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aladin.co.kr/blog/mypaper/880013

내 은사님은 매우 예민하다. 그게 좀 심하기도 한데, 특히 맞춤법에 있어서는 더욱 그렇다.

차를 몰고 가다가 표지판의 어법이 틀렸으면 당장 당국에 전화를 해서 수정을 요구한다.

하지만 대개는 수정되지 않는다.

그 길을 다시 지나며 은사님은 '괜한 아픔'을 또 느끼신다.

그래서 은사님 앞에서 발표를 할 때는 발음이며 어법을 살핀다.

나도 그 '편벽'을 조금 물려받았을까?

뉴스를 보거나 신문을 보거나 잘못된 부분들을 그냥 넘기지 않고,

한참 분개를 하고서야 지나간다.

그때마다 '아프다'

내가 아파야 하는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그 '아픔'의 속성이라는 것은

識字憂患

오래전에 이곳을 거쳐간 사상가나 문학가들이 느낀 '고통'을 조금 알 것도 같다.

우리나라에서는 서비스업, 특히 서점을 이용하는 것이 매우 두렵다.

그들의 서비스 정신이라는 것은 서비스의 대상을 '사물 혹은 나쁘게 말하면 먹이'로 인식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만약 그들이 서비스의 대상을 '인간'이라고 인식한다면 인간을 상품보다 밑으로 두는 일은 없을 것 같다. "만원이십니다" 같은 것을 두고 하는 말은 아니다. 요즘은 '서비스'라는 것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FTA가 최악의 시나리오로 이루어져 서비스 업종이 대거 진출을 한다면 우리의 '서비스 색채'를 갖지 못한 상태에서 무방비로 시장을 내주지 않을까 하는 걱정마저 든다. 못된 비약에다 결벽증세이지만 그렇다는 것이다.

암튼 나는 지금 몹시 아프며, 서비스 하는 분들을 접할 때마다 상처받을까 두렵다.

이러다 대인공포증이 생기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아무래도 이 글은 필터를 통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도 하는데 그냥 흘려보낸다.

'딴지돌이' 승주나무는 그렇지만 소심한 'B형'은 아니다. ㅋㅋ

원하는 고객에게만 모니터를 실시한다.

모니터를 하면서 글을 다듬고, 그것이 반영되면 또 행복할 뿐이다.

녹색평론에서는 '결제'를 '결재'라고 표기해서 불평글을 또 남겼다.

답장 메일에는 고쳐주셔서 정말 감사하다는 말과 함께 '주문하신 책을 보내드리지요'라고 했다.

아직까지 서점가에서 (겉으로라도) 나의 진심을 알아준 곳은 녹색평론뿐이다.

http://www.aladin.co.kr/blog/mypaper/869873

이때는 내가 또 말을 잘못했나 하여 걱정스럽기도 했다.

내가 OO문고에 잘 안 가는 이유는 "만원이십니다"를 지적했더니 '재수없다'는 눈으로 쳐다봤기 때문이다.

싱겁소심한 승주나무^^;;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늘빵 2006-05-18 13: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 역시 알아야 그것두 지적이 가능하죠. 그냥 그런가부다 하고 지나가는 저는 눈에 잘 안들어오더라구요.

물만두 2006-05-18 13: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소심하시면서 잘하시네요^^ㅋㅋ

chika 2006-05-18 13: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하시는거예요. (근데... 그래서 저도 댓글 잘 안쓰는거 이해하시죠? 흐흐흐~

승주나무 2006-05-18 18: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프락사스 님//'알아야 면장질을 하지'라는 말이 갑자기 떠오르네요^^ 제 눈에는 아프락사스 님만 들어오는데요^^(제가 또 무슨 말을)
물만두님//너무 하세요 ㅠㅠ;; ^^;; (울다 웃는 승주나무)
치카치카 뿡뿡 님//정체를 밝히시지요. 매일같이 아뒤를 바꾸니 제가 '존함'을 정하기가 매우 힘들지 않습니까. 그리고 댓글 안 다시면 제가 서재를 '급습'하겠습니다. (반 협박임)^^

chika 2006-05-18 17: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급습은 하나도 두렵지 않다네~ 룰루~ (방어가 철저한! 이라고 표어를 내걸고 싶지만, 와봤자지~ 라는 생각이 더 크기땀시...흐흐~)

승주나무 2006-05-19 09: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
치카님, 과연 그럴까요. (실은 내가 더 두려움^^;;;;)
 

NSA도청, 감시망 에셜론 하루 30억건 엿들어

출처 : 경향신문
입력시간: 2006년 05월 12일 18:11

미국 국가안보국(NSA)은 지구상의 모든 신호정보(SIGINT)를 포착, 분석하는 국방부 산하 첨단 정보기구이다. 이 기구는 1952년 창설 이래 베일에 철저히 가려져 있었지만, 지난해 12월 뉴욕타임스가 9·11테러 이후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이 NSA에 대해 ‘영장없는 도청’을 승인했다고 폭로하면서 세상의 관심을 끈 바 있다.


