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한지 강의
이중텐 지음, 강주형 옮김 / 에버리치홀딩스 / 2007년 6월
평점 :
품절
# 빠져들 수 밖에 없는 멋진 강의를 만나다.
'삼국지', '수호지', '열국지'에 비해 '초한지'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한다. 보통 역사소설이나 이야기들은 시간의 순서에 따라 이야기가 진행된다. 변천사를 보는 것도 좋아하지만, 하나의 인물에 초점을 맞춰 이야기 해 주는 평전 스타일을 더 좋아한다. 중국에서 '고전 대중화'를 선도한 작가의 TV 강의를 책으로 옮긴 '초한지 강의'를 만났다.
초한지 하면, 한우와 유방이 떠오른다. 한신, 장량, 소하도 떠오른다. 이제껏 알고 있던 내용에 역사적 고증과 작가의 날카로운 시각이 덧붙여져 인물을 중심으로 한 강의가 시작된다. 역사적 인물은 과거 시간에 매여있지만, 그들의 신념과 선택, 인품을 배워가는 건 나를 돌아보게 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버스에서 가볍게 보려고 펼쳤는데, 도착해서도 손을 뗄수가 없었다.
맛있는 음식을 절반쯤 먹었을 때 급하게 할 일이 생겼다고 할까? 급한 일을 제치고 음식의 맛을 느끼듯이 중간에 책을 멈출 수 없었다. 책장을 넘기다, 멈출 수 없는 매력이 가득한 책이였다.
# 고증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인물들을 새롭게 들추어 보다.
한나라 건국의 최고의 공신이였지만, 결국 처음으로 죽음을 당한 공신인 '한신'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막연히 토끼를 다 잡은 후에 사냥개를 잡듯이 '토사구팽'하는 줄 알았던 한신의 새로운 모습과 선택의 뒤에 숨은 많은 의미들을 찾을 수 있었다. 일단 철저히 역사적 고증을 따졌다. 그 후 고증된 사실을 바탕으로 회자되는 말 뒤의 숨은 의미를 누구나 수긍할 수 있는 설득력 강한 말하기로 새롭게 인물을 바라볼 수 있게 했다. 안경을 오래 써서 눈이 침침할 때, 내 눈에 꼭 맞는 안경을 새로 받은 느낌이라고 할까. 이전에 보였던 건 더 뚜렸하게 보이고, 희미했던 것 또한 잘 살펴볼 수 있었다.
많이 알려진 한신, 유방, 항우, 장량 뿐 아니라, 소하 , 조참, 진평, 여치, 조조, 두영 등의 나에게 익숙하지 않던 인물들의 행적을 살펴 볼 수 있었고, 그들이 취했던 마음가짐과 삶을 바라보다는 방식도 엿볼 수 있었다. 여치에 관한 새로운 평가와 기존의 역사적 관점이 어떻게 취해졌고, 현재 다른 시선은 어떠한지 알 수 있는 재미도 쏠쏠하다. '자신을 잘 안다는 것'이 '조참'과 '진평'과 '조조'를 어떻게 다른 삶으로 만들었는지도 볼 수 있어 흥미로웠다. 다른 나라의 이야기이지만, 인간의 삶이기에 공감하는 부분과 배울 점이 많았다.
# 초한지와 함께 배우는 옛 한나라의 풍습과 중국인의 가치관을 엿보다.
한신의 토사구팽을 설명하면서 오나라의 구천과 범려, 문종의 이야기를 알게 되고, '부합','백부','숙부','계부'등의 호칭과 '대부', '태위' 등의 관직의 이름, 한나라의 예법이 어떻게 만들어 졌는지, '士 사'와 함께 '관례'에 대해서 깊이 들여다 보기, 중국인들의 현실지향적인 태도 등 여러가지 사실들을 적절한 시기에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다. 상식이 부족한 나에게는 알찬 정보를 통해서 조금 더 강의 내용을 깊이있게 이해할 수 있어서 더 즐거운 시간이었다.
역사적 이야기도 그 당시에는 현재의 이야기였다. 하지만 결과가 알려진 후 이야기들은 현재의 시점에 맞춰 여러가지로 재구성되어 현실의 삶에 영향을 준다. 많은 모사들이 군주들을 설득할 때 논리와 함께 '지난 선인들의 경험'을 예로 들어 설득을 해낸다. 지금과 달랐던 옛날의 풍습과 이야기들, 그리고 영웅들의 삶과 그 뒤에 숨겨진 지식과 인품을 배우면서 조금의 지혜를 건질 수 있었던 건 또 하나의 즐거움이었다.
# 나와 비슷한 인물과 내가 꿈꾸는 인물에 대해 생각해보는 소중한 시간을 만들다!
각양 각색의 매력이 넘치는 인물들을 보며, 처음 생각한 건 나와 비슷한 생각의 인물을 누구인가 하는 점이었다. 그 다음은 내가 꿈꿔야 할 역활모델은 누구일까 였다. 자신의 신념에 의해 살았던 인물, 기회주의적으로 보이지만 결국은 살아남은 인물, 속세와 적당한 거리를 두며 지혜로웠던 인물, 의리를 중요시 했던 인물, 의리에 매여 결국은 죽음을 당했던 인물 등... 많은 캐릭터들이 어떤 사건을 통해 어떻게 행동하고 변해왔는지 볼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이었다.
세상에서 제일 힘든 건 '나를 아는 일'이라 생각한다. 주변에서 보여주는 망원경과 내 스스로 살펴보는 '현미경'의 두 시선을 잘 조합해서 나를 살필 수 있는 지혜의 필요성을 느꼈다. 망원경은 너무 희미해서 자세한 걸 보기 어렵고, 현미경은 너무 세밀해서 전체를 살필 수 없다. 둘의 한계를 지적하는 데 그치지 말고, 큰 맥락보다 작은 것에 집착하는 현미경의 내 모습을 망원경을 통해 전체적 윤곽을 잡고, 망원경이 보여줄 수 없는 세세한 부분은 현미경을 통해 천천히 잡아나가야 겠다고 다짐했다.
거울과 함께 더 먼곳을 바라볼 수 있어 행복한 시간이었다. '이야기의 힘'을 믿는 이와 '고전의 문화와 상식' 배우는 즐거움을 아는 이는 읽는다면 큰 도움이 될거라 생각한다. 많이 부족하기에 책의 매력의 절반도 살피지 못했지만, 이 글을 읽는 멋진 독자는 책의 매력을 두 배로 느낄거라 믿는다. 중요한 건 읽고, 생각하려 하는 것이다.
읽고 난 후 뭔가 배운듯한 느낌이 참 좋았다. 강의를 읽은 후 초한지가 다시 읽고 싶어졌다. 저자의 다음 책이 나올 때까지, 초한지를 찾아 읽어봐야 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