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孔子)가 타고 다니던 말이 어느날 한 농부의 밭으로 들어가 농작물을 망쳐 버렸다. 화가 머리끝까지 난 농부는 아무 말도 하지 않은 채 말을 끌고 가 버렸다. 공자가 제자들에게 물었다. “누가 가서 말을 찾아오겠느냐?” “제가 가서 찾아오겠습니다.” 말재주가 좋다고 소문난 제자 자공(子貢)이 선뜻 나섰다.

그러자 마부도 함께 나서서 말했다. “아닙니다. 제가 말을 잘 지키지 못해서 생긴 일이니 제가 찾아오겠습니다.” “그래도 자공이 가는 것이 좋겠다.” 공자의 말에 자공이 휘파람을 불며 농부에게 갔다. 하지만 자공이 손이 닳도록 빌고 설득해도 농부는 말을 돌려 주지 않았다. 그렇다고 농부의 손에 잡혀 있는 말고삐를 강제로 빼앗아 올 수도 없는 일이었다. 자공은 맥이 빠져 빈 손으로 되돌아왔다.

공자가 이번에는 마부를 내보냈다. 마부가 웃으며 다가가 농부에게 말했다. “당신이나 나나 다 같은 농부가 아니오. 내가 깜빡 조는 사이에 아무 것도 모르는 짐승이 밭에 들어가 저지른 일이니 한번만 용서하시구려. 따지고 보면 이 밭 곡식이 당신네 것인지 우리 것인지 말이 어떻게 분별하겠소.” 마부의 말을 듣고 나서 밭주인은 허허 웃으며 말을 되돌려 주었다.

이 일화는 ‘설득 심리학’ 교과서에 나올 법한 실례다. 선비인 자공보다 배우지 못한 마부가 더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것은 유유상종의 심리가 작용한 셈이다. 자공이 마부와 똑같은 말을 해도 농부는 설득되지 않았을 개연성이 크다.

- 경향신문 김학순 칼럼

출처 : http://blog.khan.co.kr/97dajak/509318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상합니다. 이상해.

 

 



투표기간: 2006-05-02 ~ 2006-05-09 (현재 투표인원 : 13명)
1번
모 사이트에서 리뷰 퍼가기 이벤트가 열리고 있을 것이다
  0%

2번
봇(Bot)의 짝짓기 성공으로 번식을 했다.
  7%

3번
알라딘 버그다.
  7%

4번
지방자치 선거가 다가오기 때문에 인터넷이 술렁이고 있다.
  0%

5번
'휴거'의 징조가 아닐까... 평균 300 이상 바로 픽업되겠습니다.
  7%

6번
경쟁사의 작전세력들이 활동하고 있다.
  0%

7번
인기가 많은 걸 어쩌라고... 므흣
  38%

8번
기타...
  38%

투표하기


마이페이퍼 링크 주소 : http://www.aladin.co.kr/blog/mypaper/869751


  추천하기퍼가기 

댓글(10)   
하루(春)
기타 : 얼마 전 주최한 이벤트 덕이 아닐까요? - 2006-05-02 23:18
 
어릿광대
제 서재도 예상보다 많이 찾아주시긴 하더라구요. 정말 궁금하내요. 대체 이유가 뭘까요? - 2006-05-02 23:19
 
라주미힌
거의 모든 서재가 그렇데요... - 2006-05-02 23:19
 
담뽀뽀
휴거라고 생각합니다. 종말이 오기전에 한번도 둘러보자고. - 2006-05-02 23:27
 
아프락사스
전 7번. ㅡㅡ;;;; - 2006-05-02 23:38
 
냐오
어린이날, 어버이날, 스승의 날, 성인의 날 등을 앞두고 알라딘 자체의 방문객 수가 올라갔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요. 저만해도 어린이날 선물 고르느라 평소 같으면 안 보던 어린이책 리뷰를 보고 있거든요. - 2006-05-02 23:38
 
