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5번 국도에서 맞이한 해
스며드는 빛과 그 온기로 물들어가는 세상을
뛰는 심장을 보듬고서 사람으로 살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문화주간 시범공연


차와 이야기가 있는
새로운 국악콘서트


화요일 일상에서
'인연'과 '음악'이 익어간다
"화요 다담茶談"


2015.12.29 화 오후 7시
국립민속국악원 예원당


*프로그램
ᆞ이야기 손님 : Sand Jang(장윤정)
-2006년부터 국내외 라이브 샌드 공연과 애니메이션 감독 및 아티스트로 활동하고 있는 Sand Jang은 모래와 빛으로 대중의 공감대를 빚어내는 한국의 대표적인 아티스트다.


ᆞ우리 음악 즐기기 : 국립민속국악원 국악연주단
-밤의 소리 : 가야금 윤이나
-심청이 울었다 중 '떠나가네' : 소리 방수미
-춘향을 따라 걷다 중 '오월그밤' : 소리 정승희
-앉은반 설장구 : 장구 이동환, 이준희


*공연장 로비에 차를 준비한 마음이 따뜻하다. 연꽃차, 발효차에 다식으로 추운 몸과 마음을 훈훈하게 덥혀주기에 충분하다. 다담茶談의 그 마음이 가득하다.


'아름다운 날'이라는 작품을 통해 샌드 아티스트 장윤정의 예술세계를 듣는다. 샌드아트와 예술가 장윤정의 이야기가 국악의 선율에 담겨 스크린에 오르면 여기저기 탄성이 들린다. 모래로 빚어낸 순간의 예술이 음악과 만나 감동으로 다가선다.


각기 다른 분야의 만남이 새로운 감동을 자아낸다. 국악을 바탕으로 새로운 영역과의 접목은 문화의 영역을 넓혀간다는 것은 그 문화를 누려야할 주인들과 만나 소통을 기본으로 감동을 공유함이 목적이리라. 두 손 들어 반긴다. 오늘 그 가능성을 충분히 확인했으며 2016년 '화요 다담'을 기다리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렁길(여수 금오도 둘레길)


1코스
함구미-미역널방-송광사절터-초분-신선대-두포


바위로 덮힌 험한 섬에서 사람이 살기위한 수고로움이 길을 만들었다. 산과 바다를 잇고 마을과 마을을 잇고 사람 숨을 이어온 길이었으리라.


산을 등지고 바다를 바라보는 곳곳에 애를 쓰며 만들었던 사람의 흔적은 본래모습 그 자연으로 돌아가는 중이다. 사람 떠난 자리 돌을 쌓아 올렸던 수고로움에 나무와 풀이 뿌리를 내렸고 이젠 사람을 향해 열었던 문을 닫는 중이다.


열린 곳 어디를 보더라도 바다와 마주할 수 있다. 남쪽바다의 훈풍이 닿아 키웠을 나무와 풀들이 건네는 도란도란 이야기 소리가 들린다.


섬의 산과 바다 그리고 여전히 손님인 사람이 어우러져 만들었던 그 비렁길 위에서 모두 제 각기 왔던 길로 돌아가는 중이다.


1코스 종점 두포마을 소나무집의 해물파전과 전복해물칼국수에 김치맛은 비렁길의 또다른 맛이다.


*금오도 비렁길 코스 마다 섬내 버스가 여천항이나 함구미 등 여객선이 닿는 터미널과 연결 시켜주고 있어 어느 코스를 걷든 이용이 편리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다 위에 섰다'


금오도 비렁길 가는 길
바다 위에 서고 싶었다. 그런 마음이 밀려오면 끝내 바다와 마주해야만 숨을 쉴 수 있다.


차가운 바다 바람, 그 바람에 스민 갯내음, 푸른바다, 그 위에 빛나는 윤슬 그리고 붉디붉은 동백에 어쩌면 아직도 남아 있을지도 모를 풀과 나무의 꽃ᆢ.


발은 비렁길에 눈은 바다로 마음은 꽃내음찾아 각기 제 길을 걸었다.


가고 오는 바다 위, 윤슬에 숨 쉬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선의 마지막 호랑이
대호

"총을 들어
지키고 싶은 것이 있었다"

*일제강점기 더이상 총을 들지 않으려는 포수 최만덕, 조선의 마지막 호랑이 대호의 운명적 만남

영화를 끌어가는 두 축은 조선호랑이를 둘러싼 일제강점기의 시대적 상황과 포수 최만덕과 대호의 운명적 만남이 그것이다. 주인공 포수 최만덕은 역사의식에서 비켜간다. 넓은 의미로 본다면 포괄될 것이다. 하지만 보다 주목하는 것은 생명의식으로 보인다. 사람이든 호랑이든 죽음 앞에선 생명의 자존감이 그것이다.

탄탄한 스토리 구성과 디테일한 화면구성도 최근에 본 영화 중 최고다.

'송하맹호도' 김홍도의 그림이 영화로 이끌었다. 영화 시작부터 '송하맹호도'가 영화가 끝날때까지 머릿속에 머물렀다. 당당하면서도 무서움보다는 호랑이의 자존감을 확인시켜준 그림이다. 선비 정신을 작품과 일상에서 구현하고자 했던 김홍도의 뜻이 호랑이에 깃들어 있다고 보았다. 같은 시각으로 보면 송하맹호도 그 호랑이와 대호 속 호랑이는 닮아 보인다. '최만덕과 대호'ᆞ'김홍도와 송하맹호도' 무리한 비교겠지만 흥미로운 시선임에는 틀림없다.

'지리산 산군 대호'
전 세계 호랑이 중 가장 큰 호랑이가 조선호랑이이고 이런 조선호랑이를 산을 지키는 산군으로 부르며 모시고 포획하지 않는 것을 불문율로 여기고 사람과 함께 산하를 산다.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는 '정호대'를 조직 조선호랑이 사냥에 나선다. 이로부터 조선호랑이의 멸종 원인이 되었다. 1921년 경주 대덕산 발견된 것이 마지막이며 1996년 공식적 멸종 발표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양철나무꾼 2015-12-26 23:5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전 김탁환 소설을 읽었거든여. 영화는 어떨지 기대만발이었는데, 이 글로 해갈하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