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KBS 촬영 기념 정모에서
평소 친하게 지냈던 한 알라디너에게 '사상검증'을 하겠노라고 농을 떨었던 적이 있었는데,
이상한 방향으로 검증국면이 몰아쳤다.
알라딘에 풍파가 잦다.
요즘 바깥 일로 가끔 들어오는데, 그때마다 주제가 생긴다.
어느 분은 '세계대전'이라고 평가하기도 하지만,
나는 '대전'이라는 말을 붙이기도 그렇고, '전쟁'이라는 말을 붙이기에도 민망하다.
'국지전' 정도로 정리하고 싶다.
전쟁은 이러저러한 변화를 몰고 오기 마련이지만,
최근 몇몇의 국지전은 '알라딘의 관습(?)'을 더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자극을 준 것 같다.
다만 먼 발치에서 '조롱'의 노랫말이 가끔 들리기는 한다.
굳이 상황을 진정시키고 싶지 않다.
나는 이 상황을 진정시킬 위치에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진정'을 '두둔'보다 더 못된 개념으로 보기 때문이다.

그보다는 지금까지 적지 않은 시간 동안 관심을 가져왔던 커뮤니티에 대해서
표시를 좀 해두고자 한다.

1. 두둔주의

천박하게 '두둔주의'라고 표현해 보았지만, 이러한 일정한 흐름이 있다는 것은 분명한 것 같다. '사발면' 님은 이에 대해서 어느 절도 적절히 포착한 듯하다.

3) 평소에는 논리를 강조하다가 특정인을 보호하고자 할 때는 다른 이를 희생양 삼아 물타기를 하거나 시스템 탓을 하는 등 논점을 흐리는 데 총력을 기울인다.
- 논쟁을 통해 알라딘을 알다(http://blog.aladin.co.kr/740924123/1610514)

알라디너들에 대해서 '병폐'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표적으로 지적하는 특징이다. 하지만 '두둔주의'는 그 표현과 같이 간단하게 성립되는 개념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알라딘이라는 특정 커뮤니티에서만 벌어지는 현상이 아니라 네이버, 다음, 싸이 등 대한민국에 존재하는 온라인/오프라인 커뮤니티 모두에 해당하는 일반적인 현상이라는 점에서 '특정 비판'을 거부한다. 만약 이 결론을 거부하는 사람이라면, 알라디너가 이웃 알라디너에게 '반론'을 제기할 때 어떤 방법을 쓰는지 조금만 시간을 들여서 관찰해 주기를 요청한다. 여기서 '반론'이라는 개념을 인위적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이른바 '환대의 반론'과 '여야의 반론'이다. '여야의 반론'이야 우리나라 국회의 여당과 야당의 밑도끝도 없는 논쟁을 생각하면 될 것이다. 아마 '환대의 반론'이 비판자들에게 받는 혐의의 대부분을 가지고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만약 알라디너 이웃들이 '패거리'를 이뤄 방어동작을 취하는 모습을 봐왔던 비판자라면 시간을 그 당시로 돌려서 지나친 점이 없는지 환기하기를 바란다. 패거리주의 자체를 두둔하는 것은 아니다. 패거리주의 외에도 혹시 중요한 문제를 빠뜨리지는 않았는가 하는 걱정 때문이다. 예컨대 '위서가'라는 사람이 '중복리뷰 등의 논쟁'을 불러왔을 때 '패거리주의'가 포착되었을 수도 있다. 나는 그 상황을 다르게 해석하고 싶다. 애초에 그 논쟁은 '논쟁'의 요건을 성립시키지 못한 채 알라디너의 방어기제를 자극했다. 1. 특정인을 공격했고, 2. 정당한 논쟁의 절차를 깡그리 무시했고, 3. 반론을 경청하지 않고 귀를 닫았을 뿐만 아니라 '이럴 것이다' 하고 이미 결론을 내렸다. 이 모습을 통해 이미 짐작했겠지만 '여야의 논쟁'이 그려진다. 결국 이 사람은 논쟁을 할 생각이 없었던 것이다.
내가 아는 한에 있어서 알라디너들은 현안마다 방어자세를 취하지 않는다. 방어자세를 취할 때는 특정한 어떤 상황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방어자세를 위한 방어자세가 없다고 할 수는 없다. 알라디너 역시 팔이 안으로 굽는 커뮤니티이기 때문이다.


