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휘에 예민해야 하는 지점이 꼭 호칭에만 해당하지 않는다. 같은말이라도 상황에 따라 쓰임새가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중립이나 중재라는 말을 쓸 때 이해 당사자가서로 비슷한 힘을 가진 경우라면 별문제가 없을 수 있으나 강자와 약자가대립하고 있을 때는 그런 말이 강자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작동하기 쉽다. 김여사, 된장녀 같은 말이 가진 여성비하적인 측면에 관한 고려, 하사금下賜金이나 고위층高位層처럼 권력에 따른 상하관계가 스민 측면에 관한 고려 등도 충분히 감안해야 할 사항이다.

교사도 마찬가지다. 학교에 있는 동안 많은 교사가 학생 앞에서 스스로 자신을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말을 자주들었다. 가령, "딴짓하지 말고 선생님이 하는 말 잘 들으라고 했지?" 라든지,
"선생님이 다 너를 위해서 하는 말이야" 라는 식이다. ‘선생님‘ 이라는 말 역시 다른 사람이 교사를 높여 부를 때쓰는 호칭이지 교사가 자기를 지칭할 때 쓸 수 있는 말이 아니다. ‘선생님을 대신 그냥 ‘나‘를 쓰는 것이 맞다. 그런데도 그게 왜 문제인지를 모르는 교사가 다수다. 스스로 자기 권위를 높이려다보니 그렇게 된 듯하지만, 잘못된 방향으로 흘러가서 엉뚱하게 고착되고만 형국이다.

어려운 어휘를 즐겨 쓰는 사람은 어휘량이 많은 게 아니라 쉬우면서도 쓰기 편리한 말에 관한 어휘량이 적은 사람일 가능성이 크다. 특히 전문가 집단이 자기들끼리 공유하는 어휘의 세계에 갇혀 버리면, 거기서 배제된 이와는 정상적인 소통이 어려울 뿐 아니라 자칫 적대적인 관계를 형성할수 있다. 의료계나 법조계에서 쓰는 전문용어를 쉬운 말로 바꾸어야한다는 이야기가 오래전부터 나왔고, 당사자들도 그런 문제를 인식하고 개선하기 위해 힘을 기울이고 있다.폐쇄성의 울타리 안에 갇힌 어휘를 간명하면서도 알아듣기 쉬운 어휘로 대체하기 위한 노력은 꾸준히 이어져야하며, 그런 작업이 언어의 민주화로 가는 길이자 우리 사회의 어휘 자산을 늘리는일이 될 터이다.

어휘를 익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너무 당연한 말일 수 있겠으나 독서를 많이하는 것이다. 독서를 많이 한 사람과 대화를 나누어 보면 확실히 사용하는말이 다르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책을 읽는 동안 자연스레 책 속에 있는어휘의 개념이 머릿속에 쌓인다. 책에 나오는 말 중에 모르는 어휘가 있을 경우 굳이 사전을 찾아보지 않아도 앞뒤맥락을 통해 저절로 뜻을 알게 되는경우가 많다. 어린아이가 말을 배울 때 국어사전을 가지고 공부하지 않아도 타인과의 대화 속에서 새로운 낱말을 익히게 되는 것과 같은 이치다. 그러므로 독서 행위는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나 교양을 쌓는 일일 뿐 아니라 어휘를늘리는 가장 확실하고 좋은 방법이다.

외국어 습득을 통해 인식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다는 것, 즉 ‘다른 또 하나의 관점‘을 배울 수 있다는 점은 무척 중요한 지적이다. 가령 에티켓이라는 말을 생각해 보자.
에티켓이라는 외국말이 우리말의 예의나 예절이라는 말과 똑같을까? 서양 사람이 생각하는 에티켓과 우리나라 사람이 생각하는 예의는 포함하는 범주가 다르다. 식당에 갔을 때 남자가 여자의 의자를 앉기 좋게 빼 준다든지 하는 것은 우리나라 사람의 행동 양식에 없었다.
에티켓이라는 말과 함께 그런 행동도 들어온 셈이다.

언어가 사유를 이끌어 가는 측면이있다면, 어휘량이 많은 사람이 더풍부하고 깊이 있는 사유를 할 수 있으리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어휘를 익힌다는 것은 교양을 넓히는 일일 뿐 아니라 세상을 다양한 시선으로 바라볼 줄 아는 눈을 기르는 일이 된다.

어휘를 늘린다는 것은 자신이 살아가는 삶의 양과 질을 늘린다는 것과 같다.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양상은 대부분 언어 행위를 매개로 이루어지기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number the stars 다 읽고, 윈딕시 읽고, 이제 summer to die 읽는 중이다. 


윈딕시 이야기 중에 정말 사랑스러웠던 이야기. 


오팔이 이사가서 친구 못 사귀고 맨날 엄마 그리워하며 외로워하다가 윈딕시 마트에서 윈딕시 데려오게 되고, 도서관에서 미스 프레니와 친구가 된다. 


미스 프레니가 도서관 사서가 된 이야기가 정말 사랑스럽다. 






