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좀딱취'

매화 피어 봄을 알리듯이 계절의 흐름을 알게하는 식물들이 많다. 이른 봄부터 꽃을 찾아 산과 들로 꽃놀이하던 꽃쟁이들이 한해 꽃놀이의 마지막이나 마찬가지인 발걸음을 부르는 꽃이 있다. 이 꽃 피는 것을 신호로 긴 휴면의 시간을 갖게 된다고들 한다.

여리디여린 줄기를 쑤욱 올려서 그 끝에 하얀색의 꽃을 피운다. 세개의 꽃잎이 모여 피어 하나의 꽃으로 보인다. 작아서 지나치기 쉽지만 주의를 기울이면 눈에 잘 보인다. 붉은 색을 띤 세개의 수꽃을 찾아보는 것도 재미다.

'좀'이라는 의미는 '작다'에 있을 것으로 '취'는 나물로 쓰였다는 것을 이해한다. 줄기 아랫쪽에 돌려나는 여러장의 자잘한 잎이 있다. 좀딱취는 화피가 벌어지지 않고 꽃봉오리인 채로 자가수분과 자가수정에 의해 결실하는 폐쇄화가 많아 여러 개체들이 꽃을 피우지 못한다고 한다.

발길 닿는 곳에 소풍가듯 한가롭게 걷다 만나는 꽃이 즹답다. 여리면서도 강인한 인상으로 다가온 좀딱취의 꽃말은 '세심한 사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춘추벚나무
가을에 피는 벚꽃이라 생소하지만 이상기온으로 피는 것이 아니란다. 꽃을 좋아하는 이들 모두 특별한 꽃이나 변이된 꽃의 모양, 색 등에 주목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겠다. 이런 마음이 봄과 가을에 두번 씩이나 피는 꽃을 만들어 낸 결과물이 아닌가 싶어 고개가 갸우뚱해지는 것도 사실이다.
 
어찌되었든 붉은 단풍을 배경으로 핀 꽃에 신기하기는 하다. 단풍놀이 왔다가 삼삼오오 사람들이 몰려 벚꽃 아래서 신기해하는 것 또한 볼거리 중 하나다.
 
국가표준식물 목록에 춘추벚나무는 춘추벚나무(Prunus subhirtella), 아우툼날리스(Autumnalis) 등 4종이 등록되어 있다고 하니 이상한 것도 아니다.
 
영국에서 들어와 천리포수목원을 시작으로 원광대, 광릉수목원, 진해 농업기술센터 등에 보급되었고 이후 전국으로 확대되는 추세라고 한다. 부안 내소사에서 만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산국'
국화는 노란색이어야 하고 산국이 피어야 국화 피었다고 할 수 있다. 산국 피었으니 온전히 가을이다. 올망졸망 노란 색이 환하다. 중양절 국화주 앞에 놓고 벗을 그리워 함도 여기에 있다. 국화주 아니면 어떠랴 국화차도 있는데.
 
산에 피는 국화라고 해서 산국이다. 국화차를 만드는 감국과 비교되며 서로 혼동하기도 한다. 감국과 산국 그것이 그것 같은 비슷한 꽃이지만 크기와 향기 등에서 차이가 있다. 산국은 감국보다 흔하게 볼 수 있고 가을 정취를 더해주는 친근한 벗이다.
 
내 뜰의 가을날 한때를 수놓던 구절초가 시들해지니 그 옆자락 산국도 핀다. 일단 노랑색으로 이목을 끌어 발길을 유도하더니 그보다 더 끌림의 향기로 곁에 머물게 한다. 마당으로 들어서는 대문 옆에서 오고가는 이를 반기고 배웅한다.
 
개국화·산국화·들국이라고도 하는 산국은 감국과 비슷하게 피면서 감국인 것처럼 흉내를 내는 것으로 보고 '흉내'라는 꽃말을 붙은건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진주바위솔
좀바위솔을 지척에 두고도 보지 못하고 지나간 것이 아쉬웠나 보다. 늦은 물매화와 조금 멀리가서 볼 요량으로 진주로 향했다. 뒷자석에 앉아 느긋하게 주변을 살피며 처음 간 곳의 풍경을 누린다.
 
좀바위솔 있다고 찾아간 곳엔 낯선 바위솔이 세개쯤 하늘을 향해 꽃대를 올리고 있었다. 예년에 비해 많이 줄었다고 하나 주변에는 꽃대를 올리지 못한 어린 개체들이 수없이 다음해를 기다리고 있었다.
 
진주지역에 난다고 진주바위솔인가. 좀바위솔과는 확실하게 다르다. 울진에 가서 보았던 둥근바위솔에 더 가까운데 잎의 크기가 훨씬 작다. 정선바위솔과도 차이가 난다.
 
겨울눈으로 월동하고 내년에 꽃 피울 개체에 대한 희망으로 다시 계절의 변화를 기다린다. 척박한 자연환경의 변화에 잘 적응해온 바위솔들을 보면 생명의 신비로움 사뭇 더 크게 다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대상화'
계절의 변화를 아는 지표로 삼는 것들 중에서 꽃만큼 확실한 것이 또 있을까. 생의 주기가 짧아 사계절 중에 모든 것을 다 보여주는 초본식물로 계절의 변화를 가늠하는 기준으로 삼아도 크게 틀리지는 않아 보인다.
 
흰색으로 피거나 붉은색으로 피는 꽃에 노랑 꽃술이 유난히 돋보인다. 색은 달리 피어도 이름은 같이 부른다. 서로를 빛나게 하는 꽃잎과 꽃술의 어울림이 좋다. 모든 힘을 꽃에 쏟아부어서 그럴까 열매를 맺지 못하고 뿌리로 번식한다.
 
가을을 밝히는 꽃이라는 의미로 추명국(북한명)으로도 불리지만 서리를 기다리는 꽃이라는 뜻의 대상화가 정식 명칭이다. 봄맞이가 봄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이름을 가졌듯 가을의 의미를 이름에 고스란히 담았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대상화라는 이름이 붙은 식물이 10여 종에 이른다. 무엇이 무엇인지 알 수가 없다.
 
가을 서리에 맥 못추는 것들로 대표적인 것 역시 초본식물들이다. 이름에 가을의 의미를 품었지만 순리를 거스리지는 못한다는 듯 '시들어 가는 사랑'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