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가넷 > 싸이 하시는 분들은 보셨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양철학 석사과정 입학시험 기출문제

1990년도 석사과정 서양철학 전공
1. 소위 ‘근세철학’이 그 이전의 철학과 다르다면 어떤 점에서, 어떻게 다른가? ⑴ 제기된 문제 ⑵주장된 학설 ⑶사용된 방법의 각차원에서 상술하라.
2. “폭력혁명”과 관련하여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한다>는 입론에 대한 찬성 혹은 반대 논변을 전개하라.
3. 철학사상에 나타난 언어와 존재에 관한 철학적 입장 하나를 택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라.
위의 세 문제 모두를 대답하시오.

1991년도 석사과정 서양철학 전공
1. 플라톤의 이데아론이 이후 철학사에서 어떤 방식으로 계승 논의되는지 논술하라.
2. 아래 인용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나는 내가 하나의 실체요, 그 본질 내지 본성은 오직 생각하는 것이요, 또 존재하기 위하여 아무 장소도 필요로 하지 않고 어떠한 물질적인 것에도 의존하지 않는 것임을 알았다. 따라서 이 <나>, 즉 나를 나되게 하는 정신은 신체와 전혀 다른 것이요, 또 신체보다 인식하기가 더 쉽다. - 데카르트 -“방법서설” 제4부-
① 정신이 신체보다 인식되기 쉬운 이유
② 사유로부터 완전히 독립된 물질적 신체를 사유는 어떻게 인식하는가?
3. 권력과 권위의 차이를 논하시오.
4. 마음의 본성에 관한 행동주의, 환원주의, 기능주의를 비판적으로 비교 고찰하시오.

1992년도 석사과정 서양철학 전공
1. 노동개념에 근거한 재산권 정당화를 비판적으로 논의해 보시오.
2. 언어는 세계를 반영하는가?
3. 칸트에 있어서 인과적 자연법칙과 의지의 자유의 양립 가능성을 논하시오.
4. 아래 글에는 어떤 철학적 문제에 대한 두 대립되는 입장이 소개되고 있다. 이 두 입장의 간략한 설명과 함께 각 입장에 따르는 이론적 난점들을 상세히 논술하고, 그 난점들을 모두 피할 수 있는 제3의 대안이 있다면 소개하시오.
It seems evident that without any reasoning, or even almost before the use of reason, we always suppose an external universe which depends not on our perception but would exist though we and every sensible creature were absent or annihilated.
It seems also evident that when men follow this blind and powerful instinct of nature, they always suppose the very images presented by the senses to be the external objects, and nothing but representations of the other. This very table which we see white, and which we feel hard, is believed to exist independent of our perception and to be something external to our mind which perceived it.
But this universal and primary opinion of all men is soon destroyed by the slightest philosophy which teaches us that nothing can ever be present to the mind but an image or perception.
The table which we see seems to diminish as we remove further from it.; but the real table, which exists independent of us, suffers no alternation. It was, therefore, nothing but its image which was present to the mind. These are the obvious dictates of reason; and no man who reflects ever doubted that the existences which we consider when we say this house and that tree are nothing but perceptions in the mind.

1993년도 석사과정 서양철학 전공
Ⅰ에서는 4문항 중 3문항에 답하고, Ⅱ에서는 2문항 중 1문항에 답하시오.

1. 하단에 주어진 인용문에는 자연 현상에 접근하는 두 입장이 제시되어 있다. 두 입장을 정리하고 그 특징을 적어 보시오.
2. 철학사적으로 귀류법(Reductio Ad Absurdum)은 논증(argument)을 입증하는 간접적인 방식으로 받아들여 쓰여져 왔다. 간접 증명 방식으로서 귀류법이 정당화될 수 있는 근거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3. 사회 및 역사 인식에서의 설명과 이해의 관계를 논하시오.
4. 사실의 문제(matters of fact)에 관하여 우리는 필연성을 갖춘 확실한 지식을 가질 수 있는가? 있다면 어떻게 그것이 가능한지, 그리고 없다면 왜 그러한지 논하시오.


1. -
�척� 家���� ���철학적 차이점을 ‘숯�개념을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2. �와 MS의 gT이 지닌 공통점과 차이점을 간략히 논하시오.

However, I once heard someone reading from a book, as he said, by Anaxagoras, and asserting that it is mind that produces order and is the cause of everything. This explanation pleased me. Somehow it seemed right that mind should be the cause of everything, and I reflected that if this is so, mind in producing order sets everythings in order and arranges each individual thing in the way that is best for it. Therefore if anyone wished to discover the reason why any given thing same or ceased or continued to be, he must find out how it was best for that thing to be, or to act or be acted upon in any other way. On this view there was only one thing for a man to consider, with regard both to himself and to anything else, namely the best and highest good, since both were covered by the same knowledge.
These reflections made me suppose, to my delight, that in Anaxagoras I had found an authority on causation who was after my own heart. I assumed that he would begin by informing us whether the earth is flat or round, and would then proceed to explain in detail the reason and logical necessity for this by stating how and why it was better that it should be so. I thought that if he asserted that the earth was in the center, he would explain in detail that it was better for it to be there; and if he made this clear, I was prepared to give up hankering after any other kind of cause. I was prepared also in the other heavenly bodies, about their relative velocities and their orbits and all the other phenomena connected with them- in what way it is better for each one of them to act or be acted upon as it is. It never entered my head that a man who asserted that the ordering of things is due to mind would offer any other explanation for them than that it is best for them to be as they are. I thought that by assigning a cause each phenomenon separately and to the universe as a whole he would make perfectly clear what is best for each and what is the universal good. I would not have parted with my hopes for a great sum of money. I lost no time in procuring the books, and began to read them as quickly as I possibly could, so that I might know as soon as possible about the best and the less good.
It was a wonderful hope, my friend, but it was quickly dashed. As I read on I discovered that the fellow made no use of mind and assigned to it no causality for the order of the world., but adduced causes like air and sether and water and many other absurdities. It seemed to me that he was just about as Inconsistent as if someone were to say. The cause of everything that Socrates does is mind- and then, in trying to account for my several actions, said first that the reason why I am lying here now is that my body is composed of bones and sinews, and that the bones are rigid and separated at the joints, but the sinews are capable of contraction and reflection, and form an envelope for the bones with the help of the flesh and skin, the latter holding all together, and since the bones move freely in their joints the sinews by relaxing and contracting enable me somehow to bend my limbs, and that is the cause of my sitting here in a bent position. Or again, if he tried to account in the same way for my conversing with you, adducing caused such as sound and air and hearing and a thousand others, and never troubled to mention the real reasons, which are that since Athens has thought it better to sit here, and more right to stay and submit to whatever penalty she orders. Because by dog, I fancy that these sinews and bones would have been in the neighborhood of Megara or Boeotia long ago-impelled by a conviction of what is best- if I did not think that it was more right and honorable to submit to whatever penalty my country orders rather than take to my heels and run away. But to call things like that causes is too absurd. If it were said that without such bones and sinews and all the rest of them I should not be able to do what I think is right, it would be true. But to say that it is because of them that I do what I am doing, and not through choice of what is best-although my actions are controlled by mind-would be a very lax and inaccurated form of expression. Fancy being una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cause of a thing and the condition without whichit could notbe a cause. It is this latter, as it seems to me, that most people, grouping in the dark, call a cause-attaching to it a name to which it has no right. That is why one person surrounds the earth with a vortex, and so keeps it in place by means of the heavens, and another props it up on a pedestal of air, as though it were a wide platter. As for a power which keeps things disposed at any given moment in the best possible way, they neither look for is nor believe that it has any supernatural force. They imagine that they will someday find a mere mighty and immortal and all-sustaining Atlas and they do not think that anything is really bound and held together by goodness or moral obligation. For my part, I should be delighted to learn about the workings of such a cause from anyone but since I have been denied knowledge of it, and have been unable either to discover it myself or to learn about it from another. I have worked out my own makeshift approach to the problem of causation. Would you like me to give you a demonstration of it. Cebes? I should like it very much indeed.