투자를 해보라, 대화를 해보라, 경청을 해보라.
왜 굳이 아웃사이더 혹은 방외인에 머무르고자 하는 것일까.
한 번 들어와 볼 수는 없을까?
당신이 생각하는 벽 외에
'당신'이라는 벽은 왜 감안을 안 하나?
(당신은 특정인을 지칭하는 것이 아님을 밝힙니다. 이에 대한 문맥이 있으니 추가 설명은 생략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패거리주의'라는 프레임을 절대로 벗어나지 못한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Mephistopheles 2007-10-05 21: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승주나무님 요즘 잘 지내십니까 구경만 하다 댓글 남깁니다.
전 "조롱" 쪽이 아니였나 싶습니다..아님 말고요.^^

저는 논쟁 이후가 더 흥미로웠습니다. 전형적인 패거리두둔주의를 표방하는 페이퍼들이 속출하더라고요.^^ 이것도 역시 나만 그렇게 보였나? 면 할말 없고..^^

승주나무님의 페이퍼 내용은 알라딘 외곽에 존재하는 아웃사이더들 뿐만이 아니라 알라딘 내부에서 열심히 활동하고 흔적을 남기시는 분들도 한번쯤은 조근조근 읽어봐야 하는 내용이 아닐까 싶습니다.

승주나무 2007-10-05 23:14   좋아요 0 | URL
메피 성님 안녕하세요. 예전에는 꽤 친했다고 생각하는데, 제가 알라딘에 뜸하다 보니 대충 멀어진 것 같이 됐습니다. 하지만 마음만은 총각 시절과 변함이 없답니다.
알라딘 커뮤니티는 온갖 모순이 뒤섞여 있는 곳임에는 틀림없지만,
제게는 정감있고 매력적인 곳입니다.
재미있는 분들도 많고요.
만약 알라딘 마을에 '병통'이나 '폐습'이라는 것이 있다면
마을 주민으로서 그것의 정체를 밝혀야겠고,
혹은 치유도 해야 하겠기에 참견을 해봤습니다~~

바람돌이 2007-10-05 22: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 며칠 알라딘을 등한시 했더니 그동안 또 무슨일이... 이런 뒷북을...ㅠ.ㅠ
패거리라는 말은 많이 들었지만 두둔주의라고 하니 또 다르네요. ㅎㅎ
뭔일인지 알아봐야 하나 그냥 방관할까 잠시 고민하고 있습니다. ㅎㅎ

승주나무 2007-10-05 23:17   좋아요 0 | URL
바람돌이 님 안녕하세요.
저도 그 내용을 다 알고 있지는 않은데요.
체셔2 님 본인에 관한 '...검증'인 것 같습니다.
제가 그 분의 페이퍼를 면밀히 보지 않아서
아는 바는 별로 없지만,
몇몇 분들이 강한 거부감을 표출하셨고,
이런 내용들이 살집을 더해가면서
본인은 상처를 받고 있는 상황이랍니다..

웽스북스 2007-10-06 00: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시스템의 이야기를 했던 게 이렇게 받아들여지게 될 줄은 또 몰랐어요- 제가 생각이 짧았나봅니다. 저는 꽤 중요한 문제라 여겼는데 말이죠 ^^; 언제쯤 알라딘 마을에 적응하게 될런지.......^^

승주나무 2007-10-06 01:22   좋아요 0 | URL
웬디 양 님..너무 심려치 마십시오.
분위기가 고조되고 격앙돼서 웬디양 님의 취지가 잘 녹지 않은 것 같습니다.
온도 유지를 하고 차분하게 대화를 계속 하면 나아질 겁니다.
지금은 알라딘이 정상적인 상황은 아닌 것 같습니다.
이것이 '정상'인지도 모르죠..쩝~~
 

안녕하세요.
추석은 잘 쇠셨는지 궁금합니다.
대보름처럼 환한 시간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1차에는  김택환 님 300부(논산), 손일형 님 200부(대전), 윤청하 님 200부(분당,용인), 박수무당 님 100부(충주), 전가영 님 30(천안)부 발송해드렸습니다. 총 830부였습니다.


