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書齋雜記 170925

 

시사인 522

 

p321 불편할 준비 ; 여혐으로 점철된 군대에 여성도 의무 복무하라?

 

우리나라는 몇 안 되는 여성 대통령을 배출한 나라다. 18대 대통령 선거 당시 박근혜를 지지하는 여성 단체에서 박근혜 여성 대통령의 당선은 페미니즘의 승리라는 주장을 했다. 그래서 박근혜를 지지하는 페미니즘이 페미니즘이냐 의문이 던져졌다. (페미니즘은 다양하니까.)

 

막상 여성 대통령인 박근혜 전 대통령은 국무위원에 여성 장차관을 임명하지 않았다. 그래서 박근혜 정부가 임명한 '여성 장관': MB 정부 때보다 후퇴라는 신문기사도 있었다.

 

혹시 박근혜 전 대통령의 생각은 이런 생각은 아니셨을까?

남성중심 (또는 가부장제, 또는 여혐)으로 점철된 정부에 어떻게 여성을 임명하랴?

 

여성이 군에 강제 징집되지 않는 것이 정의나 진실이라면, 불의나 왜곡, 즉 여성을 군대에 보내라고 생각하는 사람을 어떻게 이해시키고 설득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이런 글을 읽다보면 여성의 군 징집에 반대하는 사람에게 카타르시스를 주기 위해 쓴 글인지, 아니면 반대편에 있는 사람들을 설득시키려고 쓴 글인지 의문스럽다.

 

포장지를 벗기면 ... ; 이런 식의 표현은 조악 粗惡함을 느끼게 한다. 페미니즘을 비판할 때, 여성들이 편한 것만 원하고 힘든 것은 남자에게 미룬다는 단순한 주장의 반복은 조악하다.

 

박탈과 무력감의 시간 ; 여성의 감정 이입 및 공감 능력으로는 LPG 통을 들고 설치는 남성 노인을 이해할 수 없다. 그리고 군대의 박탁과 무력감을 공감하기도 힘들다.

 

하기야 나도 남을 잘 설득하지 못한다. 남녀가 부엌일을 5:5로 나누는 기계적 평등은 평등이 아니라는 것을 잘 설명하지 못한다. (이런 기계적 평등을 주장하는 여성분에 대해 분노를 느끼지는 않는다.)

 

양성평등에 반대한다p24 “계급 역할(당신은 가난하므로 공부하면 안 된다)”이나 인종 역할(당신은 흑인이므로 실업자가 자연스럽다)” 같은 표현은 없다. 반면, 성 역할(gender role, “여자는 애를 낳아야지”)이란 단어의 존재는 성차별이 얼마나 자연스러운 일상의 정치인지, 젠더가 얼마나 인식하기 어려운 사회적 구조인지, 얼마나 탈정치화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 그리고 군입대는 남자만 가야지란 문장에서도 성차별이 얼마나 자연스러운 일상의 정치인지, 젠더가 얼마나 인식하기 어려운 사회적 구조인지를 보여준다.

 

뱀발) 양성평등에 반대한다≫를 포함한 아래 2권은 읽지 않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身邊雜記 170925

 

* 신문읽기

 

Meryl Streep says she’s a humanist, not a feminist

https://www.washingtonpost.com/news/arts-and-entertainment/wp/2015/09/30/meryl-streep-says-shes-a-humanist-not-a-feminist/?utm_term=.fce243f7551d

 

위 신문 기사에 내 의견을 표현하려 하니, 이미 내 의견을 충분히 서술한 글들이 있어 웹페이지 링크만 한다.

 

셀러브리티 페미니즘과 페미니스트의 자기기만

http://realnews.co.kr/archives/4355

 

위 글은 일베의 사상쓰고 욕을 먹은 박가분의 글이다.