1994년도 석사과정 서양철학 전공
1. 아래 지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From this equality of ability, arische equality of hope in the attaining of our ends. And therefore if any two men desire the same thing, which nevertheless they cannot both enjoy, they become enemies: and in the way to their end, which is principally their own conservation, and somethings their delectation only, endeavour to destroy, or subdue one another. And from hence it comes to pass, that where an invader hath no more to fear, than another man's single power; if one plant, sow, build, or possess a convenient seat, others may probably be expected to come prepared with forces united, to dispossess, and deprive him, not only of the fruit of his labour, but also of his life, or liberty. And the invader again is in the like danger of another.
And from this diffidence of one another, there is no way for any man to secure himself, so reasonable, as anticipation; that is, by force, or wiles, to master the persons of all men he can, so lang, till he see no other power great enough to endanger him: and this is no more than his own conservation requireth, and is generally allowed. Also because there be some, that taking pleausure in contemplating their own power in the acts of conquest, which they pursue farther than their security requires; if others, that otherwises would be glad to be at ease within modest bounds, able, long time, by standing only on their defense, to subsist. And by consequence, such augmentation of dominion over men being necessary to a man's conservation, it ought to be allowed him.
Again, men have no pleasure, but on the contrary a great deal of grief, in keeping company, where there is no power able to over-awe them all. For every man looketh that his companion should value him, at the same rate he sets upon himself: and upon all signs of contempt, or undervaluting, naturally endeavours, as far as he dares, (which amongst them that have no common power to keep them in quiet, is far enough to make them destroy each other), to extort a greater value from his contemmers, by damage; and from others, by the example.
So that in the nature of man, we find three principal causes of quarrel. First, competition; secondly, diffidence; thirdly, glory.
 위글에 함축된 인간관, 인간의 곤경에 대한 추론과정, 암시된 해결책 등을 논의하시오.

2. 다음중 한 문제를 선택하여 답하시오.
1) 실체(Substance)개념을 통하여 세계를 기술하는 데 어떤 이론적 장점 내지는 유용성이 있는지(또는 없는지)를 실체를 긍정하는 입장과 부정하는 입장을 대비시키면서 논하시오.
2) “변증법(Dialetics)은 논리가(Logic)가 아니다.” 이 주장의 타당성을 검토하시오.

3. 다음중 한 문제를 선택하여 답하시오.
1) -
�M� 家���� ���근본적인 차이점을 쉼납��중심으로 간략히 논하시오.
2) �와 L�@��ZX �#@�간략히 설명하고 그것이 지닌 철학적, 사회적 의미를 논하시오.

1995학년도 대학원 입학고사 전공과목 문제지

*문제 1은 필수, 문제 2, 3, 4, 5에서 2문 선택, 문제 6, 7에서 1문 선택
1. 아래 글을 읽고 우리 말로 답하시오. (필수)
If the receptivity of our mind, its power of receiving representations in so far as it is in any wise affected, is to be entitled sensibility, then the mind's power of producing representations from itself, the spontaneity of knowledge, should be called the understanding. Our nature is so constituted that our intuition can never be other than sensible; that is, it contains only the mode in which we are affected by objects. The faculty, on the other hand, which enables us to think the object of sensible intuition is the understanding. To neither of these powers may a preference be given over the other. Without sensibility no object would be given to us, without understanding no object would be thought. Thoughts without content are empty, intuitions without concepts are blind. It is, therefore, just as necessary to make our concepts sensible, that is, to add the object to them in intuition, as to make our intuitions intelligible, that is, to bring them under concepts. These two powers or capacities cannot exchange their functions. The understandign can intuit nothing, the senses can think nothing. Only through their union can knowledge arese. But that is no reason for confounding the contribution of either with that of the other; rather is it a strong reason for carefully separationg and distinguishing the one from the other. We therefore distinguish the science of the rules of sensibility in general, that is, aesthetic, from the science of the rules of the understanding in general, that is, logic.

'Sensibility'와 'Understanding'의 기능은 무엇이며 양자는 어떤 관계에 있는가?

2. 심신문제를 중심으로 하여 데카르트, 스피노자, 라으피니쯔의 실체개념을 논의하시오.

3. 물리적 대상에 관한 실재론과 관념론의 차이점을 비찬적으로 논의하시오.

4. 형이상학은 무엇을 어떻게 문제삼는가.

5. 쾌락주의(Hedonism)의 입장을 정리하고 그에 대해 가능한 반대논변들을 전개하라.

6. .��j이
�슐��주장을 뒷받침하는 세 가지 학설을 제시하고 설명하시오.

7. �의 �=U을 반대한 ?S의 논지를 약술하고 그 타당성에 대해 논해 보시오.

1996년도 석사과정 서양철학 전공

Ⅰ.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It may perhaps be objected that if extension and figure exist only in the mind, it follows that the mind is extended and figured; since extention is a mode or attribute which (to speak with the schools) is predicated of the subject in which it exists. I answer, those qualities are in the mind only as they are perceived by it - that is, not by way of mode or attribute, but only by way of idea; and it no more follows the soul or mind is extended because extension exist in it alone than it does that it is red or blue, because those colours are on all hands acknowledged to exist in it, and nowhere else. As to what philosophers say of "subject" and "mode", that seems very groundless and unintelligible. For instance, in this proposition - “a dis is hard, extended and square,"they will have it that the word die denotes a subject or substance, distinct from the hardness, extension, and figure which are predicated of it, and in which they exists. This I cannot comprehend: to me a die seems to be nothing distinct from those things which are termed its modes or accident. And, to say ”a die is hard, extended, and square" is not to attribute those qualities to a subject distinct from and supporting them, but only an explication of the meaning of the word die.

위의 글에서 글쓴이는 ‘predication'의 문제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밝히고 있다. 그 입장이 어떤 내용의 것인지를 그것과 반대되는 입장과 비교하면서 설명하시오.

Ⅱ. 다음 세 문제 중 하나를 선택하여 답하시오.
 1. 아리스토텔레스가 ‘우시아’(ousia) 개념으로 지시 혹은 설명하려한 사태가 어떤 것인지 논의 하시오.
 2. 논리학은 어떤 근거 위에 서 있는가? 이를 설명할 수 있는 가능한 입장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3. 거짓말이 정당화되는 경우가 있는가? 있다면 그 정당 근거를 도덕적 관점에서 제시하시오.

Ⅲ. 다음 두 문제 중 하나를 선택하여 답하시오.
 1. 유가에서 ‘ u’와 ‘ €’의 관계를 논하시오.
 2. ‘���찼��관하여 논하시오.

1997년도 석사과정 서양철학 전공 제2차모집

1. 다음 글에는 철학에 대한 저자의 견해가 들어 있다. 이 견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후, 그에 대한 수험자 자신의 입장을 밝히되, 반드시 이 입장을 뒷받침하는 논거들을 제시하시오.

