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萬里靑天 雲起雨來 만리청천 운기우래
空山無人 水流花開 공산무인 수류화개
靜坐處 茶半香初 정좌처 다반향초
妙用時 水流花開 묘용시 수류화개
 
덧없는 푸른 하늘엔 구름 일고 비가 오는데
텅 빈 산엔 사람 없어도 물은 흐르고 꽃은 핀다
고요히 앉아 차를 반쯤 마셔도 그 향은 처음과 같고
묘용시에 물은 흐르고 꽃은 핀다
 
*중국 북송시대 황정견(1045~1105)의 시다. 수많은 시간동안 많은 이들이 시를 차용하며 그 의미를 나누었고 지금도 지속되고 있다. 그 중심에는 "공산무인 수류화개"나 "다반향초"가 있는 듯하다.
 
어떤 이는 시종일관에 주목하고 다른이는 물아일체에 주목한다. 다 자신의 의지나 지향점에 비추어 해석한 결과이니 스스로 얻은 이치를 살피면 그만일 것이다.
 
하늘을 날아서 짠물을 건넜다. 어느 지점에 이르러 요동치는 바람과 부서지는 파도 앞에서 무심히 바라본 꽃에 몰입한다. 바깥 세상의 혼란스러움과는 상관없다는듯 고요함을 유지하고 있는 꽃이나 그꽃을 바라보는 이나 다르지 않다.
 
고요히 앉아 차를 마시는 것은 내면으로 들어가는 과정이다. 몸과 마음에 움직임이 없으니 우러난 차향과 같다. 비로소 움직이면 물이 흐르고 꽃이 피는 것처럼 자연스럽다.
 
물아일여物我一如,
물은 자연스럽게 흘러가고 꽃은 그냥 피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추일 秋日
竹分翠影侵書榻 죽분취영침서탑
菊送淸香滿客意 국송청향만객의
落葉亦能生氣勢 낙엽역능생기세
一庭風雨自飛飛 일정풍우자비비

대 그림자 파랗게 책걸상에 앉고
국화는 맑은 향기를 보내 나그네 마음을 가득 채우네
뜰 앞에 지는 잎 뭐가 좋은지
쓸쓸한 비바람에 펄렁대누나

*조선사람 매헌 권우(1363∼1419)의 시다. 조선전기 원주목사, 예문관제학, 세자빈객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이다.

된서리 내렸다지만
국화의 기상을 꺾지는 못한다.
어떤 이는 술잔 나눌 이를 떠올리고
누군가는 누이를 생각하며
다른 이는 은일에 벗하고
그보다 더 많은 사람들은 가을을 떠올린다.

난 술도 못하고
생각할 누이도 없고
더군다나 은일은 꿈도 꾸지 못하기에
그저 바라만 볼 뿐ᆢ.

각시覺時 -불현듯, 알아차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후 세 시의 사람ㆍ3
그는 꽃밭을 만들었다
계절마다 서로 다른 꽃들이 가득 피고 나비와 별들도 찾아온다
달팽이와 지렁이도 함께 산다
누군가 어느 날 이 꽃을 모두 따간다 해도 그는 걱정 없다
꽃 심기 메뉴얼은 그의 머릿속에 다 들어 있다
어느 계절에 어떤 꽃을 어떻게 심어야 할지 그는 잘 알고 있다
그의 방에는 꽃씨 봉지가 가득 든 가방이 있다
그의 집을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보여 주었지만 아무도 관심이 없었다
 
또 하나의 꿈이 있다면
누군가가 자기만큼 꽃을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는 거다
그에게 이 가방을 선물할 것이다
여기서 멀지 않은 어디쯤에 그가 꽃밭을 가꾸기를 바란다
같은 바람이 두 꽃밭을 오갈 것이고
같은 나비도 벌도 오갈 것이다
그가 갖고 싶은 것은 아름다운 꽃밭을 가진 이웃이다
그때는 꽃씨가 든 가방을 또 만들 것이다
이 세상이 꽃씨가 담긴 가방을 든 사람들로 넘쳐 나는 것
어디선가 바람이 꽃 냄새를 실어나르는
꽃밭이 새로 생기는 것이 그의 꿈이다
그에게 오후 세 시는 오전 아홉 시이고 오후 다섯 시다
그에게는 꽃이 시계다
 
*최옥정의 '오후 세 시의 사람'에 나오는 '오후 세 시의 사람ㆍ3'의 일부다. 꽃씨 봉투를 받고 보니 이 글이 생각나 하루 종일 이리저리 찾다가 포기했는데 이른 아침에 불쑥 생각이 났다. 마음에 닿는 온기가 남다르지 않아 다소 긴 문장을 옮긴다.
 
눈길 속에서 시작된 꽃이 피고 지는 때를 따라 이곳 저곳을 넘나들며 한해를 살아왔다. 꽃이 궁해진 시간을 건너 다시 꽃 따라 가는 여정 속에 서기까지 다소 틈이 생겼다. 틈은 쉼이고 숨이기에 꽃이 전해준 꽃마음을 조금씩 풀어 내 그 틈을 메꿔갈 것이다.
 
