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로웠던 안나를 구슬려서 왕국을 통채로 삼키려던 한스 왕자는, 본국에선 아무도 챙겨주지 않던 열세번 째 아들....그러니 아들없는 왕가에 데릴 사위로 들어가는 길만이 그에겐 유일한 희망이었다.

 

 

 

한국의 시오노 나나미를 꿈꾸는 박신영 작가의 재미있는 동화 속 역사를 미리 읽은 덕에 나는 한스 왕자의 검은 속내를 간파했더라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50140110130653

오역 '지적질'로 그칠 것인가? 더 좋은 독서를 원한다!

[번역 비평의 기쁨과 슬픔] 번역가 공진호와 서평가 이현우의 대담

공진호 : 저는 사실 미국에서 살고 공부를 했기 때문에 원서와 번역서 간 비교 독서를 생각해본 적은 없어요. 다만 몇 년 전부터 미국에서 번역을 하기 시작하고 한국에 와서 번역서를 접했을 때 많은 오역이 눈에 띄더군요. 대개는 제가 잘 아는 작품의 첫 단락에서 제가 아는 것과 다른 내용을 발견할 때가 많았어요.

가령 이런 것입니다. 조지 오웰의 <1984>를 열면 첫 문장에 "the clocks were striking 13."이 나옵니다. 시중에 나온 번역을 보면 "괘종시계가 13시를 알렸다" 혹은 "시계는 13시를 치고 있었다"는 식으로 번역되어 있습니다. 오웰은 첫 문장부터 자기 소설 속의 세계가 정상적인 세계와 다르다는 것을 알리고 있습니다. "13시"라고 하면 전혀 이상하지 않습니다. 군대에서나 철도 시간표 같은 경우 24시 시스템으로 시간을 말하잖아요. 시계들의 종소리가 13번 울리고 있었다고 해야 하는데, 하고 고개를 갸우뚱하게 되는 것입니다. 종을 13번 치는 시계는 이 세상 어디에도 없으니까요.

게다가 일제히 여기저기서 시계들이 그 종소리를 울리는 광경을 떠올리게 하는 것입니다. 사소한 문구나 실수라면 기억을 못해서 알아채지 못할 텐데, 작중 세계를 규정하는 중요한 구절이라 기억하는 것이죠. 그런 게 의외로 많더란 것입니다.

 

****

괘종시계가 13시를 알렸다. (민음사, 정회성 역)

시계는 13시를 치고 있었다. (문학동네, 김기혁 역)

벽시계가 13시를 가리켰다. (열린책들, 박경서 역)

괘종시계가 오후 1시를 알리고 있었다. (더클래식, 정영수 역)

시계 종소리가 13시를 알렸다. (북로드, ??)

시계들이 13시를 알리고 있었다. (을유문화사, 권진아 역)

괘종시계가 열세 번 울렸다. (부클래식, 김설자 역)

 

**********

Thirteenth stroke of the clock or "thirteen strikes of the clock" is a phrase, saying, and proverb to indicate that the previous events or "strokes to the clock" must be called into question. This is illustrated in the fictional case of "Rex vs Haddock" in which a remark by one of the parties is compared to the thirteenth stroke of a clock: not only is this thirteenth strike itself discredited, but it casts a shade of doubt over all previous assertions.

 

Adolf Hitler is quoted as saying, "I make it a principle not to stop until the clock strikes thirteen". This was in reference to him never giving up as Germany did in the First World War. This was said in November 1942 at almost certain defeat because at the time Paulus's army had surrendered and the German army had retreated in North Africa. He wanted to point out to his enemy that he was not going to surrender under any circumstances, by using an analogy that theoretically could not happen. (wikipedia)

********

 

The thirteenth stroke here doesn't refer to military time but to an old saying. References to a thirteenth stroke of the clock indicate that some event or discovery calls into question everything previously believed. Put another way, the thirteenth stroke of the clock calls into question not only the credibility of itself but of the previous twelve.

But notice in this opening line that it isn't just one clock malfunctioning, but the clocks. Presumably all of them. In this world, the clocks striking thirteen is not an aberration, but a normal way of life.

In this way, Orwell subtly alerts the reader that statements of truth in this fictional society should be called into question. (cliffsNote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초등엄마 교과서>에서 인용하는 다니엘 페나크의 주장이다.

 

독서인의 권리 장전

* 내키지 않는 책은 읽지 않을 권리

* 페이지를 뛰어넘어 읽을 권리

* 다 읽지 않을 권리

* 다시 읽을 권리

* 무엇이든 읽을 권리

* 상상의 세계로 도피할 권리

* 어디서든 읽을 권리

* 대충 훑어볼 권리

* 소리 내어 읽을 권리

* 자신의 취향을 변명하지 않을 권리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희망찬샘 2014-03-02 07: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독서를 했다는 사람들은 다 이 책을 인용하다라고요. 저도 독서를 좀 했기 때문에 이 책을 읽었습니다. 하핫~ 참 좋은 책이라고 권해드렸더니 선생님들께서도 칭찬을 많이 하셨던 책이에요. 여기서 보니 반가워서요.