I should have first of all desired to explain in it what philosophy is, beginning with the most ordinary matters, such as that this word philosophy signifies the study of wisdom, and that by wisdom we not only understand prudence in affairs, but also a perect knowldedge of all things that man can know, both ofr the conduct of his life and for the conservation of his health and the invention of all the arts; and that in order that this knoweldge should subserve these ends, it is essential that is should be derived from first causes, so that in order to study to acquire it (which is properly termed philosophising), we must begin with the investigation of these first causes, i.e. of the Principles. It is also necessary that these Principles should have two conditions attached to them; first of all they should be so clear and evident that the mind of man cannot doubt their truth when it attentively applies itself to consider them: in the second place it is on them that the knowledge of other things depends, so that the Principles can be known without these last, but the other things cannot reciprocally be known without the Principles. We must accordingly try to so deduce from these Principles the knowledge of the things that depend on them, that there shall be nothing in the whole series of the deductions made from them wdhic shall not be perfectly manifest. Ii is really only God alone who has Perfect Wisdom, that is to say, who has a complete knowledge of the trutht of all things; but it may be said that men have more wisdom or less according as they have mor or less knowledge of the most imprtant truths: And I think that in this there is nothing regarding which all the learned do not concur.
I should in the next place have cause the utility of this philosophy to be considered, and shown that since it extends over the whole range of human knowledge, we are entitled to hold that it alone is what distinguishes us from savages and barbarians, and that the civilisation and refinement of each nation is proportionate to the superiority of its philosophy. In this way a state can have no geerater good than the possession of true philosophy. And, in addition, it would have been pointed out that as regards the indidvidual, it is not only useful to live with those who apply themselves to this study, but it is incomparably better to set about it oneself; just as it is doubtless much better to avail oneself of one's own eyes for the direction of one's steps, and by the same means to enjoy the beauty of colour and light, than to close these eyes and trust to the guidance of anothter. But this last is better than to hold them closed, and not have any but oneself to act as guide. Speaking accurately, living without philosophyt is just having the eyes closed without trying to open them; and the pleasure of seeing everything that is revealed to our sight,is not comparable to the satisfaction which is given by the knowledge of those things which are opened up to us by philosophy. And finally, this study is more necessary for the regulation of our manners and for our conduct in life, than is the use of our eyes in the guidance of our steps.
...
Following on this, and in order to make very clear the end I have had in view in publishing them, I would like to explain here what seems to me to be the order which should be followed in our self-instruction. To begin with, a man who as yet has merely the common and imperfect knowledge which may be acquired by the four methods before mentioned, should above all try to form for himself a code of morals sufficient to regulate the actions of his life, because this does not brook any delay, and we ought above all other things to endeavour to live well. After that he should likewise study logic-not that of the Schools, because it properly speaking is only a dialectic which teaches how to make the things that we know understood by others, or even to repeat, without forming any judgment on them, many words respecting those that se do not know, thus corrupting rather than increasing good sense-but the logic that teaches us how beat ot direct our reason in order to discover those truths of which we are ignorant. And since this is very dependent on custom, it is good for him to practise the rules for a long time on easy and simple questions such as those of mathematics. Then when he has acquired a certain skill in discovering the truth in these questions he should begin seriously to apply himself to the true philosophy, the first part of which is metaphysics, which contains the principles of knowledge, amongst which is the explanation of the principal attributes of God, of the immateriality of our souls, and of all the clear and simple notions which are in us. The second is physics in which, after having found the true principles of material things, we examine generally how the whole universe is composed, and then in particular what is the nature of this earth and of all the bodies which are most commonly found in connection with it, like air, water and fire, the loadstone and other minerals. It is thereafter necessary to inquire individually into the nature of plants, animals, and above all of man, so that we may afterwars be able to discover the other sciences. These reduce themselves to three principal ones, viz. medicine, mechanics and morals-I mean the highest and perfect moral science which, presupposing a complete knowledge of the other sciences, is the last degree of wisdom.

Ⅱ. 다음 2문제 중 1문제를 선택하여 답하시오.
1. 자기의식은 대상 세계에 대한 인식에 비해 특권적 지위를 누릴 수 있는가?

2. 도덕적 책임과 관련하여 그 면책 조건으로서 무지와 강제를 들 수 있다. 이에 기초를 두고 도덕적 책임추궁을 위한 선결 요소들을 보다 광범위하게 논의해보시오.

Ⅲ. 다음 2문제 중 1문제를 선택하여 답하시오.

1. gj의 ‘ 룪��‘삞�개념을 설명하시오.
2. �7 .슴��7 .슛�나누는 철학적 근거를 제시하시오.

1998 학년도 대학원 신입생 정시모집 입학고사 전공과목 문제지

1. 아래의 글에서 중요한 철학적 논점들을 찾아보고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적어도 하나의 논점에 대하여 그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1. Every art and every inquiry, and similarly every action and choice, is thought ot aim at some good; and for this reason the good has rightly been declared to be that at which all things aim. But a certain difference is found among ends; some are activities, others are prouducts apart from the activities that prouduce them. Where there are ends apart from the actions, it is the natrure of the products to be better than the activities. Now, as there are many actions, arts, and sciences, their ends also are many; the end of the medical art is health, that of shipbuilding a vessel, that of strategy victory, that of econocics wealth. But where such arts fall under a single capacity ―as bridle-making and the other arts concerned with the equipment of horses fall under the art of fiding, and this and every military action under strategy, in the same way other arts fall under yet others― in all of these the ends of the master arts are to be preferred to all the subordinate ends; for it is for the sake of the former that the latter are pursued. It makes no difference whether the activities themselves are the ends of the actions, or something else apart form the activities, as in the case of the sciences just mentioned.

2. If, then, there is some end of the things we do, which we desire for its own sake (everything else being desired for the sake of this), and if we do not choose everything for the sake of something else (for at that rate the process would go on to infinity, so that our desire would be empty and vain), clearly this must be the good and the chief good. Will not the knowledge of it, then, have a great influence on life? Shall se not, like archers who have a mark to aim at, be more likely to hit upon what we should? If so, we must try, in outline at least, to determine what it is, and of which of the sciences or capacities it is the object. It would seem to belong to the most autoritative art and that which is most truly the master art. And politics appears to be of this nature; for it is this that ordains which of the sciences should be studied in a state, and which each class of citzens should learn and up to what point they should learn them; and we see even the most highly esteemed of capacities to fall under this, e.g. strategy, economics, rhetoric; now, since politics uses the rest of the sciences, and since, again, it legislates as to what we are to do and what we are to abstain form, the end of this science must include thouse of the others, so that this end must be the good for man. For even if the end is the same for a single man and for a state, that of the state seems at all events something greater and more complete both to attain and ot preserve; for thought it is worth while to attain the end merely for one man, it is fier and moere godlike to attain it for a nation or for city-states. These, then, are the ends at which our inquiry, being concerned with politics, aims.

2. 다음 문제 중 한 문제를 선택하여 답하시오.
1) 형이상학적 연구의 초월성에 대하여 논하라.
2) ‘이성’ 내지 ‘합리성’이 의미하는 바를 풀이하고 그 기준을 제시해보라.
3) 언어가 철학에서 중요한 문제가 되어온 이유들을 가능한 한 여러 측면에서 논해보라.

3. 다음 문제 중 한 문제를 선택하여 답하시오.
1) 묵자의 < u> 개념과 공자의 < u> 개념의 철학적 의미를 대비하여 논하시오.
2)
�;이 ;
E에서 표방하는
����見gi. �#���D�꽵�어떻게 수용하였는지를 밝히라.
3) 조선후기 실학사상의 철학적 성격을 논해보시오.

2000 학년도 대학원 신입생 정시모집 입학모사 전공과목 문제지

1. 제시문에 나타난 지식에 관한 논의를 정리하고 지식내에서 원리의 위치와 성격을 논하시오.
Now what knowledge is, if we are to speak exactly and not follow mere similarities, is plain from what follows. We all suppose that what we know is not capable of being otherwise; of things capable of being otherwise we do not know, when they have passed outside our observation, whether they exist or not. Therefore the object of knowledge is of necessity. Therefore it is eternal; for things that are of necessity in the unqualified sense are all eternal; and things that are eternal are ungenerated and imperishable. Again, every science is thought to be capable of being taught, and its object of being learned. And all teaching starts from what is already known, as we maintain in the Analytics also; for it proceeds sometimes through induction and sometimes by deduction. Now induction is of first principles and of the universal and deduction proceeds from universal. There are therefore principles from which deduction proceeds, which are not reached by deduction; it is therefore by induction that they are acquired. Knowledge, then, is a state of capacity to demonstrate, and has the other limiting characteristics which we specify in the Analytics; for it is when a man believes in a certain way and the principles are known to him that he has knowledge, since if they are not better known to him than the conclusion, he will have his knowledge only incidentally.

Knowledge is belief about things that are universal and necessary, and there are principles of everything that is demonstrated and of all knowledge (for knowledge involves reasoning). This being so, the first principle of what is known cannot be an object of knowledge of art, or of practical wisdom; for that which can beknown can be demonstrated, and art and practical wisdom deeal with things that can be otherwise. Nor are these first principles the objects of wisdom, for it is a mark of the wise man to have demonstration about some things. If, then, the states by which we have truth and are never deceived about things that cannot―or can―be otherwise are knowledge, practical wisdom, philosophic wisdom, and comprehension, and it cannot be any of the three (i.e. practical wisdom, scientific knowledge, or philosophic wisdom), the remaining alternative is that it is comprehension that grasps the first principles.