"누군가가 자기만큼 꽃을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는 거다"라는 문장의 중심에는 '사람'이 있다고 믿는다. 바람과 나비와 벌이 오가는 거리에 있는 그 사람이 내겐 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何必絲與竹 하필사여죽
山水有淸音 산수유청음
무엇 때문에 실과 대나무가 필요하겠소
산수 속에 맑은 음악이 있는데

*중국 진나라 때의 시인 좌사의 '초은招隱'에 나오는 구절이라고 한다. 실絲은 현악기를 대나무竹는 관악기를 이르는 말이다.

전해오는 말에 중국 양나라의 소명태자가 어느 날 뱃놀이를 하게 되었는데 그를 따르던 문인 후궤라는 사람이 아첨하여 말하기를 "이만한 뱃놀이에 여인과 음악이 없어서야 되겠습니까?"라고 하자 소명태자는 다른 말은 하지 않고 좌사의 이 시구절만 읊었다고 한다.

볕 좋은 날 푸른 하늘 가운데 하얀구름 떠가고 바람따라 흔들리는 나무가지의 끊어질듯 이어지는 춤사위와 솔바람 소리에 화답하는 새 소리 들리는데 더이상 무엇을 더하여 자연의 소리에 흠뻑 빠진 감흥을 깨뜨린단 말인가.

거미줄에 걸린 낙엽이 느긋하게 바람에 의지하여 리듬에 몸을 실었다. 위태로움 보다는 한가로움에 주목한다.

산을 넘어오는 바람에 단풍보다 더 붉은 마음이 묻어 있다. 가을가을 하고 노래를 불렀던 이유가 여기에 있나 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흥타령
창밖에 국화를 심고국화밑에 술을 빚어 놓니
술익자 국화피자 벗님오니 달이 돋네
아이야 거문고 정 쳐라 밤 새도록 놀아 보리라
아이고 데고~음~~ 성화가 낫네
 
청계수 맑은 물은 음~무슨 그리 못 잊는지
울며 흐느끼며 흐르고 흐르건만무심타 청산이여
가는 줄 제 모르고구름은 산으로 돌고 청계만 흐르느냐
아이고 데고~음~~성화가 낫네
 
허무한 세상에 음~사람을 내일때 웃는길과 우는길을
그 어느 누가 매엿든고 뜻이나 일러주오
웃는길 찾으려고 헤매여 왔건만은 웃는길은 여엉 없고
아미타블 관세음보살님 지성으로 부르고불러
이생에 맺힌 한,후생에나 풀어 주시라 염불발원을 하여보세
아이고 데고~음~~성화가 낫네
 
만경창파수라도 음~못 다 씻은 청고수심을
위로주 한잔 술로 이제와서 씻엇으니
태밸이 이름으로 장취불성이 되었네
아이고 데고~음~~성화가 낫네
 
꿈이로다 꿈이로다 모두가 다 꿈이로다
너도 나도 꿈속이요 이것 저것이 꿈이로다
꿈 깨이니 또 꿈이요 깨인 꿈도 꿈이로다
꿈에 나서 꿈에 살고 꿈에 죽어 가는 인생
부질 없다 깨려거든 꿈은 깨여서 무엇을 헐꺼나
아니고 데고~음~~ 성화가 낫네
 
빗소리도 임의소리 바람소리도 임의소리
아침에 까치가 울어데니 행여 임이 오시려나
삼경이면 오시려나 고운 마음으로
고운 임을 기다리건만 고운님은 오지않고
벼겟머리만 적시네
아이고 데고~음~~ 성화가 낫네
 
국화야 너는 어이 삼월 동풍을 다 보내고
낙목한천 찬 바람에.어이홀로 피엇느냐
아마도 오상고절은 너 뿐인가 하노라
아이고 데고 ~음~~ 성화가 낫네
 
얄궂은 운명일세 사랑이 무어길래
원수도 못보는 눈이라면 차라리 생기지나 말것을
눈이 멀엇다고 사랑조차 멀엇던가
춘삼월 고운 바람에 백화가 피어나고
꽃송이마다 벌나비 찾아오고
사랑의 그 님을 찾아 얼기설리 맺으리라
아이고데고 ~음~~ 성화가 낫네
지척에 임을 두고 보지 못한 이 내 심정
보고파라 우리임아 안 보이네 볼 수 없네
자느냐 누웟느냐 애타게 불러 보것만
무정한 그 님은 간 곳이 없네
아이고 데고 ~음~~ 성화가 낫네
 
아깝다 내 청춘 언제 다시 올꺼나
철따라 봄은 가고 봄 따라 청춘가니
오난 백발을 어찌 할꺼나
아이고 데고~음~~성화가 낫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