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땅의 역사 2 - 치욕의 역사, 명예의 역사 ㅣ 땅의 역사 2
박종인 지음 / 상상출판 / 2018년 11월
평점 :

27년간 우리 땅 구석구석을 직접 답사하며 취재하고 글을 써온 여행문화 전문기자 박종인의 책 <땅의 역사> 1,2권이 출간되었다. <땅의 역사> 1,2권은 저자가 그동안 역사 현장을 답사하고 신문에 연재한 글들 중에 고대부터 현대까지 이 땅의 역사에 큰 상처를 입힌 사건들에 관한 글을 주로 엮었다. 그중에서도 1권은 자기 자신의 영달을 위해 민족과 나라를 배신한 소인배들과 그와 반대로 민족과 나라를 위해 사리사욕을 부리지 않은 대인들에 관한 글이, 2권은 교과서를 통해 배우는 찬란한 5000년 역사만 알고 있는 독자들은 잘 모르는 치욕의 역사, 명예의 역사에 관한 글이 실려 있다.
<땅의 역사> 2권은 민족과 나라를 배신한 친일파들의 행적을 다룬 '나쁜 놈들', 사람이었으되 사람 취급을 받지 못한 여성들의 역사를 다룬 '여자, 그녀들', 역사에 크게 기록되지 않았으나 굵직한 행적을 남긴 남자들의 이야기를 담은 '남자, 그들', 조선 시대 당시 왕실 안팎을 뒤흔든 사건을 소개하는 '왕조 스캔들', 우리 땅 곳곳에 여전히 남아 있는 일제 강점기 시절의 흔적을 담은 '식민 시대', 비루하게 태어났으나 품격 있게 살다간 민중들의 역사를 소개하는 '민초, 우리들' 등 여섯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 내가 제일 먼저 펼친 장은 '여자, 그녀들'이다. 제주는 돌과 바람, 여자가 많다고 해서 예부터 '삼다도'라고 불렸다. 제주에 여자가 많은 것은 남자들이 험한 뱃일을 하다가 목숨을 잃어서이기도 하지만, 조선 정부가 지나치게 과한 공물을 요구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를 피하기 위해 아들이 태어나면 죄다 뭍으로 보내니 제주에는 여자만 남은 것이다. 조선 전기까지만 해도 여성의 지위가 낮지 않았으나 성리학이 보급되면서 여성의 지위가 크게 낮아졌다. 같은 양반집 규수인데도 신사임당과 허난설헌의 생애가 크게 달랐던 걸 생각하면 성리학이 여성 인권에 미친 폐해가 얼마나 큰 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책에는 우리 땅 곳곳에 남아 있는 역사의 흔적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다룬다. 세 왕조 흥망사가 있는 삼척, 의정부 함흥차사의 진실, 고양 칠공자 묘와 연산군 금표비, 재동 헌법재판소의 비밀과 경술국치, 식민 흔적이 남은 목포와 현대판 문익점 와카마쓰, 문경새재 강도 사건과 혁명가 허균 등 제목만 보아도 흥미가 생기는 글이 가득 실려 있다. 우리 역사에 관심 있고 지리에 대해 더 알고 싶은 이들에게 이 책을 강력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