2. 다음 4문제 중에서 2문제를 선택해 답하시오.
1) “존재하는 것은 지각된 것이다. (To be is to be perceived)” 이 명제가 어떻게 구성되며 이 명제에 대한 어떤 비판이 가능한가?
2) 원인(cause)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과 근세 기계론적 철학의 입장이 어떤 점에서 어떻게 다른지 논하시오.
3) ‘이성’이란 무엇을 뜻하는가? ‘상대적 이성’이라는 것도 말할 수 있는가?
4)자유 개념에 대한 형이상학적-존재론적 입론과 사회철학적-윤리학적 입론들의 대표적인 유형을 제시하고, 각각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밝히시오.

3. 다음 2문제 중에서 1문제를 선택하여 답하시오.
1) 유가와 묵가의 <� 관념의 차이를 말하시오.
2) ��꽵�불교비판에 대해 논하시오.


2003년 후기 서양철학 대학원

Ⅰ. 다음 글에서 ‘관념'(idea)은 어떻게 정의되고 있으며, 관념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등을 밝히면서 관념의 문제와 관련하여 필자가 취하고 있는 입장을 정리하고 그 입장에 대한 비판적 혹은 동조적 관점 중에서 하나를 택하여 그 입장에 대해 논하시오.
  First, however, considerations of order appear to dictate that I now classify my thoughts into definite kinds, and ask which of them can properly be said to be the bearers of truth and falsity. Some of my thoughts are as it were the images of things, and it is only in these cases that the term 'idea' is strictly appropriate- for example, when I think of a man, or a chimera, or the sky, or an angel, or God. Other thoughts have various additional forms: thus when I will, or am afraid, of affirm, or deny, there is always a particular thing which I take as the object of my thought, but my thought includes something more than the likeness of that thing. Some thoughts in this category are called volitions or emotions, while others are called judgements.
  Now as far as idea are concerned, provided they are considered solely in themselves and I do not refer them to anything else, they can not strictly speaking be false; for whether it is goat or a chimera that I am imagining, it is just as true that I imagine the former as the latter. As for the will and the emotions, here too one need not worry about falsity; for even if the things which I may desire are wicked or even non-existent, that does not make it any less true that I desire them.  Thus the only remaining thoughts where  I must be on my guard against making a mistake are judgements. And the chief and most common mistake which is to be found here consists in my judging the ideas which are in me resemble, or conform to, things located outside me. Of course, if I considered just the ideas themselves simply as modes of my thoughts, without referring them to anything else, they could scarcely give me any material for error.
  Among my ideas, some appear to be innate, some to be adventitious, and others to have been invented by me. My understanding of what a thing is, what truth is, and what thought is, seems to derive simply from my own nature. But my hearing noise, as I do now, or seeing the sun, or feeling the fire, comes from things which are located outside me, or so I have hitherto judges. Lastly, sirens, hippogriffs and the like are my own invention. But perhaps all my ideas may be thought of as adventitious, or they may all be innate, or all made up; for as yet I have not clearly perceived their true origin.    

Ⅱ 다음의 네 가지 문제 중에서 한 문제를 선택하여 답하시오.
1. 실재론과 관념론은 무엇에 대한 어떤 주장들인가?
2.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윤리를 설명하고 대비되는 입장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시오.
3. 이성과 관련하여 ‘역사의 진보’에 대해 논의하시오.
4. “인간은 과학적 탐구활동을 통해 감각적 경험의 한계를 넘어 있는 그대로의 세계에 대하 이론적 지식을 획득하게 되었다”는 견해를 옹호하거나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Ⅲ. 다음 두 가지 문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답하시오.

1.  ��ダ�어떤 의미의 켿 K인지 설명하라.
2.  ��‘ �C’와 {`의 ‘�C’이념의 철학적 의의를 대비적으로 논하시오.

 

2004학년도 대학원신입생 전기모집 입학고사 전공과목 문제지

I. 다음의 지문에서 필자는 두 가지 종류의 직관(intution)이 존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직관의 대상을 함께 고려하면서 이러한 두 가지 종류의 직관이 무엇이며 서로 어떻게 구별되는지에 대한 필자의 주장을 예를 들어 자세하게 설명하고 이러한 필자의 주장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시오.


The essence(Eidos) is an object of a new type. Just as the datum of individual or empirical intution is an individual object, so the datum of essential intution is a pure essence. Here we have not a mere superficial analogy, but a radical community of nature. Essential intution is still intution, just as the eidetic object is still an object. The generalization of the correlative, mutually attached concepts "intution" and "object" is not a causal whim, but is compellingly demanded by the very nature of things. Empirical intution, more specifically sense-experience, is consciousness of an individual object, and as an intuting agency "brings it to giveness": as perception, to primordial givenness, to the consiousness of grasping the object in a "primordial way", in its "bodily" selfhood. On Quite similar lines essential intution is the consciousness of something, of an "object", a something towards which its glance is directed.


II. 다음의 3문제 중에서 2문제를 선택하여 답하시오.

1. 이성론[합리론]과 경험론의 중심쟁점과 그 전개과정을 서술하시오.
2. 사회구성의 방법으로서 사회계약론의 근대적 모형들을 현대철학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논의하시오.


2004학년도 후기 대학원(서철전공 석사) 입시문제

※ 아래의 지문을 읽고 문제에 대답하시오.
Dostoevski once wrote "If God did not exist, everything would be permitted"; and that, for existentialism, is the starting point. Everything is permitted if God does not exist, and man is in consequence forlorn for he cannot find anything to depend upon either within or outside himself. He discovers that he is without excuse. For if indeed existence precedes essence, one will never be able to explain one's action by reference to a given and specific human nature; in other words, there is no determinism - man is free, man is freedom. Nor, on the other hand, if God does not exist, are we provided with any values or commands that could legitimate our behaviour. Thus we have neither behind us, nor before us in a luminous realm of values, any means of justification or excuse. We are left alone without excuse. That is what I mean when I say that man is condemned to be free. Condemned, because he did not create himself, yet is nevertheless at liberty, and from the moment that he is thrown into this world he is responsible for everything he does. … The existentialist thinks that every man, without any support or help whatever, is condemned at every instant, to invent man.

1. 위의 지문에 의거하여 “Man is condemned to be free”라는 말의 의미를 설명하고 그러한 주장의 타당성에 대해서 논해 보시오.


※ 아래의 세 문제 중에서 두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2. ‘계몽’이란 무엇인가? ‘계몽’의 원리가 내포한 해방적 성격과 지배적인 성격의 내용을 철학적으로 논하시오.

3. 마음(정신, 의식)이 세계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관한 하나의 이론을 제시하고 그에 대해 논하시오.

4. 정의의 윤리(ethics of justice)와 배려의 윤리(ethics of care)는 상호 어떤 관련을 갖는가?


2005학년도 후기 대학원(서양철학 전공) 입시문제(채점위원)

석사과정

1. 아래의 지문을 읽고 문제에 대답하시오.
So that in the nature of man we find three principal causes of quarrel. First, competition; secondly, diffidence; thirdly, glory. The first makes man invade for gain; the second, for safety; and the third, for reputation. The first use violence, to make themselves masters of other men's persons, wives, children, and cattle; the second, to defend them; the third, for trifles, as a word, a smile, a different opinion, and any other sign of undervalue, either direct in their persons or by reflection in their kindred, their friends, their nation, their profession, or their name. Hereby it is manifest that, during the time men live without a common power to keep them all in awe, they are in that condition which is called war, and such a war as is of every man against every man. [...] To this war of every man against every man this also is consequent, that nothing can be unjust. The notions of right and wrong, just and injustice, have there no place. Where there is no common power, there is no law; where no law, no injustice [...] It is consequent also to the same condition that there be no propriety, no domination, no "mine" and "thine" distinct, but only that to be every man's that he can get, and for so long as he can keep it [...] The passions that incline men to peace are fear of death, desire of such things as are necessary to commodious living, and a hope by their industry to obtain them. And reason suggests convenient articles of peace, upon which men may be drawn to agreement.
- 위 지문을 단서로 분쟁의 원인을 설명하고 “공통의 힘”의 성립을 정당화해보시오.

※ 아래의 두 문제에 모두 대답하시오.
2. ‘인식론’이란 무엇인가? ‘이성주의’와 ‘경험주의’를 비교하면서 논하시오.
3. 정신은 물질과 어떤 관계에 있는가?