가을산
그냥 편하게, '인기가 많아서'라고 생각하세요. ^^ - 2006-05-03 00:09
 
ceylontea
^^;; 그러게 종잡을 수가 없어요... - 2006-05-03 00:36
 
승주나무
음... 이론가의 입장에서 봤을 때 이 현상은 '다다익선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겠군요.
라주미힌 님의 서재 스타일은 독창적인 페이퍼와 시사 페이퍼, 펌 엔 펀(fum & fun)으로 요약됩니다. 특히 매우 많은 양의 페이퍼를 올리시고 있기 때문에 불특정한 개인에게 노출될 확률이 매우 많은 것이지요. 예컨대 저의 경향 블로그의 경우 어제만 1200명 가까운 네티즌이 방문했습니다.(자랑 아님^^;;) 그 이유는 제가 그날 262개의 기사를 올렸기 때문입니다.
알라딘과 마찬가지로 드림위즈도 블로그 홈에는 많은 사람들의 게시글이 모입니다. 알라딘 페이퍼 홈에도 많은 게시글이 모이는데, 그곳을 이용하는 소비자는 비단 알라디너만은 아니라는 이야기이죠.

"그렇다면 요즘 이렇게 사람이 부쩍 느는 것은 어떻게 설명할 거냐?"하고 물으신다면 그것은 또 '누적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미 라주미힌 님은 '알라디너' 외에 '비알라디너'에게도 마니아층을 가지고 계시고 그것이 최근 반영된 거라고 볼 수 있겠네요. 그걸로 따지면 7번이 다소 가깝지 않을까 합니다.

저도 초반에는 아무리 많은 페이퍼를 올려도 방문객이 시원찮더니 요즘에는 페이퍼 하나만 올려도 눈에 띄게 방문객이 많아지더라구요. 뭐 이런 것이지요.
요즘 사설이 길어졌습니다. 실은 제가 요즘 미쳐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요^^
- 2006-05-03 06:42 수정  삭제
 
조선인
봇의 짝짓기 성공으로 번식했다. 푸하하하핳하 - 2006-05-03 06: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을지기에게 > 이동과 퍼가기의 방식 (댓글:1)
승주나무(mail) 2006-05-03 07:17
1. 알라딘에서 '퍼가기'와 '이동' 기능이 있습니다.

'퍼가기'는 다른 사람의 페이퍼에 쓰는 기능인데, 퍼가기를 누르면 파간 페이퍼와 상관 없이 그 자리에 있게 됩니다.

'이동'은 자신의 서재 안에서 쓰는 기능입니다.

문제는 '퍼가기'를 누르면 퍼간 페이퍼에 그대로 남는데, 이동을 누르면 이동한 카테고리에 자신의 위치까지 이동한다는 점입니다. 이 모든 것이 '확인'이라는 버튼으로 통합되었는데요, 이것을 구분할 수는 없을까요. 옠넌대 '자신의 페이퍼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하는 식으로 선택하게끔 하는 거죠.

서재 관리를 하다 보면 쓸데없이 만들어진 페이퍼를 정리하는 데 그 중 유용한 기능이 바로 '이동'입니다. 그런데 하나의 카테고리를 정리하려면 계속 그 페이퍼로 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카테고리에 20개의 페이퍼가 았다고 한다면 '이동'을 누른 후에 20번씩이나 다시 가야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선택' 기능을 보완해서 해당 페이퍼로 이동하려면 '예'를 누르고, 스크랩이나 이동은 이동대로 하고 그냥 그 페이퍼나 카테고리에 있고 싶으면 '아니오'를 누르면 되게끔 할 수는 없을까요?


2. '이동'기능은 현재 페이퍼 하나씩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앞에 체크 버튼을 만들어서 페이퍼를 한꺼번에 이동시킬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웹하드와 같이) 카테고리 개편하려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네요. 하나씩 하나씩 하려니까 ㅠㅠ


아프락사스
아 저도 이거 여간 불편한게 아니어요. - 2006-05-03 07:28 삭제

공감하신다면 댓글로 우리의 힘을 보여줍시닷!!