지금까지 2차 배포를 신청해주신 분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1. sunbi 님 300부(충남 천안여고)
2. 조준혁 님 30부(서울 중랑구)
3. 양해성 님 150부(전북)
4. 유병민 님 30부(경기 안양)


※ 양해성 님은 주소와 연락처, 배포 부수 등을 '승주나무'에게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많은 분들의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2차분은 10월 2일 오후 2시까지 접수를 받습니다.
신청을 해주실 분들은
신청 부수와 배포 위치를 댓글로 남겨주시거나
독자단 '승주나무'의 휴대폰(019-286-0981)과 메일(
dajak97@hanmail.net">dajak97@hanmail.net)을 통해
배포 주소와 연락처 등 구체적인 정보를 말씀해주시면 됩니다.


※ 한 가지 짚고 넘어갈 게 있습니다.
'지역캠페인'이라고 하니까, 서울분들은 신청을 잘 안 하시는 것 같은데,
서울도 대한민국의 한 지역이기 때문에 신청에 제약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말씀해 둡니다.
조준혁 님은 서울 중랑구의 독자이시지만, 신청을 하셔서 발송할 예정입니다.
독자판이 모두 동이 나도록 얼굴없는 독자분들은 많은 호응을 부탁드립니다.

 

 


이제부터 독자판 2차 발송을 할까 합니다.


※ 시사인 판매팀장님의 협조를 얻어 지역캠페인 신청을 하시는 분들께는 시사인 창간호와 시사인 3호를 1부씩 넣어드릴 수 있게 되었어요. 지난번에 1차 배송할 때 느꼈던 건데, 독자판만 보내드리는 게 참 미안하더라구요. 그래서 시사인을 또 '협박(?)'해서 증정품을 확보했습니다(나 잘했죠 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래 글(http://blog.aladin.co.kr/booknamu/1593161)에서
'KBS1 다큐멘터리 "3일"'을 보라고 권했는데,
막상 피해의 현장 제주도에서는
다큐멘터리를 보지 못합니다.
그 대신 KBS 제주총국에서 보내주는,
제주특별자치도 관련 토론 방송을 보내주더군요.
KBS에 전화해서 따져묻고 싶었습니다.
꼭 보고 싶은 방송이고,
좋아하는 방송이었는데,
제주도 사람들은 "3일"이라는 다큐멘터리를 모릅니다.
제주 사람이 제주에 간만에 와서야
그 사실을 깨닫고 갑니다.
ㅠㅠ

'제주'의 현주소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인 것 같아 마음이 개운치 않습니다.
제주의 문제이지만,
언제나 제주는 문지방 밖에서 서성이고 있었네..
안에 들어와 보고 싶어도...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늘빵 2007-09-28 00: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금 제주도이신가봐요? 결혼하고 처음 맞이하는 명절이신거죠.

라주미힌 2007-09-28 16: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http://blog.aladdin.co.kr/zigi/1584920#C1307838

시간되면 나와.. :-) 경품 준데..
 

제주돕니다.
태풍 나리로 길이 끊긴 곳이 많고,
농작물, 추석 제수음식 할 것 없이 뿌리채 뽑힌 곳이 많아
제 허리가 다 꺾인 것처럼 쓰라립니다.
그보다 더 아픈 것은
이번 피해가 명백한 '인재'라는 점과
이 정도의 충격이면 여지없이 참사가 반복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 때문입니다.
저도 피해상황이나 여러 가지 사정은 살피지 못하고 있습니다.
제주도민으로서 말입니다.
다행히 오늘 밤(9월 27일) 10시에
'KBS 다큐 3일'에서
태풍피해 이후 3일간의 현장을
담았습니다.
함께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번 태풍은 제주도의 문제뿐만 아니라,
개발공화국이 안고 있는 우리나라 전체의 구조적인 문제이므로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추석특선영화보다는 가치 있는 방송이 아닐까 합니다.
제주도민뿐만 아니라

태풍의 경로에 희생된 분들에게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태풍 ‘나리’가 휩쓴 제주도의 추석

KBS 1TV ‘추석 3일간의 기록’

닷새 동안의 추석 연휴가 막을 내렸다. 직장인에게는 달콤한 휴식, 시골 부모님들에게는 애틋한 만남, 꼬마들에게는 축제인 한가위 연휴를 즐기고자 사람들은 먼 길을 달렸다.

