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원의 행복.

같은 이름을 한 모 방송국의 연예 프로그램이 있다.

두 명의 연예인들이 나와서

일주일 동안 단 돈 만원을 가지고 생활을 한 뒤

누가 더 많은 돈을 남겼는가를 겨루는 프로그램이다.

(요즘도 계속 방송되고 있는지는 모르겠다.)

 

 

가끔 방송을 보면서,

이 프로그램의 의도가 무엇일까라는 질문을 하곤 했다.

(물론 TV라는 매체의 속성상 언제나 혼자 질문하고 답하긴 했지만)

만원으로 일주일을 살아가는 게 얼마나 힘든지를 보여주려는 것인지,

(사실 엄밀히 말하면 그들은 일주일을 사는 것이 아니다.

그들이 사용하는 비용은 100% 식사비로만 사용되니 말이다.

옷도 사지 않고, 책도 사지 않는다.

전기세도, 가스비도 내지 않는다.

그들은 보여주기 위한 매우 절제되고 연출된 일주일을

카메라와 함께 보낼 뿐이다.

사실 시청자들은 그들이 카메라 불이 꺼진 뒤

무슨 행동을 하고 있을지 전혀 알 방법도 없지 않은가.)

아니면 자신의 사생활을 알려주고 싶어서(혹은 캐내고 싶어서)

안달하는 노출증(혹은 관음증) 환자들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인지,

그것도 아니라면,

방송에 나와서 (일주일쯤은 굶더라도) 홍보를 하려는

연예인들(혹은 기획사 관계자들)을 위해 제작된 것인지.

결론은 모든 이유가 어느 정도는 연관이 있을 것 같다는 추측. 

 

 

 

 


이야기가 좀 다른 곳으로 흘러가버렸다.

내가 말하려고 하는 '만원의 행복'이란

이 프로그램의 내용과는 전혀 상관없는데 말이다.

혹시라도 내가 단돈 만원으로 일주일을 힘들게 살고 있다는 식의 이야기를 예상하고

이 글을 읽기 시작했다면,

이제부터 과연 어떤 이야기가 이어질지 기대하시라. 

 

 

지금은 그렇게 자주 이용하지는 않지만,

고등학교 입학 후부터 대학 졸업때까지,

나는 지하철로 학교를 다녔다.

학생들의 등교시간과 직장인들의 출근시간이란 대개 비슷하기 마련이라서

출근 시간 지하철은 그야말로 터지기 직전의 김밥과 같은 수준이다.

 

 

이런 상황에서 지하철을 탔다면

발을 한 두 번 밟히거나, 이리 저리 밀리는 것 쯤은 예삿일로 넘겨야 한다.

모두들 그런 경우를 당할 때면 약간 인상은 찌뿌리겠지만

크게 화를 내거나 하지는 않는다.

그냥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는 것이 제일 속편하기 때문이다.

사실 내 발을 밟은 사람도, 나를 민 사람도

일부러 그런 것은 아닌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직접적인 책임 추구을 할 사람을 찾는 일도 만만치 않다는

실제적인 문제에 부딪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런 만원 지하철을 탈 때도 한 가지 좋은 점이 있다.

어지간히 밀리거나 흔들려도 완전히 넘어지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맨 가장자리에 서 있는 사람에게는 이만저만한 고역이 아니겠지만,

중간에 서 있는 사람에게는 썩 나쁘지 않은 상황이다.

원래 가운데는 변변히 잡을 고리도 없어서

객차가 심하게 흔들릴 경우 가장 크게 타격을 받는 자리다.

하지만 만원 지하철에서는 좀 다르다.

사방에 꽉 들어찬 사람들 때문에

몸에 힘 하나 넣지 않고도 쓰러지지 않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원 버스나 지하철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이런 상황.

내가 말하려는 '만원의 행복'은 이런 상황을 두고 생각해 낸 말이다.

한문으로 쓰면,

'萬원'의 행복이 아니라

'滿員'의 행복이다.