NSA가 포착하는 신호정보에는 유·무선 전화와 팩스, 전자우편, 무선통신은 물론 미사일 발사실험 때 방출되는 전자신호도 포함된다. 이 때문에 NSA는 ‘전세계 공중의 모든 소리를 빨아들이는 진공청소기’에 비유되기도 한다. 위성촬영, 적외선촬영, 전파감청 등과 같이 최첨단 장비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첩보원을 통한 정보수집을 주로 하는 중앙정보국(CIA)과 구별된다.

NSA 촉수 역할은 모든 종류의 통신을 도청할 수 있는 정보감시망인 ‘에셜론’이 하고 있다. ‘UKUSA 안전보장조약’이라는 비밀협정에 따라 현재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와 같이 운영중인 에셜론은 하루 30억건의 통화를 감청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무선 전화와 팩스, 전자우편, 무선통신 등 지구상을 떠다니는 모든 신호를 잡아내 분석한다. 이를 위해 120개가 넘는 인공위성과 음성분석 능력을 가진 슈퍼컴퓨터가 동원된다. 통화내용 가운데 ‘테러’ ‘핵무기’ ‘대통령’ 등 특정 단어가 포착되면 슈퍼컴퓨터는 통화내용을 정밀분석하게 된다.

2001년 NSA를 해부한 ‘미 국가안보국: 비밀의 실체’라는 책을 쓴 제임스 뱀퍼드는 ‘애틀랜틱 먼슬리’ 4월호에서 NSA의 정보활동을 ‘빅 브러더스’로 묘사한 바 있다. 그에 따르면 국제통신은 세가지 방식을 통해 이뤄진다. 하나가 위성을 통한 방식이다. 전세계에서 미국으로 오는 통신은 30개의 국제통신위성인 ‘인텔샛’을 거쳐 미국내 기지국에 잡힌다. 동부에는 웨스트 버지니아주 이탐에 AT&T 기지국이, 서부에는 워싱턴주 브루스터 인근에 민간기지국이 있다. NSA는 이들 기지국 인근에 비밀감청소를 설치해 통신내용을 포착한다. 두번째, 해저 광케이블을 통하는 것으로 태평양과 대서양 연안의 케이블 중계소는 NSA 본부와 직접 연결돼 있다. 미국본토와 연결되지 않은 외국 해저 광케이블에는 지미 카터호와 같은 특수 잠수함을 이용, 도청장비를 부착한다. 인터넷 통신의 경우 NSA는 민간 기지국과 연결해 모든 e메일과 인터넷 검색내용을 파악한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NSA내 수 많은 암호해독가와 번역전문가를 통해 내용이 발가벗겨진다.

NSA는 9·11테러와 관련한 정보도 포착한 바 있다. 최근 CIA 국장에 지명된 마이클 헤이든 전 NSA 국장은 언론 인터뷰에서 9·11테러 하루 전날 NSA가 2개의 관련 메시지를 잡아냈다고 밝힌 바 있다. 2개의 메시지는 ‘경기는 내일 시작된다’와 ‘내일 0시’ 등 두가지였다. 아프가니스탄에 있는 알 카에다 기지에서 나온 걸 포착한 것이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9·11 당일까지 그 뜻을 해독하는 데 실패했고, 결국 무방비로 9·11테러를 당해야 했다.

NSA는 CIA, 국방정보국, 국가정찰국, 국가영상지도국과 함께 미국 5대 정보기관으로 불리지만 규모면에서 최대이다. 예산은 CIA에 비해 2배나 큰 것으로 알려졌다. 메릴랜드주 포트 미드에 있는 NSA를 방문한 적이 있는 뱀퍼드는 그의 책에서 “95~99년 전체 예산은 1백75억7천60만달러로 2000년에서 2001년 사이에 73억4백만달러가 추가로 요구됐다”고 밝힌 바 있다.