링크(알라딘 사랑방) : http://www.aladin.co.kr/blog/mypaper/86987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늘빵 2006-05-06 00: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제가 저기에 들어가있어서 깜짝 놀랐어요. ㅋㅋ

승주나무 2006-05-06 02: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홍보 차원에서 꼭 필요해서 넣었습니다 ㅎㅎ
 
 전출처 : 주리 > 서영채 평론집 '문학의 윤리' 토크쇼

 

어제와 오늘의 개념이 여전히 모호한 가운데 -_-a
황금같은 토요일에 나비처럼 날아다니고 싶은 마음을 꾹 참고 대학로로 향했다.

생각해보라, 오후 1시반, 적당히 살랑부는 바람, 적당히 시끌벅적한 마로니에 공원,
적당히 꼭지점댄스클럽의 장단에 맞추어 엉덩이를 살랑대는 사람들 틈바구니를 비집어
정확히 아르코예술극장 3층에 안착할 수 있는지.. (본인 스스로도 놀람을 금치 못했다는.)

대장을 만나고, 연린을 만나고, 성석제를 만나고, 주인공 서영채 평론가를 마주했다.
2시간 가량 그 자리를 굳건히 지킬 수 있었던 것은 순전히 성석제가 등장한다는 이유였지만,
제대로 감정이입해주는 나는 곧 서영채라는, 그 둥글둥글하고 모나지 않은,
시인을 닮고, 소설가를 닮은, 따뜻한 평론가를 마주했음에 기쁘지 않을 수 없었다.

잘 미치는 사람, 한가지에 미치면 끝까지 가는 사람,
그래야 훗날 '나는 자유로웠다'라고 말할 수 있을 것만 같다고 말한 사람,
'욕망 앞에 타협하지 말라'고 그 작고 선한 눈(작지만 선한 눈을 가질 수 있다는 건 축복이다!!)을
껌뻑이며 정면에 앉은 나를 뚫어져라(ㅇ_ㅇ) 쳐다봐줘서 감개가 무량했다는. 그리고,
동시에 신나게 눈싸움을 했다는 이야기.

'이 봄날에 자리를 채워주시니 영광이지만, 차라리 아무도 없었더라면 여기 나온 패널들과
신나게 낮술이나 즐겼을 것을.' 이라고 말하며 입맛을 다시는 서영채는, 동네 귀퉁이에서
늘상 볼 수 있을 것만 같은 그런 노는 삼촌의 모습이었다. 허허..

따뜻한 시선으로 시를 마주하고, 온화한 손길로 소설을 만져주는 비평가,로 이미 정평이 나 있다는데.
나의 무지였던가. 아니면 무관심이었던가. 다행히 2005년 '올해의 예술상'에서 비평부분 수상을 해서
시야안에 와 닿아준 것이 마냥 고마울 따름이다.

대학시절, 비평수업을 진행하는 선생님의 외모나 말투, 심지어 걸음걸이까지 어쩌면 그렇게도
'딱 비평전공 선생답다'는 느낌을 풍겨주시던지. 그래서일까, 나의 편견은 그 후로 오랫동안 - - - -
출판업을 하는 대장과 그 옆에서 초반부터 끝까지 신나게 고개 젖혀가며 주무신 연린은
'머릿속에 남는 말이 없다'며 쓴웃음을 지었지만, 나는 마음 훈훈해진 것이 마로니에공원에서
신나게 노는 어린아이보다 더 기분이 좋아진 것이다. 역시, 무지에서 오는 앎의 즐거움을 누리고
있는 것일까. 그렇게되면 나는 행복한 사람인가. 안쓰러운 사람인가. 과연 어떤 사람인가....
등등의 생각을 하자면 나비처럼 붕붕 떠오른 나의 기분이 폭. 내려앉아버리니 생략하고.