유부만두 2014-03-04 09:27   좋아요 0 | URL
저도 일단 사놓고요,.. "다 읽지 않을 권리"를 행사하는중입니다;;;
 

큰 아이는 초등 1,2 학년을 미국에서 다녔지만 귀국후 우리말 공부에 매진하느라(!) 영어를 등한시 했다. 그래서 많은 귀국 학생들과는 달리 공인 인증 영어 성적이 없다. 아이나 내가 게을러서 학원을 다니지 않았으니 후회해도 소용없다. 중학교 영어는 문법 중심에 꼼꼼한 암기가 필수여서 아이는 입으로는 영어가 쉽다면서도 높은 성적은 받지 못했다.

그리고 두둥, 고등학교.

 

 

이제 내신 문제도 수능 처럼 몇 단락을 빠르게 읽고 문법이며 내용을 파악해야 풀 수 있다. 3월엔 조금 당황하나 싶었는데 여름 방학을 지내면서 많이 나아졌다. 학원에 다니지 않는 아이는 남들 보기엔 미국 살다와서 편하게 공부하는 것 같지만 실은 자신의 본 실력이 드러날까 집에서 몰래 영어 공부를 하는 편이다.

 

아무리 형식이 바뀌었다 해도 역시 정공법이 통하나보다. 아이는 <성문종합영어>로 공부하니 효과가 있다고 했다. (아직은) 하지만 성문은 불친절한 교재인데다 해설도 설명을 하지 않는 부분이 더 많다. 그리고 어렵다.

 

우리집 큰아이가 쓰는 방법: (수능을 준비하는 독해 공부법. 문법은 "성문 기초"로 공부한 다음. 문법의 기본 뼈대는 성문 기초에 더 잘 설명이 되어있다. 하지만 예외적인 항목의 예문은 성문종합에 많다)

한 장을 끝까지 보는 대신, 단문독해를 먼저 1장부터 20장까지 공부하고 그 다음에 1장의 장문독해로 돌아갔다. 역시 각장의 장문독해를 끝난 후 1장의 실력체크 시작.

 

1. 각 장의 <단문독해>를 우리말로 꼼꼼히 해석해 적고 해답지와 비교하며 복습한다.

   이 단계는 시간이 많이 걸려서 무익해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학교 선생님의 숙제도 기출 모의고사의 텍스트를 꼼꼼히 해석해오기였다. 이렇게 하면 문법과 문장 구조도 함께 공부하게 된다.

이때 단문에 딸려 나오는 문제, 특히 영작은 풀지 않았다.

 

2. 각 장의 <장문독해>를 우리말로 꼼꼼히 해석해 적고 해답지와 비교하며 복습한다.

유명인의 연설문이나 글들이라 더 길지만 사회적 배경지식도 챙길 수 있어서 좋다. 장문독해의 딸린 문제는 풀어야 한다. Production 이라고 제목붙은 영작은 가볍게 무시했다. 속도가 좀 더 붙게되고 쉬운 부분도 섞여있어서 자신감이 생길 수 있다.

 

3. 각 장의 <실력체크 1 > 을 해석해서 풀고 딸린 문제도 푼다. 이때는 시간들여 해석을 굳이 적지않고 문제만 풀어도 된다. 가장 수능과 비슷한 부분이다. 난이도가 그렇다고 단문독해보다 많이 어렵지는 않다. 한 텍스트당 공부하는 시간이 5분 정도가 적당한 것 같다. 이 부분의 해석은 해답지에 나와있지 않다.

 

하지만.... 아무리 독해하면서 단어를 챙긴다고는 해도, 역시 단어는 따로 시간을 들여 외워야 하나보다. 고등학생에게 단어 외우는 시간을 내라니 좀 한심하다.... 단어 실력이 큰 걸림돌이다. 성문종합의 독해에는 웬만한 단어 뜻은 옆에 달아주니 단어 공부는 자꾸 뒷전으로 미뤄두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트친 ㅇ 님의 결심을 따라 "덜 마시고 더 읽겠다"고 한지 벌써 닷새째.

작년에 끝내지 못하고 남겨둔 <모든 것은 빛난다>을 다 읽었다.

 

여전히 빛나는 문장들과 내용이지만 내가 딱히 꿰뚫지는 못한 느낌.

역시나, 작년에 사 둔 <모비딕>을 읽어야 하겠다.

 

  이 엄청난 양의 재미 "없는" 책을 대할 때는  학교 다닐 적 방법을 쓸 수 밖에 없다.

 

136장을 하루에 두어 장씩 읽기로 한다. 오늘 바로 시작한다면 적어도 여름이 오기 전엔 나도 "빛나는" 것에 대해 무언가 알 수 있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