(참고로 우리나라의 화폐 단위인 '원'은 한문으로 못 쓴단다.)

 

 

이야기가 여기에서 끝난다면 좀 재미가 없을 터.

지하철에서 내리더라도 만원의 행복을 느낄 수 있는 장소가 있다.

주위를 꽉 둘러싸고 있는 사람들만이 아니라

주위를 꽉 둘러싸고 있는 수많은 책임들, 업무들도

만원의 행복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소품들이다.

 

 

가끔씩 그런 경우가 있다.

처음에는 충분히 해 나갈 수 있는 일이었지만

'하나 더, 두 개 더' 하는 식으로 조금 씩 더 맡았더니,

어느 순간, 일주일이 온통 스케쥴들로 가득 차서

꼼짝 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하는 경우 말이다.

 

 

그런 상황에 조금식 익숙해지면,

어느 순간부터는 스케쥴들이 내 생활을 이끌어가는 현상이 일어난다.

그리고 그렇게 되면 어지간한 충격으로는 쓰러지지 않는

'만원의 행복'을 누릴 수 있다.

 

 


물론, 의지력이 강하지 않다면

이런 경우 대번에 몸과 영혼의 힘과 평정심을 잃어버리고 소진되어버릴 수도 있다.

하지만 어느 정도 의지력만 뒷받침 된다면,

도리어 삶을 지탱시켜주는 지지대로 작용하기도 한다.

 

 

도저히 힘이 없어 쓰러질 것만 같은 순간이 닥쳤을 때,

내가 맡고 있는, 내가 책임져야 하는 많은 일들은

내가 쓰러지지 않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내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일들을 처리하고 책임을 다하기 위해

개인적인 아픔이나 슬픔에 오랫동안 빠져 있을 수 없게 되는

그래서 넘어지지 않고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상황.

만원의 행복이라고 부를 수 있지 않을까.

 

 

혹시라도 당신이 만원의 행복을 누릴 줄 아는 사람이라면 축하한다.

당신은 적어도 남에게 피해를 주지는 않는 사람이니 말이다.

다만, 한 가지 조심할 것은

만원의 행복에 지나치게 빠지만 안 된다는 점이다.

원래 사람이란 존재는 아무리 좋은 것을 가지고 있어도

도무지 그것에 만족을 하지 못한다.

곧 익숙해지고, 따분해하며, 지겨워한다.

('익숙해짐'이란 주제에 관해서는 내가 예전에 쓴 글을 참고하시라)

 

 

만약 만원의 행복을 만끽하고 있을 때

이런 '익숙해짐'이라는 현상이 일어난다면 그야말로 큰 일이다.

당신을 지탱해주고 있던 그 수많은 책임들과 일들이

이제는 적으로 돌변해 당신을 짓누를 지도 모르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몇 년 만에 휴대폰을 바꿨다.

단 돈 만원~ 이라고 했는데...

실은 30,000을 추가로 더 냈다.(통신사 가입비란다..ㅡㅜ)

뭐....

그냥 질러보는 거야~

 

 

참, 엊그제는 CMA 계좌도 하나 만들었다.

오늘 거기에 100만원 쯤 넣어뒀고..

이자야, 이자야.. 쑥쑥 붙거라... ㅡㅡ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레비나스 평전』과 『단테신곡강의』.

아이템 두 개 획득.

알지 사무실에 갔다가 받아옴. ㅋㅋ

 

 



 
이 두 권은 훈련소에 들어간 후에나 읽게 될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갑자기 병원에 입원하신 아버지 덕택에

 때맞춰 손에 들고 있었던 철학책 한 권을

다 읽을 수 있는 시간을 얻을 수 있었다.

 


 

나 참... 제목도 마침 '고통받는 인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 땐

아무 것도 가진 게 없었다.

내가 줄 수 있는 것도 없었고,

나에게 있는 거라곤,

단지 가능성 뿐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