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시퍼 - 악의 역사 3, 중세의 악마
제프리 버튼 러셀 지음, 김영범 옮김 / 르네상스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악의 역사 초기부터 악을 인격의 역사라고 정의하였다. 인격의 역사란 악에 인위적 관념을 부여하는 것으로 철저히 인간의 차원에서 다뤄지게 된다. 인위적이란 것은 ‘거짓’이나 ‘과장’이 있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이다.


루시퍼가 그런 존재이다. 루시퍼는 교훈적인 목적을 위해 과장된 채로 전승되었다. 루시퍼는 신이 창조해놓은 우주를 죄로 망쳐버린 악마이자 영원한 벌을 받는 존재이다.



악이란 사실 ‘무지’의 반영일 뿐이다. 전승해오는 이야기를 보면 사탄은 지구에서 생명을 잃어버린 바로 그 중심, 암흑 속에 존재한다. 그곳은 가장 낮은 곳이며, 중대하고 무거운 죄로 가득 찬 곳이다. 사탄은 회전하는 세계의 죽은 지점에 꼭 들어붙은 채 아무런 움직임도 보이지 않는다. 사실 그곳은 매우 어둡다. 어둡다는 것은 생명이 없다는 것, 무익함과 무의미, 암흑, 그리고 비존재를 뜻한다. 루시퍼는 바로 죽음과 죄의 무의미함이자 영원히 고립된 어둠의 집단에 사는 존재이다.


사실 악마는 인간에 의해 채용된 것이 아니었을까. 인간은 영원히 인간을 지배할 수는 없다. 하지만 그것이 인간이 아니라면 언제까지나 지배력을 가지게 된다. 그것은 바로 신과 악마이다. 어둡고 무서운 곳에 악마를 배치함으로써 일탈행위나 일탈행위로 오인되는 ‘자유’를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14세기나 15세기 초반과 같이 역병, 기근, 전쟁 등 인간의 생명을 시시각각으로 위협하는 상황들은 ‘악마’의 유혹을 받기 매우 쉬운 시대였다.


악마가 위정자들에게만 효용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문학가들에게도 매우 큰 가치가 있었다. 문학가들은 위정자들보다 훨씬 구체적인 의미의 ‘악마 개념’을 형성한다. 풍자라는 기제를 이용해서 고위 성직자, 귀족, 상인들을 악마의 배열에 합류시킨다. 특히 악마가 이들을 데려오는 모습에서는 매우 의미심장한 은유마저 느껴진다.


어렸을 때 기억을 되돌려보면 ‘악마’라는 개념은 매우 낯설다. 그때는 귀신이나 괴물, 공산당이 있었을 뿐이다. 악마는 매우 현대적인 개념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악마가 어린애들을 데리고 무엇을 하겠는가.

나는 악마가 어떠한 방식으로든 실존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악마 역시 나와 마찬가지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음을 나는 믿는다. 단, 그들은 매우 인간적인 방식으로 성장하고 있는 거다. 악마는 인간 자체이기 때문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ephistopheles 2006-08-11 11: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베시시 웃으면서 조신하게 V자를 그려봅니다...^^

승주나무 2006-08-11 16: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매피 성님.. 애들 푸시죠^^ V
 

승주나무님, 안녕하세요! 고객님은 플래티넘회원입니다. 

혜택 : 3% 추가 마일리지 , 3천원 할인쿠폰 ,무료 문자메시지 100
최근 3개월간 순수구매금액 : 300,000원     만료일 : 2006년 11월 10일


맞추기 힘들었다.

근데 왜 저리 책은 미친듯이 샀을까..

읽었을까????

갑자기 눈물이 날라고 한다 ㅠㅠ(좋은 게 아니자나~)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늘빵 2006-08-11 08: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게 아닌데...;;;

Mephistopheles 2006-08-11 08: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내가 웃어도 웃는게 아니야~~♪ ♪ 내가 웃어도 웃는게 아니야~~♪ ♪

물만두 2006-08-11 10: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아~아~ 웃고 있어도 눈물이 난다~ 그대 나의 현금아~~~~~~~~~

stella.K 2006-08-11 10: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책을 그렇게 많이 사는구나. 생각해 보니 난 태어나서 그렇게 질러보질 못했다.
 