KBS 1TV ‘다큐멘터리 3일’은 추석연휴 기간을 되돌아보는 ‘2007 추석 3일간의 기록’을 27일 오후 10시에 방송한다. 본격적으로 귀성행렬이 시작된 22일 낮부터 추석 당일인 25일까지 전국의 추석 풍경을 10대의 카메라로 알알이 담았다.

세 살배기 아들을 둔 가장 김승만 씨는 22일 오후 3시 고향길에 올랐다. 살고 있는 부천을 출발해 전남 보성의 처가에 들렀다가 부모님이 계신 전남 여수 금오도로 간다. 기나긴 여정의 고단함도 우리나라 최남단 어촌 마을의 애틋한 추석 모습과 맞닥뜨리자 눈 녹듯이 녹아내리는데….

강풍과 폭우로 1000억원에 이르는 재산피해를 입는 등 아직 태풍 ‘나리’의 후유증에서 벗어나지 못한 제주도에서는 추석 분위기를 찾아보기 어렵다. 삽시간에 터전을 잃은 제주 사람들과 명절을 맞아 고향을 찾은 사람들은 물론 군 장병들까지 힘을 합쳐 삽자루를 다잡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손학규 대통합민주신당 예비후보가 경선 일정을 중단하고 폐칩에 들어간 것에 대해서 말들이 많다.
내일 그는 입장을 밝히겠다고 했으나,
어떤 입장을 선택하더라도 본인은 물론 당에게도 좋지 않은 결과를 불러올 공산이 크다.
특히 손학규 후보는 이와 같은 경력이 있기 때문에
'식상하다'는 느낌을 줄 수 있다.
이명박 후보처럼 온갖 스캔들에 휘말리는 것보다 더 무서운 것은
'식상하다'는 평을 듣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문맥과 상관 없이
손학규 후보와 토시 하나 빼놓지 않고 똑같이 행동한 사람이 <논어>에 보인다.
거기다 공자의 평이 기가 막히다.
아마 공자의 평이 '손학규 후보'에게까지 해당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제나라에서 '최자'라는 사람이 자산의 군주를 시해하였다. (이 광경을 지켜본)'진문자'라는 사람은 마차에 이삿짐을 싸고 고국을 떠나버렸다. 국경을 넘어 타국에 이르렀을 때, 그는 (국내 사정을 살펴보고는) 이렇게 말했다. "이곳도 역시 내 나라 대부인 최자의 제나라나 다름 없구나!"
역시 그곳을 버리고 또 다른 나라에 도달했다. (국내 사정을 살펴보고는) 그는 또다시 이렇게 말했다. 
"거기나 여기나 역시 내 나라 대부인 최자의 제나라나 다름 없구나!"
한탄하면서 그는 다시 그곳을 떠났다.
'자장'(공자의 제자)이 이 일을 들어 공자에게 물었다.
"진문자라는 사람은 어떻습니까?"
공자가 대답했다.
"'청렴하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어조사 '矣'(의)는 추측을 의미한다)
제자가 다시 물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이 '인(仁)'이라고 할 수 있겠는지요?"
공자가 대답했다.
"그게 인인지는 잘 모르겠구나. (동양에서 잘 모르겠다는 말은 대체로 '부정적' 의미를 뜻한다) 어떻게 '인'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

「崔子弑齊君, 陳文子有馬十乘, 棄而違之. 至於他邦, 則曰: "猶吾大夫崔子也."  違之. 之一邦, 則又曰: "猶吾大夫崔子也." 違之. 何如? 」 子曰: 「淸矣. 」 曰: 「仁矣乎? 」 曰: 「未知. 焉得仁? 」<논어, 공야장>

진문자의 자리에 '손학규 후보'를, 이곳에 언급된 나라들을 '한나라'와 '대통합 민주새나라'로 하면 딱 드러맞는다. 공자의 '인'이라는 말은 무슨 뜻일까. 각자의 상상에 맡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부리 2007-09-21 09: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전 경선이 불리하다고 뗑깡을 놓는 그 모습에서 5년 전의 이인제를 떠올렸어요 하여간 식상!

승주나무 2007-10-01 14: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부리 님..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대통합 전선이라고 하는 사람들 하는 행태가 점점 가관이네요.. 경선이 완주될지도 아직은 불확실한 것 같습니다. 이명박 씨는 대단한 요행이 따르는 사람인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