 

페미니스트에 대한 관점, 메릴 스트립과 엠마 왓슨 누가 옳은가

https://www.youtube.com/watch?v=5pixb67rfJ4

 

예전에 ‘... I am not a feminist. ...’에 관련된 동영상을 봤는데, 무엇을 봤는지 기억이 나지 않아 youtube에 검색을 하니, 수많은 ‘I am not a feminist’‘I am a feminist’의 동영상이 동시에 검색된다. 각자의 취향대로 보게 될 것 같다. (링크된 동영상은 검색 맨 위에 랭크된 동영상이다.)

 

Lauren Southern: Why I am not a feminist

https://www.youtube.com/watch?v=vNErQFmOwq0

 

* 내가 대학생 시절 학생운동이 정점에 있었다. 내가 책을 읽고 생각한 바에 의하면, PD 계열의 의견이 맞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학생 운동의 주류는 NL이었다. NL 계열의 학생은 이렇게 말했다. 민족 통일 없이 어떻게 노동 해방이 옵니까? 그런가? 내 생각은 다른데.

 

한 참이 지난 지금 비슷한 경험을 또 하게 된다. ; ‘페미니스트가 되지 않고 어떻게 휴머니스트가 됩니까?’

 

 


댓글(6)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곰곰생각하는발 2017-09-25 11: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개인적으로 박가분이 참 한심한 사람이라고 평가하는 ( 일베의 사상은 정말 후졌다고 생각하는) 데,
이분은 자신의 개인적 사건 때문에 그때부터 페미니즘을 열렬하게 물어뜯더군요. 여성에 대한 증오심이 보입니다.

마립간 2017-09-25 11:16   좋아요 0 | URL
마태우스 서민 교수님은 어느 인터뷰에서 자신이 페미니스트가 된 이유를 자신이 어려울 때 여성이 자신에게 많은 도움을 주었기 때문이라고 하셨습니다.

페미니즘의 찬반, 호불호가 대개 개인적 사건 때문일지도 모르겠군요.

저도 제 무의식에 여성들의 냉대받은 사건이 있어, 이 때문에 페미니즘을 부정적으로 생각할 지도 모르겠군요. 단, 제가 기억하는 사건은 없습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7-09-25 12:17   좋아요 0 | URL
박가분 이분 데이트 폭력의 스캔들 이후, 여성과 진보 진영으로부터 데이트폭력 의혹에 따른 비판을 받기 시작하자 진보 진영 논객을 자처하던 사람이 어느날 ˝어느 중도 자유주의 우파˝로 소개하는 등 우파로 전향한 것을 보니 한심하더군요. 전형적인 기회주의자의 면모라고나 할까요.

마립간 2017-09-25 12:20   좋아요 0 | URL
박가분 뿐만 아니라, 이재오, 김문수도 전향했고, 한윤형도 데이트 폭력이 있었지요. 그래서 말로써 여성 옹호, 페미니즘을 지지하는 사람을 믿지 않습니다. ; 제 페이퍼에 남성 알라디너들이 저의 페미니즘 비판을 재비판하는 댓글을 남길 때마다 그려려니 합니다. 수용할 내용만 확인합니다.

곰곰발 님이 보기에는 저는 왜 페미니즘을 비판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저는 데이트 폭력이나 가정 폭력에서 자유로운 사람입니다. 저는 진보 논객도 아니지만요.)

곰곰생각하는발 2017-09-25 13:45   좋아요 0 | URL
저는 많은 사람들이 마립간 님을 오해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종종 마립간 님을 여혐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오해에서 비롯된 것은 아닌가 싶습니다.

마립간 2017-09-25 13:57   좋아요 0 | URL
저에게 긍정적이 댓글 주신 것 감사합니다. 그러나 글의 내용이 제가 질문한 것에 대한 답변은 아니네요. (그리고 항상 하는 이야기이지만, 답변을 강요하지는 않습니다.)

저와 곰곰발 님은 의견을 같이 하는 것, 그리고 달리 하는 것이 비교적 명확히 구분되지만, 기본적으로 어느 정도의 상호 이해가 바탕에 깔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점에 대해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 讀書記錄 170922

 

철학하는 여자

 

내가 알라딘에 페이퍼를 포스팅했는데, cyrus 님이 댓글을 남겼다.