봄날에, 콧구멍에 뜨끈한 바람쐬며 이런 공간을 누비고 있자니 마음 훈훈해지는구랴.
당분간 자유로운 몸을 이끌고 여기저기 누벼보는 것을 어떨까. 하며
서점에서 괜히 들뜬 마음을 감추지 못하고 서성이는 나.

 

아참.
토크쇼는 과연 토크쇼인 듯하다. 말재주는 없어도 글재주는 뛰어난(ㅎㅎ) 성석제의 수더분함이 더해져
둘은 '진정한 만담쇼'를 성공리에 마칠 수 있었고, 그 옆에는 이 자리를 만들기 위해 애쓰셨다는
시인 정형철의 꼼꼼한 애착만담쇼에 그 중 가장 날카로웠던 시민대표 학생분까지.
만담의 어수선함과 따뜻함과 비장함을 엿볼 수 있었던 자리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월중가인님의 "공식 변명, 사과문 올립니다.."

원래는 댓글로 단 건데 달다 보니 페이퍼가 되었습니다 그려~

바일라 님이 외국시트콤 이야기를 하니까, 일전에 칼럼에서 보았던 재미있는 이야기가 생각납니다.

'코스비 가족'의 '코스비'를 기억하시는지 모르겠네요. 코스비가 스타가 된 후 나이도 지긋할 즈음 동창회를 가졌어요. 반갑게 인사도 하고 술도 한 잔 하고 이렇게 이 중년의 아저씨, 아줌마들은 헤어졌다죠. 이 일을 회상하면서 코스비가 이런 말을 남겼다고 해요.

"나는 친구들을 만나러 갔는데, 가보니 친구들은 없고 친구들 부모님만 앉아 계시더라."

정말 멋진 유머인 것 같아요. 보는 순간 정신이 아찔했습니다.

제 이론집을 열어 보니 이 경우는, 음.. 연쇄 반응 이론(일명 도미노 이론)이라고 나오네요. 앞의 말을 따르다 보면 자꾸자꾸 문제가 커지고 해결은 어려운 현상이죠. 이 문제의 해결 방법은 앞의 거를 따지지 말고 전체 혹은 그 뒤의 말들을 예견하면서 '고리'를 끊어줘야 합니다.
위 댓글에서 대표적인 고리를 지목하자면 '즐찾'이야기가 되겠네요. '즐찾'은 '즐찾'하는 사람의 권리이므로 이에 대해서 '삭제 운운'은 그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지요. 그것은 위의 페이퍼 문제나 그 후의 '댓글 문제'를 떠나, 또 하나의 '댓글 문제'로 비화할 수 있는 소지가 있습니다. 이것으로 볼 때 앞으로도 그 '위험한 고리'는 또 생길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든답니다.

'연애'에서는 아주 유용한 이론인데요. 싸움이 생기면 대개 그것을 해결하거나 무마하려고 헛되이 접근했다가 오히려 사이가 틀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잠깐 제3자가 되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것을 다른 말로는 '환기'라고 하지요. '환기'의 중요성은 파스칼에 잘 나와 있습니다.

ㅋㅋ 사설이 길었습니다만
저는 바일라 님께 이 글을 잠시 덮어두고 1년이나 3년쯤 후에 다시 보시기를 권합니다. 이 일과 관련된 감정과 여러 사정이 '냉정'을 가로막는 장해가 될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거든요. 이루어질 수 없는 연인도 그 끝을 보고 나서야 그 사실을 알듯, 시일이 지나고 이 일에 감정이 생기지 않을 즈음 이 글과 댓글들을 본다면 이것이 소중한 경험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고, 이 사건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 또한 알게 될 것 같습니다. 바일라 님의 페이퍼와 관련된 일련의 모습들은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의 핵심을 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교육, 토론, 블로그, 댓글문화 등등..
제가 볼 때 원글-후기글-댓글 사이에 바일라 님을 휘감는 유령이 떠나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힘 내시기를, 아프락사스 님의 위 댓글에는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