2005학년도 대학원 신입생 전기모집 입학고사 전공과목 문제지

1. 아래의 지문을 읽고 질문에 답하시오.
The utilitarian morality does recognize in human beings the power of sacrificing their own greatest good for the good of others, It only refuses to admit that the sacrifice is itself a good. A sacrifice which does not increase or tend to increase the sum total of happiness, it considers as wasted. The only self-renunciation which it applauds is devotion to the happiness, or to some of the means of happiness, of others, either of mankind collectively or of individuals within the limits imposed by the collective interests of mankind.
I must again repeat what the assailants of utilitarianism seldom have the justice to acknowledge, that the happiness which forms the utilitarian standard of what is right in conduct is not the agent's own happiness but that of all concerned. As between his own happiness and that of others, utilitarianism requires him to be as strictly impartial as a disinterested and benevolent spectator. In the golden rule of Jesus of Nazareth, we read complete spirit of the ethics of utility. "To do as you would be done by," and "to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constitute the ideal perfection of utilitarian morality.
- 위 지문의 내용을 요약한 후에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 아래 두 문제 중에서 한 문제만을 골라 답하시오.
2. 현상과 실재의 구분을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3. 합리적 믿음과 진리의 관계를 논하시오.

* 아래 두 문제 중에서 한 문제만을 골라 답하시오.
4. 윤리적 가치나 도덕규범은 객관적으로 실재하는 것으로서 발견되는 것인가, 아니면 주관적 감정이나 생각에 의해 창안, 구성되는 것인가?
5. 사회 통합과 관련하여 의사소통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비판적 사회이론에서 ‘언어작 패러다임’의 도입이 가지는 의의를 논하시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늘빵 2006-02-25 11: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 어렵군...

승주나무 2006-02-25 12: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 나중에 대학원 준비할 때 쓰려고 모아놨어요. 철학과나 동양철학, 고전문헌...등등, 학으로 가는 길은 멀고도 험하야ㅡㅡ

승주나무 2006-02-25 23: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페이퍼 돌아다니다 '자꾸 때리다' 님이 올리신 거 퍼 왔어용^^
 
 전출처 : stella.K > [퍼온글] 다시 읽고 싶은 블로그가 되기 위한 SONIC의 법칙.

다시 읽고 싶은 블로그가 되기 위한 SONIC의 법칙.

Simplicity:
간단 명료한 글이 읽기 좋음은 만고의 진리입니다. 블로그도 마찬가지입니다. 여러분의 레이아웃을 고려하여 적절한 양의 글만 쓰는 것이 바쁜 읽는 이를 편하게 합니다. 특히 RSS리더에 노출되는 제목이나 첫 문단은 특히 간결하게 하여 독자가 읽을지 말지 빨리 판단하도록 하면 더 좋습니다.
Originality:
여러분만의 목소리, 여러분만의 감수성을 세상에 보여주세요. 독창적인 컨텐츠를 스스로 만들고, 특히 Cut&Paste는 되도록 하지 맙시다. 요즈음 펌 블로그가 많습니다만, 독자들은 여러분의 블로그에서만 볼 수 있는 무언가가 있을 때 고마워할 것입니다.
News:
뒷북보다는 뉴스가 일반적으로 즐겁기 마련입니다. 사실에 근거한 기사를 쓰는 기자의 심정이 되어 봅시다. 특종을 잡았을 때, 내일 아침 스타 블로거가 되는 것은 시간 문제입니다. 그렇다고 허풍이나 과장은 안되겠지요.
Impact:
지금 쓰려는 여러분의 의견은 세상에 어떤 충격을 주려 하고 있습니까? 읽는 이에게 남는 주장을 하도록 노력합시다. 단적으로 말해서 왜 스스로의 시간과 자원을 써가며 글을 쓰고 있는지 생각해 봅시다.
Care:
블로그는 댓글(comment)과 관련글(trackback)이 얽히고설키는 관계를 증식합니다. 마치 인맥이 넓어지듯 글맥이 넓어지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독선적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타인을 존중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행여 스스로 느끼지 못할 경우도 있으니까, 가까이 있는 동료나 친구에게 "요즈음 내 블로그 어때?"라고 물어 보는 것도 좋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라주미힌 > [퍼온글] 마호멧 만평 사태의 본질

마호멧 만평 사태의 본질
종교적 갈등을 넘어 다차원적 접근 필요
엄한진(성균관대) 
상대적으로 일국 차원의 현상이었던 프랑스 소요사태나 국제정치경제적 차원에서 어느 정도 설명되었던 9.11테러와 달리 만평사태는 매우 많은 요인들이 연관된 현상이다. 우선 유럽-이슬람 관계의 역사, 유럽 내 무슬림들의 문제, 제2차 이라크전쟁 이후의 중동정세와 유럽-아랍의 정치적 관계, 극우주의 및 유대인문제와의 연관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게다가 이번 사태에는 최근 유럽을 포함해 전지구적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는 종교와 사회의 갈등, 특히 “종교 관련 사항을 세속법 차원에서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라는 문제가 결부되어 있다.

먼저 이번 사태의 전개과정을 되짚어 보자. 2005년 9월 30일 덴마크 보수일간지 율란트-포스텐(Jyllands-Posten)에 이슬람을 창시한 예언자 마호멧을 테러리스트로 풍자한 그림 등 12장의 만평이 게재되었다. 처음에는 덴마크 내에서만 문제가 되었다가 2005년 12월 경 중동 등 여러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이렇게 만평문제가 세계적인 사안이 되자 2006년 1월 10일 노르웨이의 한 일간지 매거지넷(Magazinet)이 12장 그림 전체를 게재하였고 주로 언론간 연대 차원에서 2월 1일 프랑스 일간지 프랑스 수아(France Soir), 그리고 이어서 독일(Die Welt), 스위스(Tribune de Geneve, Le Temps) 등 여러 유럽국가들에서 신문 게재가 이어졌습니다. 아랍 등 이슬람국가들에서도 만평이 유럽처럼 몇몇 언론에 게재되었었다. 만평사건이 세계적인 문제로 비화한 후에는 예상되었던 대로 각지에서 이슬람신자들의 격한 대응이 잇따랐고 그 과정에서 아프가니스탄 등지에서 1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이슬람권 국가들의 작품, 그리고 그 배경에는 유럽의 개입 증대가

우리는 여기에서 이번 문제가 본격적으로 제기된 것은 만평이 처음 게재된 지 2달이 넘게 지난 2005년 12월이었다는 점에 주목하게 된다. 그리고 그 때는 마침 57개국 정상들이 모인 이슬람회의(Organisation of Islamic Conference, OIC)가 사우디의 메카에서 열리고 난 직후였다는 점에서 이해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실제 이 회의를 결산하는 성명서에 덴마크의 만평문제가 언급되었고 이슬람권 국가들의 정부 차원의 노력이 만평문제가 본격화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이번 만평에 표현된 마호멧과 테러리즘의 연관성은 이 만평이 있기 오래전부터 전 세계의 많은 사람들의 의식 속에, 말 속에, 심지어는 다양한 이미지들에 깊이 뿌리내려 온 것이다. 그리고 특히 이러한 인식은 9.11 이후 더욱 확고해졌다. 사실 이번 12장의 그림 중 가장 문제가 되었던 시한폭탄 형태의 터번을 쓴 마호멧 그림이 상징하는 테러리즘으로서의 이슬람이라는 표상은 세계정세에 어두운 우리에게조차도 너무 익숙한 것이다. 결국 지난 11월 우리를 놀라게 한 프랑스 소요사태 역시 무엇보다도 국가의 작품이었듯이, 이번 만평 파문 역시 다소 사소하고, 그리 새로울 것 없고 국지적인 사안이 위로부터, 즉 이번 경우에는 이슬람국가들에 의해 매우 심각한 사안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그렇다면 아랍정권들이 이렇게 한 원인은 무엇일까? 우선 우리는 그 배경으로 최근 팔레스타인 총선에서 하마스가 승리하고 상당수 아랍국가들에서 이슬람주의자들이 의회에 대거 진출하는 등 아랍정치권력이 구가해 온 그간의 장기집권을 위협할 수 있는 최근의 정치변동을 떠올릴 수 있다. 즉 유럽 대 이슬람이라는 대립구도에 대중의 민족주의적인 정서를 동원하여 정권의 안정을 도모한 것이라는 설명이 가능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정권유지 전략에 '유럽'이라는 요인이 동원되었다는 것은, 역으로 이번 사태에서의 아랍진영의 과도한 대응의 이면에는 점증하는 유럽의 중동개입이라는 현실적 배경이 있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번 만평과는 비교도 되지 않게 자신들에게 희생과 모욕을 준 미국에 대해서는 침묵을 지켰던 아랍 국가들이 다양한 채널을 통해 유럽정부에 압력을 가하고 사과를 요구한 것은 의아하고 역사상 전례가 없는 일이다. 우리는 그 원인을 이번 사태에서 눈에 띄게 적극적인 대응을 한 나라들이 공히 최근 유럽과 갈등관계에 있는 나라들이라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즉 이번 사태의 본질 중 하나는 3년 전 미국의 이라크 침공 당시와 달리 중동, 동유럽, 아프가니스탄 등지에서 점차 미국에 협력하고 미국을 대체해가고 있는 유럽의 존재에 대한 거부감의 표현인 것이다.

