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일러 있음 













영화는 바뀐 날씨로 모든 게 달라져 버린 세상을 보여준다. 하지만 한 사람의 희생으로 이 모두를 되돌릴 수있다. 그러니 바른 결말을 위해서 위대한 결단을 내려야 한다. 전 세계를 구하는 일이다. 영웅이 필요하다. 


하지만, 그 영웅이 싫다고 한다면? 그 영웅에겐 원래의 세상은 고사하고 이 엉망인 현재도 다 잃게 되는데. 괴물에게 바쳐지는 제물처럼 모든이를 살리기 위해 아무 말도 말고 희생되어야 하나? 


아니, 그런 건 싫어. 다 필요 없어. 난 살거야. 

이전의 세상은 사라졌어도 나름대로 

다른 식으로 삶은 계속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의 역사>가 리커버로 나왔는데 검색하면서 영화도 있다는 걸 알았다. 예전 표지로 눈물까지 흘리며 읽었지만 영화는 거리감을 갖고 봤다. 할아버지 레오가 너무 비호감 그럼피 올드맨으로 나오고 뉴욕의 어린 알마는 반가운 얼굴, 영화 <책도둑>의 리젤이다.















할아버지 레오가 어린 알마를 만나는 게 께름칙했지만 (그는 영화 내내 젊은 여자들에게 매우 무례하다) 그가 인생에서 마지막 하나 남은 '삶의 역사'를 다시 만나는 데엔 다행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그러니까, 영화는 사랑과 약속에 악착스레 매달려 살아남은 사람의 이야기를 보여준다. 그에겐 '사랑'이라는 단어가 더 진하고 서럽고 무겁다. 그 사랑의 역사가 아름답지만은 않다.


레오의 슬픈 인생사, 부르노의 진실과 사라진 원고 혹은 기억, 옛 알마의 사정 등과 무엇보다 다 알고있던 이작의 안타까움. 이 모든 게 퍼즐처럼 흩어졌다 모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산에 살던 여자 사냥꾼 이야기라서 모노노케 히메를 생각했다. 인간과 문명을 증오하고 자연으로의 회귀만 꿈꾸던 공주. 


이 영화 주인공 사냥꾼 하마지는 산을 내려와서 도시에 사는 오빠와 힘을 합쳐 개/늑대인간, 후세 사냥에 나선다. 인간의 심장을 빼먹는 둔갑한 짐승, 후세는 우리네 구미호 (와 몇 년 전 드라마 구가의 서)를 연상시키지만 인간에게 멸시와 차별을 당해온 비운의 소수자들로 묘사된다. 하마지는 도시의 매력에 정신 없지만 어쩐지 자신도 길을 잃은 한 마리 늑대 같다는 생각이 들... 무렵 오빠와 동네 서민들을 만나 금세 인간 무리에 스며든다. 


오빠와 후세 미남자 시노 사이에서 쥴리엣처럼 괴로워하는 하마지 이야기인줄 알았는데 그보다는 시노의 비극과 권력집착증 성주에 더 집중되어있다. 중간에 나오는 놀이동산 스케일의 유곽과 칼부림에 피범벅(껄쭉한 피) 표현에 뜨악했지만 (다 보여줌) 일단 구매 버튼을 누른 이상 계속 전진. 


흥미로운 인물로는 하마지를 돕는 친구 메이가 나온다. 할아버지가 후세 전설담을 이야기책으로 만든 작가였고 자신도 이야기를 만들려고 애쓰는 아이다. 별 거부감 없이 하마지와 후세를 응원한다. 그 와중에 소식지 혹은 찌라시를 만들어 시내에서 사람들에게 자신의 '글'을 판매하고 있다.  



이룰 수 없는 사랑 이야기라지만 억지로 애절함을 넣지는 않았다. 애절함, 말하지 못한 사랑이라면 후세 엄마와 아이 사이의 서러움과 애달픔이다. 널 멀리한 건 널 사랑해서였단다. 부디 넌 살아남아야해. 반면 인간과 후세의 차이가 너무 커서 영화 내내 차라리 느네는 따로따로 살아라, 라는 마음이 들었는데 시노가 그닥 하마지를 사랑하는 것 같지 않아서 였다. 폭력과 성적 표현 수위가 예상보다 높아서 놀랐고 하나의 중심 이야기, 주인공들을 위해 심장이 뜯겨 나가고 베이고 불에 타는 수 많은 사람들을 아랑곳하지 않고 다들 해맑아서 무서웠다. 그림은 모노노케 히메 보다 더 밝고 날렵하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oonnight 2020-07-12 11: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영화가 있었군요@_@; 궁금하네요@_@;

유부만두 2020-07-12 13:52   좋아요 0 | URL
부드럽기보다는 격렬한 애니메이션이에요.
예상보다 수위가 높아서 놀랐어요. 이야기는 다채롭게 활극과 환상을 넘나듭니다.

