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 강상중 교수의 신작이 나왔다. <떠오른 국가와 버려진 국민>(사계절). 그러고 보니 지난해에 나온 <만년의 집>은 건너뛰었다. 재작년에 나온 우치다 타츠루와의 공저 <위험하지 않은 몰락>까지가 내가 기억하는 책이다. 아무튼 신작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의 현대사를 다루고 있다. 그 현대사를 압축한 표현이 책의 제목이다(현재 일본의 상황과도 정확하게 들어맞는다).

˝2018년 메이지 150주년을 앞두고 과거에 대한 찬사와 만세 구호가 휘몰아치고 전 국가적 성대한 기념식을 준비하며 애국심을 고취하던 그때, 강상중은 메이지가 남긴 야만적 차별과 불평등, 그리고 그로 인해 비참에 빠진 국민을 보듬는 작업을 시도했다.˝

같이 떠올리게 되는 건 한 세기 앞서서 그러한 문제를 직시했던 작가 나쓰메 소세키다. 강상중 교수 자신도 소세키에 대한 책을 쓴 바 있고, 근대의 문제들을 사유하는 데 있어서 막스 베버와 함께 가장 중요한 저자로 참고하고 있기도 하다. ‘떠오른 국가와 버려진 국민‘, 혹은 약간 변형하여 ‘떠오른 국민과 버려진 개인‘이라고 하면 소세키의 문제의식이지 않을까 싶다. 하반기에는 소세키의 <나의 개인주의>도 강의에서 다시 읽어보려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재독 철학자 한병철 교수의 <폭력의 위상학>(김영사)이 번역돼 나왔다(짐작에 영어로 가장 많이 번역된 한국인 철학자다. 물론 독어로 쓴 책들이 영어로 번역된 것이지만). <피로사회>로 화제가 된 이후에 대부분의 저작이 번역되고 있는데(분량은 얇아도 종수는 많다) 타이틀 가운데 읽어보고 싶었던 책이다. 몇년 전에 다섯 권의 책을 강의에서 다루면서 <에로스의 종말><아름다움의 구원>까지 읽었는데, 기억에는 이 책들보다 먼저 나온 저작이다.

˝폭력의 구조, 역사, 정치, 심리, 가해자를 특정하기 어려운 시스템의 폭력까지, 오늘의 세계를 지배하는 폭력에 관한 분석을 담은 책이다. 주권사회에서 근대의 규율사회로, 다시 오늘날의 성과사회로, 사회의 변천과 더불어 그 양상을 달리하고 있는 폭력의 위상학적 변화 과정을 살피고, 점점 내부화, 심리화하고 있는 이 시대의 폭력을 예리한 시선으로 읽어낸다.˝

시스템의 폭력을 다룬다는 점에서는 지젝의 <폭력이란 무엇인가>와 비교해서 읽어봐도 좋겠다. 비록 지젝의 책은 절판된 상태이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개입하는 방관자’를 자처하는 저널리스트 그리고 인류학자˝로 소개된다. 하지만 그보다 중요한 정보는 저자가 대만인이라는 점이고 이번에 처음 번역된 그의 책 <슬픈 경계선>(추수밭)이 아시아 여행기라는 점이다. 대만 인문학자의 책이 가끔씩 눈에 띄는데 나로선 아시아 여행기라는 점에 눈길이 갔다. 그러고 보니 제목도 유사한데 한국 지식인들의 아시아 기행을 다룬 <슬픈 아시아>(푸른역사)도 있었다.

˝국경, 세대, 인종, 계급 등 다양한 경계에 대한 르포르타주이자 여행 에세이, 그리고 문화인류학 필드워크. 타이완의 인류학자이자 저널리스트인 아포가 십여 년 간 강제로 그어진 경계인 한국 휴전선부터 세대 간 소통이 점점 어려워지는 조선족들의 가정, 미국과 일본 사이에 놓이게 된 오키나와, 전쟁을 잊고 싶어 하는 베트남과 톈안먼을 기억하는 홍콩에 이르기까지 아시아의 국경과 분쟁 지역, 그리고 일상을 둘러봤던 기록들을 정리했다.˝