Miss Franny Block started in, " and I was just a little girl no bigger than you, my father, Herman W. Block, told me that I could have anything I wanted for my birthday. Anything at all." 


Miss Franny looked around the library. She leaned in close to me. " I don't want to appear prideful," she said, "but my daddy was a very rich man. A very rich man.: She nodded and leaned back and said, "And I was a little girl who loved to read. So I told him, I said, 'Daddy, I would most certainly love to have a library for my birthday; a small little library would be wonderful.'"

 " You asked for a whole library?" 

" A small one." Miss Franny nodded. " I wanted a little house full of nothing but books and I wanted to share them, too. And I got my wish. My father built me this house, the very one we are sitting in now. And at a very young age I became a librarian. Yes ma'am." 


십대가 되기도 전에 도서관을 선물로 받은 미스 프래니! 나도 나에게 도서관을 선물로! (아님) 


이 도서관에서 있던 어느 날 프래니는 곰을 만난다. 곰이 앞에 있어서 떨면서, 싸우지 않고 먹히지는 않겠다는 의기로 읽고 있던 책을 던지면서 '저리 가!' 소리 지른다. 읽고 있던 책은 war and peace  그러자 곰이 도망가는데, 믿거나 말거나 책을 들고 도망간다. 그 이야기를 하자 사람들이 막 놀림. 프래니, 내가 숲에서 곰을 봤는데, 곰이 한 주만 더 읽고 반납하겠다네. 하면서. ㅎㅎ 


그거 아시나요? 


호신용품을 가지고 다니다가 치한이나 강도에게 대항하면, 정당방위 안 나오고 쌍방과실 나오잖아요. 

근데, 책은 무기가 아니라서 책으로 때리면 무기로 때리는거 아니라 정당방위 나온다고 그러던데요. 


war and peace,  좋은 무기가 될 법한 책이다. 하드커버여야 함. 


 그리고 이 책에서 또 좋았던 거, 슬픔 들어간 사탕, 술병 매달아 둔 실수 나무


 제일 좋았던 건 잘 웃는 윈딕시지만, 귀여운 이야기들이 많이 남은 이야기였다. 

 특히 생일선물로 도서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제 요나에게 어떤 지명들은 재난과 동의어였다. 뉴올리언스에서는 허리케인의 흔적을 볼 수 있고, 뉴질랜드에서는 도시를 폭삭 무너뜨린 대지진을 훔쳐볼 수 있고, 체르노빌에서는 핵 누출로생긴 유령 마을과 낙진으로 생긴 붉은 숲을, 브라질의 빈민가에서는 경제 재앙의 현실을, 스리랑카나 일본, 푸껫에서는 쓰나미의 위력을, 파키스탄에서는 대홍수를 경험할 수 있었다.
따지고 보면 재난이 없는 도시는 없었다. 재난은 우울증 같은 거라 어디에든 잠재했다. 자극이 임계점을 넘으면 그 우울증이 곪아 터지기도 하지만, 용케 숨어 한평생을 마무리하는경우도 있다.
- P12

재난 여행을 떠남으로써 사람들이 느끼는 반응은 크게 ‘충격 → 동정과 연민 혹은 불편함 → 내 삶에 대한 감사 → 책임감과 교훈 혹은 이 상황에서도 나는 살아남았다는 우월감‘의순으로 진행되었다. 어느 단계까지 마음이 움직이느냐는 사람마다 다르지만, 결국 이 모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재난에 대한 두려움과 동시에 나는 지금 살아 있다는 확신이었다. 그러니까 재난 가까이 갔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안전했다.
는 이기적인 위안 말이다.
- P6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러나 해가 갈수록 여름이 난폭해지고있다. 한여름에 바깥 기온은 41도도되고 43도도 된다. 집을 나설 때마다모자나 손수건부터 챙겨야 하고 두시간에 한 번씩 선크림을 덧발라야 한다.
얼굴은 금방 벌게지고 그 위로 땀은 비오듯 흐른다. 아무리 얇은 옷으로 골라입어도 땀으로 푹 젖기 일쑤고, 열대야에숨이 막혀 잠을 설친다. 세계 곳곳에서더위 때문에 죽은 사람들 소식도 들린다.
그럴 때면 내가 여름을 좋아하는 게 맞나,  그만 우겨야 되나 싶다.

여름은 적당한 것을 넘기지 못하고

기어코 끓게 만든다.

나는 여름이 정말이지 너무 좋았다.

서한나, 『피리 부는 여자들』(BOSHU)에서 - < 아무튼, 여름, 김신회 (지은이)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것은 내 일 년 중 가장 의미 있는 일탈이다. 나는 고기를 먹는 일을 일탈의 영역으로 둔 것을 아주 잘한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일탈은 짜릿하고, 즐겁고, 그러면서도 일상을 결코 이겨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일탈의 순간 꼭 조금은 시시해진다. 원래의 단조로운 내 삶이 충분히 좋았다는 것을 깨닫고 말이다. - P18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