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산부추'
어디에 관심을 두고 있었을까. 물매화 피는 곳으로 가는 숲길에도 지천으로 피던 것을 늦게서야 만났다. 못 보고 지나가나 싶었는데 그나마 다행으로 여긴다. 때를 놓치면 다시 만나기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홍자색으로 피는 꽃이 줄기 끝에서 조밀하게 많이도 달렸다. 꽃술을 길게 빼고 하나하나 거꾸로 달린 모습도 이쁘지만 이 자잘한 꽃들이 모여 둥근 꽃 방망이를 만들어 눈에 쉽게 띈다.


익히 아는 채소 부추의 야생종이라고 한다. 산에서 자라니 산부추로 이름을 얻었다고 볼 수 있다. 비슷한 식물로 산마늘, 산달래, 참산부추, 두메부추 등 제법 다양한 종류가 있다.


산부추 역시 부추 특유의 똑쏘는 맛을 내는 성분이 있어 스스로를 지켜간다는 것으로 보았는지 '보호'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선괴불주머니'
식물의 꽃 모양은 늘 새롭게 다가온다. 비슷한 모양으로 피는 익숙한 꽃 들 속에서 독특한 모습을 빌견하는 재미는 외외로 대단하다.


노랑색에 붉은 반점이 있다. 꽃의 색 보다는 작은 물고기를 닮은 모양에 주목한다. 응달진 곳에서 가을로 접어드는 때부터 늦가을까지 피어 보는이를 반긴다.


이른 봄부터 색을 달리하며 피는 현호색 식구들 중 괴불주머니의 한 종류다. 비슷한 식구로는 눈괴불주머니, 산괴불주머니, 염주괴불주머니, 가는괴불주머니, 자주괴불주머니 등이 있다. 피는 시기, 꽃의 색깔, 잎 모양 등으로 구분하지만 알아보기 쉽지 않다.


괴불주머니의 꽃말은 보면 금방이라도 알 수 있는 독특한 모양에서 유래했을 것이라 추정되는 '보물주머니'라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고구마'
서리 내리기 전에 수확해야한다고 서둘렀다. 소에 쟁기 채워 조심스럽게 갈어엎으면 그 뒤를 따라가며 줍곤했다. 작은방 한켠에 대나무로 엮은 발을 세우고 저장해두고서 한겨울 내내 삶아먹고 구워먹고 깎아도 먹었다. 그때도 분명 보았을텐데 도통 기억에 없다.


깔데기 모양의 붉은빛이 도는 꽃이 핀다. 얼핏보면 나팔꽂 닮았지만 더 튼튼하고 강인한 느낌이다. 잎 모양은 심장형으로 단아한 맛이 깃들어 있다.


아메리카 원산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영조 39년(1783) 부터 일본에서 고구마를 들여와 심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고구마라는 이름도 일본에서 유래된 것으로 본다. 일본 대마도에서는 고구마로 부모를 잘 봉양한 효자의 효행을 찬양하기 위해 관청에서 고구마를 ‘고코이모’라 했는데 우리말로는 ‘효행 감자’라는 뜻이다. 이 ‘고코이모’가 우리나라에 들어와 ‘고구마’가 된 것이라 한다.


쉽게 볼 수 없어서 행운이라는 꽃말을 붙였다고는 하나 요즘들어 여기저기서 자주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때마침 상서로운 서리가 내렸다. 그것도 10월의 마지막 날을 꽃으로 장식하고픈 하늘의 마음으로 이해한다. 눈이 시리도록 높고 푸르러 자꾸만 쳐다보게 하는 하늘은 잘 익은 단감 한입 베어물면 입안에 바득차오르는 시원하고 달콤한 그것과도 다르지 않다.


"눈을 뜨기 힘든 가을 보다 
높은 저 하늘이 기분 좋아 
휴일 아침이면 나를 깨운 전화 
오늘은 어디서 무얼 할까 
창밖에 앉은 바람 한점에도 
사랑은 가득한걸
널 만난 세상 더는 소원없어 
바램은 죄가 될테니까"


문득, 김동규의 '10월의 어느 멋진 날에'가 딱 이 하늘이지 않았을까 싶다. 한 고비를 넘고 다른 문을 여는 망설임과 설렘에 수면 아래를 멤돌다 숨 쉴 틈을 찾아 수면 위로 빼꼼히 목을 내놓는 물고기의 조심스러움이 담겼다.


'10월의 어느 멋진 날에' 그대의 하늘을 바라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주쓴풀'
느지막이 산길을 걷다가 우연히 발견하고 꽃이 필 때쯤이면 매년 그곳을 찾아가 눈맞춤하는 꽃들이 제법 된다. 이렇게 하나 둘 기억해 두고 나만의 꽃지도를 만들어가고 있다.


자줏빛을 띄는 꽃잎이 깊게 갈라져 있다. 꽃잎에 난 줄무늬의 선명함이 전체 분위기를 압도한다. 꽃잎은 다섯장이 기본이지만 네장에서 아홉장까지도 다양하게 보인다.


자주쓴풀은 흰색으로 꽃이 피는 쓴풀과 비슷하지만, 줄기와 꽃이 자주색이라서 ‘자주’라는 이름이 붙었다. 쓴풀은 아직 눈맞춤하지 못해 직접 비교해보지는 못했다. 가까운 식물로는 대성쓴풀, 쓴풀, 개쓴풀, 네귀쓴풀, 큰잎쓴풀 등이 있다.


사람과 식물 사이에 형성된 이야기를 보다 풍부하게 해주는 의미에서 찾아보는 것이 꽃말이다. '자각'이라는 자주쓴풀의 꽃말도 그렇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