파이버 2020-07-12 12: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성우들이 연기를 잘한거 같아요.저도 오랜만에 다시 보고 싶어지네요. 리뷰 잘 읽었습니다.

유부만두 2020-07-12 13:53   좋아요 1 | URL
그렇군요. 애니메이션에선 성우 역할이 크겠네요.
잘 몰랐지만 생생한 느낌을 받았어요.

moonnight 2020-07-19 17: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궁금해서 vod로 봤습니다ㅎㅎ 뭔가 굉장히 생생한 느낌이었어요. 약간 거친 분위기도 있었지만 작가의 의도인 걸까요-_-a 너무 슬프거나 애달프지 않아서 저는 좋았습니다. 일본 애니보고 후유증이 심했던 경험 많아서요ㅠㅠ 유부만두님 덕분에 좋은 영화 보았습니다. 감사드려용^^

유부만두 2020-08-23 20:38   좋아요 0 | URL
댓글을 너무 늦게 봤네요. 죄송합니다;;;;
강렬한 장면이 많지요? 수위도 높고요.
님 말씀 처럼 너무 늘어지고 슬프지 않고 씩씩해서 다행이었어요. 그래도 나름 해피엔딩이기도 하고요.
 

하지에는 국수를 먹는거라고 (책에는 국수 먹으라는 얘기가 사시사철, 절기마다, 날씨마다 나온다.) 콩국수, 비빔국수에 칼국수까지 해 먹었다. 그리고 진짜 여름 이야기, 한여름밤의 꿈을 읽고 NT live 이번주 양식을 챙겨보았다. (이번주 목요일 밤까지 유투브 스트리밍 가능)영어 자막을 띄우고 (잘 안들려요, 영국 영어에 셰익스피어라니!) 관람한 연극은 알고 있던 이야기와 사뭇 다르고 매우 흥겨웠다. 모든 게 한바탕 꿈이고, 잔치고, 난리법석이고, 뭘 그렇게 따지고 그러지 마라..... 이 모든 게 지나가고 그런다. 코로나도 가라 마. 이런 심정. 






NT live의 버텀은 거구의 흑인배우 Hammed Animashaun이 (귀여움으론 문세윤이랑 비슷한 끕) 맡았다. 그는 망측스런 당나귀 탈 대신 귀여운 귀를 달고 나왔고 그를 사랑하게되는 건 티타니아가 아니라 요정의 왕 오베론이다. 이 커플은 거리낌 없이 즐겁고 흥겹게 사랑한다. 사랑의 테마는 Love on Top (비욘세). 그들의 러브 베드가 공연장을 회전할 땐 관객들 (마법의 꽃으로 화관을 쓰고) 함께 환호한다. 


(약에 취해 당나귀 머리와 사랑에 빠지는 요정 여왕 티타니아를 바라볼 땐 안타까움과 죄의식을 느꼈는데 같은 상황에 처한 오베론은 더 여유를 부리고 편안하다. 이 차이는 어디에서 오는지? 남-남 커플은 코메디의 소재로 굳은건지, 아니면 아무리 여왕이라도 티타니아는 새연인에게 복종하는 위치에, 어쩌면 피해자의 위치에 갇혀서 독자의 걱정을 살 수 밖에 없는지 모르겠다. 하지만 힘찬 율동과 가창력의 비욘세의 '사랑 노래'에 걱정을 조금은 덜 수 있었다. 하지만 그 실제의 남편 넘 제이지.....) 