전국책 고담총서 13
유향 지음, 신동준 옮김 / 인간사랑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객이 주족에게 상국 직책의 유지방안을 일러주다

주난왕 22년(기원전 293), 위나라 장수 서무가 싸움에 패하자 서주군이 상국 주족(周足)을 진나라로 보내고자 했다. 그러자 어떤 사람이 주족에게 이같이 말했다.
“그대는 어찌하여 군왕에게 말하기를, ‘제가 진나라로 가면 진나라와 서주의 관계는 틀림없이 악화되고 말 것입니다. 군왕의 총신들이 진나라의 신임을 얻어 서주의 상국이 될 생각으로 진나라에서 저를 헐뜯을 것이 뻔하기 때문입니다. 그리되면 신은 사자의 직책을 다할 수 없습니다. 저는 상국의 자리를 내놓은 뒤 사자로 가고자 하니 군왕은 곧 상국이 되고자 하는 자를 후임으로 선발토록 하십시오. 그가 상국이 되면 두 나라 관계를 고려해 헐뜯지는 않을 것입니다.’라고 하지 않는 것입니까. 그러면 군왕은 진나라의 입장을 생각해 그대를 상국의 자격으로 보낼 것입니다. 그대를 사자로 보내면서 상국의 자리를 면직시키면 그대가 말한 대로 일이 잘 이뤄지면 이는 모두 그대가 성사시킨 셈이 됩니다. 설령 두 나라 관계가 악화될지라도 군왕은 그대와 관계가 좋지 않은 자들 때문이라고 생각해 그들에게 벌을 내릴 것입니다.”
「전국책(戰國策), 서주책(西周策) 중에서」


중국의 장기는 그냥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말과 상, 포와 차의 동선은 인물의 '위치'를 말하며, 한땀한땀 옮기는 선택에는 매우 다양한 전략이 들어간다. 다른 말과 함께 의각지세[犄角之勢] 를 이루기도 하고, 살을 떼어주고 뼈를 취하는 '희생전략'을 쓰기도 한다. 때로는 나의 말을, 때로는 남의 말을 이용하는 것은 피아를 구분하지 않고 각각의 말을 '대상'으로 취급하고, 그들의 욕망을 이용하는 것이다.

위의 상황은 서주의 상국 주족이 국가적 위기상황을 해결해야 하는 '특사 파견'의 임무를 앞두고 자신의 신변을 고민하고 있다. 움직이자니 국가 간의 국면에 따라 희생당할 수도 있고, 거스르자니 상국(오늘날의 총리급)이라는 직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세객이 내놓은 전술은 '자신의 위치와 상대의 욕망을 이용하라'였다. 주족이 상국 신분으로 방문하는 것과 일반인 신분으로 방문하는 것은 '외교의 본질'이 다른 것이다. 하지만 진나라는 매우 강국이고 주나라는 매우 약소하다고 했을 때 주족이 진나라에 가서 나라를 팔아먹었다고 모함을 받을 수 있는 상황과 정적들이 주족에 앞서 진나라의 총애를 받고자 하는 욕망을 생각할 때 주족은 이들의 욕망을 적절히 이용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

세객의 진단이 주효할 수 있었던 까닭은 주족에 비해 현재의 상황을 매우 입체적으로 파악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들의 논리를 이름붙인다면 '세객 논리' 혹은 '권모술수의 논리학' 정도 될까. 이들의 논리가 학문적 논리보다 독특한 것은 '상황'이라는 변수를 더하기 때문이다. 플로베르의 '일물일어'를 여기 적용한다면, 한 상황에서는 최선의 행위가 있기 마련이다. 이 최선의 행위를 출력해내기 위해서는 '유익한 지수'를 담아야 한다. 혹시라도 담아야 할 지수가 빠진다면 좋은 결과물이 나올 수 없다.

우리는 동양고전이라고 하면 고리타분하거나 진부하고 교훈적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것은 공맹이나 노장 등의 학자들이 가지고 있는 외양적인 이미지에 기인한다. 정확히 말하면 우리가 부여한 '이미지화'에 기인한다. 하지만 교훈적이라는 '공맹유학'조차도 현실에 대한 치열한 성찰을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춘추전국 이후부터 중국의 철학은 유학, 노장학, 법가(엄격한 법률)가 매우 유연하게 교류해 왔었고, 이에 대한 결정은 '유세가'들이 해왔다. 전국책에서 공맹이 언급된 부분이 3회를 넘지 않는다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

권모는 누군가를 속인다는 행위로 한정지어져서는 안 된다. 그러면 국가외교는 사기술이 되며, 외교관들은 사기꾼이 된다. 차라리 매우 복합적인 지수를 가지고 연산을 해내는 '실전논리학'이라고 해야 마땅할 것이다. 바둑에서 하수와 고수가 있듯이 '권모'에도 급수가 다르다. 연암 박지원의 말마따나 '열흘짜리 전략이 있는가 하면 100년도 너끈히 견디는 견고한 전략'이 있다.