세계문학강의가 주로 구미에 편중돼 있었는데 이제 차츰 제3세계로 시야를 넖히는 중이다. 동아시아를 제외하면 동남아와 서남아가 그간에 공백이었다. 이 지역 문학과 역사가 빈곤하게 소개된 탓이다(전공자도 태부족이겠다). 그렇지만 아주 없는 건 아니므로 대안을 궁리하며 준비는 하고 있다. 언젠가 문학기행까지 가능할지는 기약할 수 없지만 대표 소설들이 소개되길 기다리면서 이런 여행기도 챙겨놓는다. 아, 지난해 나온 책으로(하지만 알게 된 건 얼마 되지 않았다) <한국의 동남아시아 연구>(서울대출판원)도 요긴한 참고자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일대 강의 <죽음이란 무엇인가>(엘도라도)로 처음 소개되었던 셀리 케이건의 책이 오랜만에 추가되었다. 이번에는 동물윤리에 관한 것이다. <어떻게 동물을 헤아릴 것인가>(안타레스). ‘사람과 동물의 윤리적 공존을 위하여‘가 부제다.

˝이 책은 케이건 교수가 옥스퍼드대학교 우에히로 실천윤리 센터의 초청을 받아 진행한 특별 강좌를 재구성한 것으로, 인간과 동물의 도덕적 ‘지위’와 의무론적 ‘권리’ 그리고 윤리적 ‘공존’에 관해 고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동물윤리와 관련하여 바로 떠올릴 수 있는 책은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이다. 이후에 이 분야의 쟁점이 무엇이고 논의가 어디까지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해볼 수 있겠다(목차라도 일별해볼 필요가 있다). 나로선 일주일에 한번쯤 만나는 강아지 한 마리가 ‘동물 경험‘의 전부이긴 하지만 동물 학대 사례가 여전히 심심찮게 보도되는 걸 보면 이 주제에 대한 관심의 공유가 필요하다. 사회적 분위기 조성을 위해서.

개와 고양이에 관한 책은 과장해서 헤아릴 수 없이 많은데 최근에 나온 책은 <개는 우리를 어떻게 사랑하는가>(현암사)다(처음엔 주어가 바뀐 줄 알았다). 동물행동학을 전공한 저자가 쓴 ‘과학책‘으로 ‘개의 특별한 애정에 대한 과학적 탐구‘가 부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런 것이 있다면 하고 바랄 만한 경제학이지 않을까. <힘든 시대를 위한 좋은 경제학>(생각의힘). 지난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아비지트 배너지와 에스테르 뒤플로 부부 학자의 책이다(사제지간이이기도 하다). 두 사람의 책은 앞서 <가난한 사람이 더 합리적이다>(생각연구소)가 소개됐었다. 
















"노벨상 수상 경제학자 배너지와 뒤플로는 경제학이 제대로만 수행된다면 (그러니까 ‘좋은 경제학’이) 우리 시대의 가장 첨예한 사회적, 정치적 난제들을 해결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주 문제부터 불평등까지, 성장의 둔화부터 기후변화의 가속화까지, 우리는 거대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하지만 그 어려움을 헤쳐 나갈 수 있는 자원과 역량이 없는 것도 아니다. 이 책은 우리에게 이런 문제들을 해결할 새로운 관점을 독창적이고 도발적이며 시의적절하게 제시한다."
















'좋은 경제학'이 화두가 된다면, 통상 경제학이라고 불리는 '나쁜 경제학'도 있다는 얘기(아니 그간에 그래왔다는 얘기도 된다). 이 주제로도 조너선 앨드리드의 <경제학은 어떻게 권력이 되었는가>(21세기북스)를 포함해 여러 권의 책들이 또한 나와 있다. <경제학의 7가지 거짓말>과 <경제학은 어떻게 내 삶을 움직이는가>는 이번에 발견한 책이다. 경제학 책을 주의 깊게 읽은 건 꽤 오래 전인데, 이 분야도 갈무리해놓아야겠다.
















생각난 김에, '힘든 시대를 위한 좋은 정치학'도 가능할까? 슬라보예 지젝의 <용기의 정치학>(다산초당)도 후보다. 다만, 지젝은 과감하게 희망을 포기할 줄 아는 용기를 제안한다. 후쿠야마의 <존중받지 못하는 자들을 위한 정치학>(한국경제신문)도 오해의 소지가 있는데, '정체성'이라는 원제대로 정체성 정치의 부상 배경을 짚으면서 그 함정도 들여다보게 해준다. 그리고 국내로 시선을 돌리면, 21대 국회가 개원을 앞두고 있는데, 박선민의 <국회라는 가능성의 공간>(후마니타스)는 오랜만에 구성이 달라진 이번 국회에서 어떤 변화가 가능할지 생각해보게 한다. 기대를 가져도 좋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