도 한다. 우리는 신을 가지고 목적에 맞게 살렸다 죽였다 한다. 신은 우리의 논쟁 유무와 관계없이 자유로운 존재다. 그 자유를 인간적으로도 존중할 필요가 있다.”


어제 2호선을 타고 집에 가는 길에 한 부부가 타더니 에어컨을 틀지 않았다고 지하철공사에 전화를 하라고 부인한테 이야기하는 것이다. 모든 것이 당연하고 당연한 것이 당연하지 않으면 불만을 거침없이 토로하는 것은 현대인의 익숙한 습성이지만, 이런 것들이 소중하기만 한 사람들에게는 그저 참을 만한 것이다. 그들은 우리가 누리는 시대가 얼마나 오랜 과정과 대가를 겪고 난 것인지 알기 때문에 쉽게 불평하지 않는다. 다만 아직도 가야 할 길을 두고 불합리하고, 부당한 처사에 대해서 성토할 뿐이다.


자연과 세상의 모든 위대한 것들과 약자들은 말을 좀처럼 하지 않지만, 그것이 곧 침묵이 되는 것은 아니다. 내 귀가, 내 눈이 어두울 뿐이다. 뭐라고 하는지 잘 안 들리긴 하지만, 그래도 우리는 힘겹게 세상과 ‘대화’라는 것을 시도해야 한다. 그것이 정정당당하기도 하다. 세상은 나의 민원창구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라주미힌 > 승주나무님, 제가 가는 중고책방 사이트

http://www.usedbooklove.com/  헌책 사랑... 상당히 책이 많고 안전하게 살 수 있다는게 장점인 것 같습니다.

그 안에서 '개인책방'으로 들어가시면
마니아들이라 불리울 만한 사람들이 차려놓은 공간이 있는데

http://www.bookoa.com/module/book_shop/bookshop_booksmore_search.asp?shopid=road365

'아주 비싼 책방'이란 곳은 정말 비싸요 ㅡ..ㅡ; 
절판된 책들은 정가의 몇배에 팔거나, 새책은 20~50%정도 세일해서 팔거나 그렇답니다.
주인장이 상당히 책을 많이 갖고 있더라구요.. 판 책, 보유하고 있는 책.. 어마어마 합니다.

이매지님이 알려준

http://www.noranbook.net/  책값 비교 사이트....

하단에 보면 중고서점들의 링크가 주르륵 있습니다.

제가 가끔 들르는 곳은
책사랑 (http://www.booksarang.com/ ),
북코아(http://www.bookoa.com/ 여기도 책들 무지 많아요),
하이셀러(http://www.hiseller.com/ 여기는 신간 위주, 소설류가 많은 듯)
초이북 (http://www.choibook.co.kr/index.htm),

링크 따라다니면 너무 많아서 정신이 없어서 그냥 몇군데만 다닙니다. 흐..

승주나무님은 어딜 주로 가시나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로드무비 2006-02-01 15: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좀 퍼갈까 봐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