예를 들어 이란의 주도적인 대응은 시아파의 예외적인 신앙심때문이라기보다 이란 핵문제에서 유럽이 오히려 미국보다 더 적극적이 된데서 그 배경을 찾을 수 있다. 이란의 핵문제와 관련해 미국의 부당한 의심을 막아왔던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2005년 9월 갑자기 이란에 대한 불신을 표명하면서 이란 핵문제가 유엔 안보리 상정 등 급박하게 진행되었다. 이란은 이 의심을 풀기 위한 많은 노력을 했지만 “이란의 핵관련 기술은 언젠가는 핵무기개발로 이어질 수도 있다“라는 미국의 억지를 이겨낼 수 없었고 그 와중에 2005년 9월 만평 게재문제가 덴마크에서 불거진 것이다. 결국 미국에 더해 유럽까지 가세한 최근의 압력으로 인해 매우 곤란한 입장에 놓여 있던 이란의 입장에서 보면 만평사건은 유럽의 압력이 이란만을 향한 것이 아니라 이슬람과 무슬림 모두를 향한 것이라는 유용한 논리를 준 천재일우의 기회였던 것이다.

아프가니스탄에서도 나토군의 유럽병력이 점차 미군을 대체하고 있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탈레반이나 알 카에다와 직접 싸우게 되는 것은 미국이기보다는 유럽이 된 것이다. 탈레반을 후원해 온 파키스탄이 이번 만평 사건에서 두드러진 반응을 보이는 것도 이 지역에서 유럽 대 탈레반이라는 구도가 형성되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시리아의 다마스, 레바논 베이루트에서의 격렬한 시위 역시 최근 프랑스가 시리아의 레바논 간섭에 대해 적극적인 공세를 편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런 점들을 고려할 때 이슬람을 모독한 자들에 죽음을 달라고 부르짖을 때 이슬람인들의 머리 속엔 만평의 작가보다는 유럽국가의 정부들, 그리고 아랍세계에 평화유지군으로, 엔지오로, 성직자로, 기업가로 와 있는 유럽인들이 있었을 것이다. 물론 이제는 너무도 명백한 지배자가 된 미국과 오버랩되면서 말이다. 좀더 오래 전 일들을 기억하는 이들에게는 제국주의 유럽의 악몽이 떠올랐을 수도 있다.

‘이슬람 문제’가 두려운 유럽의 무슬림들

이번 사태와 연관된 사람들은 유럽 외부의 무슬림들만이 아니다. 지난 프랑스의 소요사태에서처럼 보다 직접적으로 만평과 만평이 대변하는 편견의 표적이 되었던 것은 오히려 유럽 사회 내의 무슬림들이다. 그런데 거의 같은 시기에 발생한 이 두 사건은 최근 몇 년 사이에 급격히 세를 불리고 있는 유럽의 극우세력 문제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그것은 유럽의 경우 극우정당의 주된 자원이 반이민정서이며 대부분의 유럽국가들에서 주된 이민집단은 이슬람권에서 온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대부분 이슬람권 출신자들과 연관된 이민문제를 핵심적인 사회문제로 부각시키는 것이 성공의 열쇠인 유럽의 극우세력에게 이번 사건은 이슬람이 문제가 되었다는 사실만으로도 세력 확장의 호기인 셈이다.

일찍이 만평이 게재되었던 노르웨이의 경우 지난 2005년 9월 총선에서 극우정당인 진보당이 22%의 득표로 제1야당이 되었는데 이번 사건에서의 노르웨이를 겨냥한 시위와 폭력은 극우주의의 기반인 반이슬람 정서를 한층 강화시키고 있다. 프랑스에서도 극우세력들은 만평 게재지인 프랑스 수아(France Soir)와의 연대를 표시하고 이번 사건을 외부 이슬람인들에 의한 자국의 표현의 자유 침해로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지난 번 프랑스 소요사태에서도 그러했듯이 서유럽의 이슬람신자들은 이슬람국가들의 신자들에 비해 매우 조심스럽고 방어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들은 이렇게 말한다. “우리는 평화를 원한다. 이슬람은 평화의 종교다. 이슬람공동체는 평화의 공동체다“. 이민문제, 이슬람문제가 중요한 사회문제로 제기되는 것은 그것이 어떤 성격의 것이든 이슬람문화권 출신의 유럽인들에게는 위협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사실 그들은 유럽의 주류 백인사회가 자신들을 이슬람이나 아랍으로 규정하는 것이 지니는 해악적인 효과를 너무나도 잘 알고 있다. 그들은 무슬림, 아랍인보다는 프랑스시민, 덴마크시민으로 남과 다름없이 대접받고 싶은 것이다. 그런데 시민으로 평등하게 대접해 주지 않으려는 주류사회가 그들을 아랍인, 이슬람인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너희들은 본질적으로 다르니까 우리와 절대 같아질 수 없다. 즉 진정한 프랑스인, 독일인이 될 수 없으며, 너희들은 다르니까 다른 대접을 하는 것이다“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한편 유럽의 무슬림들을 주류사회와 구별되는 존재로 규정하는 것은 유럽사회뿐이 아니다. 알제리, 파키스탄, 터키, 이란 등 자신들의 모국 역시 대유럽 전략에 유럽에 있는 자국동포들을 이용하려 한다. 그러나 당사자들은 자신들의 문제가 이슬람이나 아랍과 관련된 논의를 매개로 유럽-이슬람 관계에 이용되는데 반감을 느끼고 있다. 유럽의 이슬람문화권 출신 후예들은 더 이상 유럽과 오리엔트, 중동의 갈등에 휘말리고 싶지 않은 것이다. 그리고 실제로도 이들의 대부분은 우리의 재중동포들의 경우처럼 유럽에 온지 매우 오래되었거나 유럽에서 태어나 유럽의 문화와 사회에 익숙한 유럽인들인 것이다.

신앙의 존중 대 표현의 자유

“이번 사건에서 게재 당사자들이나 이들 편에 선 지식인, 언론이 주창하는 언론의 자유, 표현의 자유는 사실상 그들의 반이슬람적, 인종차별적 태도를 정당화하는 변명에 불과한 것이다”라는 것이 이 사건에 대한 대표적인 설명이다. 다시 말해 표현의 자유, 언론의 자유를 빌미로 신앙이 다른 집단, 특히 그간 강대국의 미움을 사온 무슬림들을 모독한 것이라는 생각이다.