암호해독가, 수학자, 컴퓨터프로그래머 등 인력은 CIA와 FBI를 합친 것보다 많은 3만8천여명에 달한다. 이외에도 정식 직원에 포함되지 않는 중앙안보군 소속 2만5천명이 더 있다. 본부 건물만 50동에 달하고 NSA에서도 핵심인 작전본부 건물은 8만4천평에 달한다고 전했다.

냉전시대 적국의 정보수집을 위해 창설됐던 NSA는 냉전이 종식된 뒤에는 그 활동반경을 경제분야로까지 확대하고 있다.

미국의 국익에 심대한 영향을 끼치는 외국의 기업체와 단체들을 감시대상 명단에 포함시켜 이들에 대한 감청활동을 하는 것이다. 이 명단에는 외국의 금융기관과 석유회사, 곡물 메이저, 다국적 기업들이 빠짐없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아마 미국의 세계적 헤게모니도 남의 정보를 엿보는 이 NSA 없이는 불가능할 것이다.

〈조찬제기자〉
기사제공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실업률 씁쓸한 하락

출처 : 경향신문
입력시간: 2006년 05월 11일 17:51

국제유가 상승과 원·달러 환율하락으로 국내 경제에 주름살이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 고용회복마저 더디게 이뤄지고 있다.

11일 통계청이 내놓은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수는 30만7천명이 늘어 30만명대에 ‘턱걸이’했다.

취업자수 증가폭은 올해 2월 32만7천명, 3월 27만2천명에 그쳐 3개월 연속 정부 목표치(35만~40만개)에 밑돌았다.

반면 지난달 실업자는 84만6천명으로 1년전보다 5만8천명(6.4%)이 감소해 실업률은 1년전보다 0.3%포인트 하락한 3.5%를 기록했다.

일자리 공급이 충분치 못했는데도 실업률이 감소한 것은 새로 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되는 청년층이 줄어든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전신애 사회통계국장은 “4월들어 실업률이 감소한 데는 20대층이 ‘눈높이 취업’을 위해 학원에 다니거나 고시준비를 이유로 비경제활동인구로 많이 빠져나간 것도 주요 원인이 됐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고용회복이 더딘 것은 제조업과 도·산매업의 고용부진이 계속되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제조업의 경우 수출이 두자릿수 성장을 지속하고 있음에도 취업자수는 1년전보다 8만3천명(1.9%) 줄면서 14개월째 감소세를 보였다.

도·산매, 음식·숙박업 취업자도 내수경기 회복에 불구하고 1만8천명(0.3%) 감소했다. 수입쌀 개방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여파로 농림어업 취업자도 8만7천명(4.5%) 줄었다.

한편 재경부 박병원 제1차관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내수 경기와 밀접한 서비스업에서는 취업자가 44만9천명이 늘어 고용상황이 호전되고 있다”며 “도·산매업 취업자가 감소한 것은 대형할인점·홈쇼핑 등으로 영세 유통부문의 구조조정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강진구기자 kangjk@kyunghyang.com〉

기사제공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일본군의 진주만 기습이 되풀이되지 않게 하기 위해 1947년 창설돼 60년 가까이 미국 정보기관들의 ‘맏형’ 역할을 해온 CIA의 자리가 흔들리게 된 것은 냉전이 끝난 뒤부터다. 1993년 2월 정치첩보에서 경제첩보로 역할 전환을 선언했지만 각국의 첨단기술 동향을 파악하고 미 산업기술의 유출을 막는 낯선 임무에 적응해가는 사이 백악관의 관심에서 멀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로봇(robot)은 ‘일하다’는 뜻의 체코어 ‘robota’에서 나왔다. 로봇이란 말은 체코 작가 카렐 차페크의 희곡에서 처음 쓰였다. 이 희곡에 등장하는 로봇은 인간의 노동을 대신하도록 개발됐다. 그리스 신화에 제우스가 놋쇠로 만든 거인 ‘탈로스’가 나오는 것을 보면 로봇과 인조인간에 대한 인간의 관심은 내재적 요소가 아닐까.

출처 : 경향신문 5월 6일자 '여적'(쓰다 남은 먹물)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늘바람 2006-05-15 05: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그렇군요. 상식꺼리 하나 던져주셨네요. 얼마나 오랫동안 기억할지 모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