암튼 텍스트 하나 올리고 나서 말도 징~허가 많이 했다. 간만에 쓰는 거니 봐주지 않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좌구명의 국어 - 고담총서 14
좌구명 (지은이) | 인간사랑
정   가 : 35,000원
판매가 : 31,500원(10%off, 3,500원 할인)
마일리지 : 950원(3%)
특징 : 춘추시대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저서로 각국이 맹수처럼 달려들지만 '천자의 자날,
주나라'에 대한 충성, 아니 '로망'은 있었던 시대였다.
가장 초기의 저서이지만, 나는 가장 마지막으로 확보함










춘추좌전 1 - 한길그레이트북스 74 | 원제 春秋左傳
좌구명 (지은이), 신동준 (옮긴이) | 한길사
1권 정   가 : 25,000원, 판매가 : 22,500원(10%off, 2,500원 할인), 마일리지 : 680원(3%)
2권 정   가 : 20,000원, 판매가 : 18,000원(10%off, 2,000원 할인), 마일리지 : 540원(3%)
3권 정   가 : 30,000원, 판매가 : 27,000원(10%off, 3,000원 할인), 마일리지 : 1,350원(5%)
총 67,500원 들었음..
특징 : 내가 손꼽아 기다리던 동양 고전 번역서였음. 공자의 춘추를 가장 확실히 재구성하였고,
위의 국어의 저자와 같은 사람이라고도 하며, 다른 사람이라고도 함. 암튼 매우 재밌을 것 같음










유향의 전국책 - 고담총서 13
유향 (지은이), 신동주 (옮긴이) | 인간사랑

정   가 : 45,000원
판매가 : 40,500원(10%off, 4,500원 할인)
마일리지 : 1,220원(3%)
특징 : 사마천 사기열전의 본류임. 이 책들에 비하면 사마천의 사기는 새발의 피. 외교적으로 맹추인
대한민국을 위해서라도 열심히 읽어야 하는 책임.
전국시대는 '천자의 나라'고 뭐고 없었던 양아치의 시대, 죽이지 않으면 죽는 시대였음.
그만큼 처절했고, 백가쟁명도 꽃피었던 시대. 중국 역사에서 '사춘기' 같은 시대임.


종합 140,000원 정도.. 할인받은 거 빼면 한 12장 좀 되나..
한 번에 구매하기는 어려워 띄엄띄엄 확보했음.
이제 동양고전 세트가 모두 내 손으로 들어왔으므로 열심히 읽어서 '권모술수'를 익히는 일만 남았음.
나중에 자리깔아야지.

암튼 내가 젊을 때 이 책들이 다 번역된 것에 대해 매우 기쁘게 생각함^^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늘빵 2006-08-10 08: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휴 이런걸 어캐 봐.

승주나무 2006-08-10 11: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프 님// 편식하면 안 돼요^^

stella.K 2006-08-10 12: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미있을라나? 일단 흥미롭긴 하다.^^
 

를 넘어섰다. 경향신문 블로그 스크랩 말이다.


힘든 때도 많았는데, 지금이 그렇다.

지난 한 달이 수시1 시험기간이어서 오늘도 하루 종일 '밀린 숙제'를 했다.

요즘 밀린 스크랩을 한번에 하는 날이 많아졌다.

스크랩을 조금만 줄였으면 알라딘에서 많이 사랑받았을 텐데..

하루도 빼지 않고 스크랩을 하다보니 독서에도 지장이 많아

몇 번이고 그만 두려고 했는데...

찾는 사람이 많아지고, 나름대로 사회를 읽는 관점도 필요했기에

게다가 요즘 독서 통계 낼 때 '신문독서'까지 포함시키지 않나 말이다.

암튼 기분은 뿌듯^^;;

1년간 우리 사회에 있었던 사건과 쟁점들이 들어 있으니

필요하신 분은 가져가3=3=3



블로그주소 : http://blog.dreamwiz.com/97dajak

개설일 : 2005-04-27 오후 3:17:09 (나의 말년휴가 기간, 군에서 경향을 받기로 작적했음)

통계 총 게시글 : 5070 개 (하루평균 10 개, 평균이 이렇다는 것임.. 체감 게시글은 50~100개쯤?)

총 방문자 : 94788 명 (하루평균 202 명, 사이트 개편되면서 많이 줄었음, 손님은 지금의 서재 수준으로 떨어짐 ㅠㅠ)

총 덧글수 : 57 개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6-08-08 22: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드려요^^

승주나무 2006-08-08 22: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마태우스 2006-08-09 07: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루평균 200명의 블로그라니, 대단하군요~ 곧 10만명을 돌파하겠군요!

승주나무 2006-08-10 06: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태님^^ 요즘 뜸하긴 한데.. 하루에 100개씩 쓰니까 100명씩은 몰리네요
일인 미디어의 중심이 되렵니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