그런데 다소 의아한 것은 이슬람을 그 무엇보다도 적대시해 온 유럽과 미국의 정부들이 이번 사건에서는 종교적 신념에 대한 존중, 종교적 사안에 대한 언론의 신중함, 책임성을 강조하면서 아랍세계에서의 폭력적인 대응에 대한 비판보다는 만평을 게재한 서방언론들에 대한 비판에 더 치중하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이다. 만평 게재를 비판하며 언론에 책임성과 분별력을 요구한 코피 아난의 논평(2월 9일)이나 “표현의 자유의 실현이기보다는 점증하는 유럽사회의 다양성에 대한 그들의 무감각, 그들의 거부감을 표현한 것“(2006년 2월 8일자)이라는 워싱턴 포스트의 일견 진보적인 해석도 이러한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

여론 역시 크게 다를 바 없다. 2005년 가을 프랑스 소요사태 당시 국민의 68%가 자극적인 언사와 강경대응으로 이번 사태를 악화시킨 내무장관 사르코지(N. Sarkozy)의 행동을 지지(Le Monde 2005년 11월 17일자)했던 프랑스의 경우, 이번 경우에는 국민의 54%가 만평을 게재한 미디어들을 비판하고 있다.(Le Monde 2006년 2월 9일자)

이러한 태도의 배경에는 무엇보다도 사회통제의 강화, 그 속에서의 표현의 자유의 약화라는 최근의 전지구적 경향이 놓여 있다. 즉 매우 폭력적인, 따라서 매우 격렬한 사회적 저항을 야기할 수밖에 없는 신자유주의 세계화에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특히 9.11테러 이후 노골화된 사회통제 강화의 일환으로, 최근 세계 여러 지역에서 표현의 자유가 이해 당사자들의 압력이나 여론을 빌미로 약화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종교의 경우에도 전통적으로 금기시되어 온 유대인 문제에 대한 견해표명 뿐 아니라 다른 종교에 대한 부정적인 표현도 새로이 억압을 당하고 있다. 이번 사건의 진원지인 유럽에서 이번 사건은 무엇보다도 최근 들어 사회적 논의나 글, 영화, 광고, 만평 등에서 종교적인 사안에 대한 비판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추세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이다. 즉 교황을 풍자한 꼭두각시 인형에 대한 제재,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을 선정적으로 패러디한 광고에 대한 제재 등 최근 크게 논란이 되었던 ‘모독’ 사건들의 연장선상에서 이번 만평사건을 설명할 수 있다.

최근 유럽과 미국을 보면 기독교든, 유대교든, 이슬람교이든 인간의 자유를 제한하는 길에 동참하고 있다. 낙태문제, 동성애자 결혼문제, 생명윤리, 신성모독 등의 문제가 잘 보여주듯이 현 세계는 종교간 갈등만큼이나 종교와 사회의 힘겨루기가 한창인 것이다. 이번 사안의 당사자인 유럽도 유럽연합 차원에서 ‘개인의 자유’와 ‘차이의 존중’, ‘표현의 자유’와 ‘신앙의 존중’이라는 일견 모순되어 보이는 가치들을 조화시킬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한창 진행 중이다. 그리고 그 배경에는 유럽연합에 속한 나라들의 주류사회 자신들도 심각하게 겪고 있는 정체성 문제가 놓여 있는 것이다. 즉 단일한 유럽이라는 이상은 점차 현실이 되고 있는데 유럽연합 내부에는 무수한 경제적, 종교적, 종족적 차이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표현의 자유가 종교적 신념을 저해해서는 안된다는 논리로 이번 만평을 비판한 교황을 비롯해 각 종교의 대표자들이 이번 만평사건에 한 목소리를 내는 데에는 이러한 중요한 경향이 저변에 깔려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매우 종교적인 부시가 이번 만평사건과 관련해 무엇보다도 언론에 대한 비판을 강조한 것은 형식적인 제스처만은 아닌 것이다. 이러한 사실들에서 볼 때 이번 사건은 비록 그 시발점이나 전개과정에 유럽국가들과 이슬람국가들간의 정치적 이해관계가 크게 작용했지만, 단지 정치적 현상만은 아닌 것이다.

전망

아직 진행중이지만 이번 사태가 초래할 결과를 예견해 보면, 우선 ‘이슬람’이라는 요인의 중요성, 서로 화합할 수 없는 이슬람과 서양, 이슬람과 민주주의, 이슬람과 인권과 같은 이분법이 다시금 활력소를 찾을 것이다. 이번 만평과 흡사했던 살만 루쉬디 사건이 초래한 결과를 되새겨 보면 이러한 유형의 현상이 해당 사회집단에 매우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함을 알 수 있다. 살만 루쉬디 사건 이전에 영국의 파키스탄 이민자들 내에는 자신들의 종교를 중시하는 만큼이나 주류사회에 통합하려는 노력들이 존재했었다. 그러다가 살만 루쉬디 사건이 초래한 무슬림에 대한 낙인은 이 집단의 많은 사람들을 게토에 갇힌 폐쇄적인 존재가 되게 하였다.

이 점과 관련해 아쉬운 것은, 불가능했던 것일 순 있지만 아랍세계 역시 이번 사태에 냉정하게 대응함으로써 ‘이슬람’과 ‘민주주의’라는 오랫동안 상호모순적인 것으로 여겨져 온 두 가치가 공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줄 기회를 잃고, 반대로 언제나 그러했듯이 서양이 끌고 가는 오리엔탈리즘적인 세계해석을 더 강화시키는데 협력한 꼴이 되었다는 점이다.

이 사건과 직접적 연관은 없는 우리의 입장에서 보면, 지난 9.11이 우리에게 이슬람을 미국, 제국, 테러리즘, 세계화 및 반세계화와 연관지어 생각하게 했다면, 이번 사건은 이슬람 과 아랍을 유럽, 종교 일반, 시민권, 이민문제, 극우주의 등 또 다른 개념들과 연관해 생각하게 하는 의미가 있다.
엄한진 님은 성균관대학교 서베이리서치센터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태우스 2006-02-24 11: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유럽의 개입이 문제라구요..으음.... 어쨌든 종교적 근본주의로 비춰지는 건 어쩔 수 없더군요. 그나저나 승주나무님, 오늘 한겨레에 님의 서평이 인용되었더군요. 축하드려요. 반갑더라구요!(이빨에 대한 조언, 감사드립니다)

승주나무 2006-02-24 15: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 반갑습니다. 마태님.. 한겨레 글은 방금 확인 했어요. 미디어에 올라가니까 기분은 좋네용.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맞춤법으로 뒷다리 걸 때는 혹시 맘 상하지 않을까 걱정이 되는 것도 사실이랍니다.
저는 정치적 이해관계를 떠나서 '다른 것에 대한 무지와 배척'이 이 사태의 이유가 아닌가 생각해요
 

한 신문사의 기사를 6월부터 매일같이 스크랩을 하면서 함께 모니터링도 해왔습니다.

텍스트만큼은 꼼꼼히 보자는 게 저의 지론이어서 맞춤법이나 오탈자에는 민감한 편입니다.

이 내용을 싣는 이유는 특정한 신문사를 폄훼할 목적에 있는 것이 아니라, 1. 신문기사와 같은 전문적인 글쓰기도 빈번하게 잘못 쓰는 용례가 많은 만큼 자신의 맞춤법 실태에 대해 '위안'을 삼기를 바라는 점과, 2. 가장 영향력이 많은 매체인 신문이 매일같이 독자에게 틀린 어법을 전수하는 것에 대한 일종의 '견제'입니다.

제 개인의 차원에서는 여러 신문을 모니터할 수 없기 때문에 평소 기획력 있는 기사를 써서 언론의 의제 생산 기능을 비교적 성실히 수행한다고 판단되는 신문사의 기사를 '제물'로 삼은 것이니, 혹시라도 관계자가 있다면 너무 섭섭하게 생각하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경향신문 오탈자 보고서'에 들어갈 자료들(06.2.22 업뎃)


신문의 맞춤법 실태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통령', '원', '박사' 등의 단위명사는 앞 단어와 띄어 써야 함에도 불구하고 띄어 쓰지 않고, '못'이나 '안' 같은 부정을 나타내는 부사도 적용하지 않아 않는 등, 대체로 띄어쓰기 관련한 맞춤법은 거의 무시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항간에는 맞춤법 제2항인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는 총칙에 대해 신문사는 '문장의 각 단어는 붙여씀을 원칙으로 한다'고 왜곡하는 이른바 '신문맞춤법'이라는 비아냥이 나오고 있을 정도이다.

띄어쓰기나 맞춤법은 내용을 전달함에 있어서 의미를 분명하게 해주기 때문에, 이에 소홀할 경우 글의 논리를 상당히 잃어버릴 수 있으며, 많은 독자를 거느리고 있는 신문사의 경우, '틀린 글쓰기'를 조장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그 사태가 적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각 신문사들의 오탈자 실태도 위험 수위이다. 본 보고서는 수 개월간 경향신문의 인터넷판과 종이 신문 중 문제가 될 부분을 발췌한 것이다.