연극 초반의 근엄한 테세우스 (오베론 역과 같은 배우 Oliver Chris가 연기)는 요정의 세계에 들어오면 관습과 규율 (아버지 뜻에 거역하는 딸은 사형시키는) 따위는 모르고 행복과 사랑을 소중히 여기게 된다. 이 숲속의 다른 세계로 들어온 남녀 넷도 엇갈리는 사랑으로 아프고 혼란스럽게 난리를 치지만 결국 사랑을 얻어 현실로 돌아간다. 이번 연극에선 버텀과 오베론, 오베론과 테세우스, 티타니아와 히폴리타의 변화가 주목을 끌었다. 이야기의 열쇠, 사랑의 묘약은 여왕의 손에 있고 유리관에 갇혀 말 없던 히폴리타 (아마존의 여왕이며 새신부)는 소문난 전사에 바람꾼 새신랑 테세우스를 서서히 압도해간다. 그 중심에 축제의 연극-숲속 요정 나라의 법석-현실 세계의 장인 버텀이 버티고 있다. 하지만 너무 무게 잡으면 안돼욧! 이건 연극! 축제! 한여름밤의 꿈이라고! 1590년대에 쓰인 작품이 아직도 재미가 있으니 내 취향이 오올드한 걸로 인정합니다. 


다만.


공연에서 배우들이 전부 백인만은 아니고 희곡에서 욕설로 쓰였던 '에디오피아인, 검은피부 (민음사에선 껌둥이로 표기)'는 시대의 변화, 문명화를 함께 해서 다른 식으로 표현되었다. 하지만 벽의 틈 chink는 그대로 나온다. 동양인 배우가 없으니 안 불편했나봐? 두 벽돌을 슬쩍 벌리며 chink라는 단어를 말할 때 관객들은 박장대소. 연극 전체가 말장난이 많고 관객 호응이 마당놀이 수준이라 이해는 하지만, 아시아인 랜선 관객은 그 웃음이 신경쓰였다. 



하지만 퍽이 마지막에 변명을 다시 한 번 한다. 


저희 그림자들이 언짢으셨다면 

이러한 영상들이 보였을 때

잠들어 있었을 뿐이라고

생각만 고치시면 다 괜찮죠. 

그리고 가볍고 시시하며

꿈처럼 헛것 같은 이 주제를 

나무라지 마십시오. 여러분,

용서해 주시면 잘해 보겠습니다. 

또한 제가 정직한 퍽인 만큼

노력 없이 얻게 된 행운은

야유를 피하기 위해여

머지않아 보상하겠습니다.

안 그러면 거짓된 퍽이지요.

그러면 안녕히 주무세요.

친구라면 박수 좀 쳐주세요.

그러면 로빈이 보답하겠습니다. (5막1장)


당나귀 버텀, 아테네의 노동자 버텀, 간섭쟁이 연극인 버텀이 압도하고 장난꾼 요정 퍽이 기교를 다하는 한여름 밤의 꿈, 당나귀에 빠져 행복한 꿈을 꾸는 오베론, 사랑의 작대기에 찔리고 맞는 네 남녀. 그리고 그 '틈'이 있는 벽도 허물어 졌다니 마음에서 털어내기로 했다. 지구 반대편의 아줌마. 오늘은 유월의 마지막 일요일. 여름의 과일 수박을 한 통 사야겠다. 음악도 크게 틀어놓고 수박을 썰어 시원하게 머글거시다. 

노래는 물론 비욘세!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syche 2020-06-28 11: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하지에는 국수를 먹는 거구나! 국수는 맨날 먹지만 또 핑계삼아 먹어야지 ㅎㅎ

유부만두 2020-06-28 23:35   좋아요 0 | URL
그렇죠!!! 에브리데이 국수이지만 하지의 국수는 특별하니까요. ^^

단발머리 2020-06-28 16:3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 연극은 이름을 외우면서 봐야할거 같아요. 전 이름이 헷갈리더라구요@@ 예전에 무한도전에서 이 연극 도전했었던 거 기억나고요.
비욘세는 정답이네요 ㅎㅎㅎㅎ 수박도 정답이고요. 저도 오늘 한 통!

유부만두 2020-06-28 23:36   좋아요 0 | URL
비욘세 너무 멋지고 힘차죠!
수박은 이제 끝물인 느낌이지만 그래서 더 열심히 먹고 있어요.

아, 단발머리님, 이 연극 같이 봐줘요. 정말 재미있고 웃기쟈나요!!!!!

moonnight 2020-06-29 09: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유부만두님의 리뷰로 영어가 안 들리는(까막귀-_-) 슬픔을 위로받습니다. 감사합니다♡

유부만두 2020-06-30 12:54   좋아요 0 | URL
제 리뷰는 부족하고 극히 일부고요,
다양하고 재미있는 리뷰를 문나잇 님 블로그에서도 읽고 있습니다. 저도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