----------------------------------------------------------------------------

여기까지가 보고서의 대략적인 내용이며, 자료가 20개를 넘어서는 시점부터 공식적으로 문제화할 예정입니다. 혹시라도 경향신문의 교열 관계자나 기타 관계자께서 이 글을 보신다면 신문 기사 작성과 교열에 더욱 신중해주시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독자센터에 이와 관련된 내용의 글을 올렸으나 몇 달이 넘도록 한 마디 언급조차 하지 않고 있다는 것에 대해서도 심히 언짢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고도의 논리를 통해 정당한 의제설정의 기관인 신문이 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부분에서부터 지켜나가야 한다는 점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아래는 그간 발견된 사례의 모음으로 실제는 이보다 훨씬 많으며, 띄어쓰기의 경우는 양도 워낙 방대할 뿐만 아니라, 사사건건 문제삼는 모양도 좋지 않아 보이기 때문에 공개하지는 않겠습니다. 다만 이런 문제가 전혀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띄어쓰기 위반사례'에 대해서 세세히 분류하여 항간에 떠도는 '신문맞춤법'이라는 비아냥거림이 낭설만은 아니었다는 것을 판명하게 증명해 보일 것입니다.


05. 7. 19 6면 기획 '다시쓰는 독립운동열전'


유이하게 → 유일하게


 


'05. 8. 26 22면 스포츠


호투를 펼쳐쳤지만 → 호투를 펼쳤지만


 


'05.9.9 11면 : 이색 스크린여행 '떠나봅시다'


에니메이션 → 애니메이션


(다음 단락에는 '애니메이션'이라고 옳게 씀)


 


인터넷판 9월 20일 > 경제 > 금융ㆍ재테크


'절세 미인' 올해 안에 잡으세요 (누군가의 장난으로 보임)


신문면에는 '節稅 상품'(일반 신문, 9.21, 21면)라고 표기됨.


 


05. 10. 28 2면 : 종합 <기자메모>


화제 → 화재(火災)


 


05.11.5 국제 8면 : 美행정부 '냉가슴' 2題


닉슨 대토령 → 닉슨 대통령(인터넷판도 오탈자 그대로 올라감)


 


05.11.6 사회 9면 : 10년만에 귀국 로버트 김


운명(殞命)을 달리했다 → 유명(幽冥)을 달리했다


운명(殞命)은 죽음을 이르며, 유명(幽冥)은 '이승과 저승'을 말하므로, '이승과 저승을 달리했다'는 '유명을 달리했다'를 써야 한다.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북한과 미국이 주고받는 협상을 할 것도 주문했다.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사찰을 받으면 미국도 안했다.
→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사찰을 받으면 미국도 이에 합당하는 안전보장과 경제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편집의 오류로 보이는 이 글쓰기는 행간의 한 문장이 통째로 누락되면서 큰 따옴표의 완결도 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문맥 자체도 모호하게 되어 버린 사례이다.

'05. 12.9 종합 4면 : DJ 노벨상수상 5주년 기념식 특강


민누노총 → 민주노총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512091156421&code=940401
'05.12.9, 교육입시
민주노총 "한나라당이 사학비리 몸통"

교토의정서에 반대해온 미국은 8일 대표단을 철수했고
대표단에서 철수했고(교토의정서 대표단이 여러 나라인 경우)
대표단을 철수시켰고(교토의정서 협약에 미국 대표단을 파견시킨 경우)
☞ 모호한 문장은 이해를 어렵게 한다.

'05.12.12 국제11면 "2012년 이후도 온실가스 규제"


자기식구 감사기 → 자기식구 감싸기
※ 타이틀 제목도 노회찬 "주식회사 검찰 고객은 3부류'라고 하여 큰따옴표, 작은따옴표를 혼동함.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512142215391&code=910402
'05.12.14, 국회ㆍ정당
노회찬 "주식회사 검찰 고객은 3부류'

형평성을 높이다 → 형평성을 갖추다, 얻다
☞ 형평성은 '형평을 이루는 성질'이라는 뜻이므로, 그 자체의 높낮이를 설명할 수 없다. 마치 '쉽고 어렵다'는 뜻의 '난이도'를 높인다는 경우와 비슷하다.
'05.12.23 종합 4면, '탈루' 자영업자 422명 고강도 세무조사 '칼날'

반대를 하던가 했어야 한다
반대를 하든가 했어야 한다
☞ 선택을 의미할 때는 '든'을, 과거의 행위를 의미할 때는 '던'을 쓰는데, 반대로 쓰였다.
'05.12.27 1면 타이틀 기사 '입법조율? 黨 따로 靑 따로'

디지털TV 수요가 폭발적으로 주문량의 50%도 대지 못하는 상황이다.
→ 폭발적으로 늘어 주문량의 50%도 대지 못하는 상황이다.
☞ 중간에 '늘어'와 같은 술어를 누락시켰다.
'06.1.2 경제14면, 'LCD 생산 '분초를 다툰다''

스콧 매클렐런 백악관대변인은 3일 새해 첫 브리핑에서 "우리는 미국 달러의 위조, 마약거래, 무기 기술의 확산 등은 우리의 우려 대상임을 매우 분명히해왔다"면서 "이는 우리나라의 이익을 보호하고 북한의 불법행위들과 싸우는 문제"라고 말했다.
→ 우리 나라의 이익을 보호하고
☞ '우리나라'를 붙이는 것은 한글맞춤법 4절 49항에 따른 것으로, 위와 같이 붙여 쓰면 그것은 '미국'이 아니라 '대한민국'이 되기 때문에 엄청난 차이가 난다. 이 경우는 일반 명사로 보아 '우리(의) 나라'로 써야 한다.
'06.1.5 종합2면, '美, 對北 금융제재 해제 거부'


'대연합'의 축이 되겠다는 밝힌 바 있다→ 축이 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 중간에 단어를 누락한 경우이다. 단어뿐만 아니라 줄이나, 단락 자체를 누락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06.2.4 종합5면, '표심잡기' 노선ㆍ정책대결 불붙었다


마지못해 벌이는 억지 춘향이식 기부가 갖는 한계이다.
→ 억지 춘양식
☞ 춘양목(春陽木)은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과 소천면 일대의 높은 산 지대에서 자라는 질 좋은 소나무의 이름으로, 온갖 사대부 집안에서 세를 과시하기 위해 있지도 않은 춘양목을 있다고 하는 세태에서 유래했다. 심지어 경북에서 훨씬 떨어진 황해도 같은 곳에서도 '춘양목'이라고 우기는 사대부들이 많았다고 한다. 때문에 '억지 춘양'이라고 해야 한다.
'06.2.14. 30면, <경향의 눈>,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없다
 

아이로니컬
→ 아이러니컬
☞ '아이러니(irony)'는 '모순', '역설', '이율배반'이라는 뜻으로, 외래어 표기상 '아이러니'로 써야 한다.  

'06.2.20. 국제 11면, '日 극우와 대립각 세운 보수논객(와타나베 요미우리 회장)'


이로써 2003년 반짝했던 언론 자유 분위기는 ... 언론 통제의 방향으로 급선회했다
→ 이로서
☞ '이로써'는 도구격 조사로서, '이를 가지고, 이것을 통해'라는 의미이다. 하지만 위의 경우는 자격격조사인 '-로서'를 써야 한다. 이것을 가지고 어쩌자는 것이 아니라, 이를 계기로 어떻게 되었다는 현상을 말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알 수 있는 사실은 '이로써'는 '동사형' 문장을 예견하지만, '이로서'는 '상태'를 의미하는 형용사형 문장을 예견한다는 사실이다.

'06.2.21. 국제 14면, '中 언론에 다시 '재갈' 지식인들 분노'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늘바람 2006-02-23 08: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대단하셔요

승주나무 2006-02-23 22: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늘바람님 안녕하세요. 대단하기는요, 그나저나 신문들이 맞춤법에 신경을 좀 써줬으면 좋겠는데... 띄어쓰기는 완전 무시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