 

* 身邊雜記 170919 신문읽기

http://blog.aladin.co.kr/maripkahn/9604827

 

cyrus 님의 댓글 ; * 장교 부인, 여성이 공관병 남성에게 권력 행사를 한 것이다. 최소한 권력에서 남녀 불균형은 완화된 현상으로 파악하다. (마립간님의 주장)

저는 이 주장에 대해선 다르게 봅니다. 여성이 가부장제 안에서 동화한 상황이라고 봅니다. 가부장제에 갇혀 살면서도 자신의 권위를 향상하고, 목소리를 가지기 위해 가부장제의 관행(남편의 행동)을 모방하게 된 거죠. 이렇다 보니 가부장제는 유지되고, 이 아내는 남성화된 부인이 됩니다.

 

흥미로운 것은 가부장제 안에서 동화한 상황’, ‘남성화된 부인이라는 어구다.

 

p192 여자는 더 도덕적이고 권력을 원하지 않는다?

p192 리먼 브러더스가 리먼 시스터스의 한 부서였더라면 세계 금융위기는 없었을 것이다. 이더서나 여자들이 꼭대기 자리를 차지해야 한다. 여자들이 뭔가 더 도덕적인 성별이 아닌가?

 

이 책을 읽지 않은 분들 위해 이 문장을 설명하면 반의법 문장이다. 여자는 남자보다 더 도덕적이지 않고 권력도 원한다.

 

p193 상대의 마음을 잘 알아준다고 해서 ... 그것이 도덕의 증거는 아니다.

 

이 책의 백미라고 할 수 있는 캐롤 길리건 Carol Gilligan에 대한 언급이다. 남성 주의 도덕관에 대해 보살핌의 윤리라는 여성 중심 도덕관을 세워 심리학자 즉 과학자이지만, 페미니즘에서 자주 페미니스트로 언급되는 인물이다.

 

p195 보살핌의 윤리 care ehtics를 설파한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도덕철학자 캐롤 길리건 Carol Gilligan의 대표작 다른 목소리로 In a different voice역시 다르지 않다. 길리건은 (남성적) “정의 도덕의 추상적-보편적 원칙 대신 - 여성의 도덕의식을 이미 오래도록 지배해 온 - 타인에 대한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보살핌을 윤리적 결정의 기초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보살핌의 윤리는 전통적인 페미니즘과 달리 단순히 동등한 권리를 주장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보살피는 주부, 엄마의 모범 기능과 전 사회적 의미를 강조한다.

 

이 책의 주장은 여성은 남성과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여성이 남성과 다르지 않음에도 여성을 도덕적으로, 또는 보살핌의 윤리로 포장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남성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리게 된다는 것이다. 내 의견은 ; 남녀는 인간으로 동등하고 남녀로서 차이를 갖는다.

 

이 관점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동등에 무게를 둔 자유주의 페미니즘 (기회의 동등)과 차이에 무게를 문화주의 페미니즘 (실질적 평등)의 대립의 재현이다.

 

문제의 논점으로 들어가 보자.

cyrus 님은 장군 부인의 공관병에 대한 갑질을 가부장제의 동화 및 남성화된 여성의 표현으로 갑질 (즉 사회적 폭력)은 여성의 본성이 아니라 말한다. 반면 레베카 라인하르트 철학하는 여자에서는 이런 식으로 남성보다 여성이 선 하다는 사회적 생각이 여성의 굴레를 만든다는 것이다. 그리고 권력 투쟁에서 밀리게 만든다는 것이다.

 

궁금증] 여성은 남성만큼 비도덕적이며 폭력적인가? ;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여성의 의견을 존중하겠다.

 

또 다른 논점은 ; 이 책의 주장을 긍정할 때, 자연주의 오류에서 벗어나느냐 하는 것이다. 남성에게 폭력적인 본성이 자연적이라고 해서 윤리적이지 않다. 여성의 모성 본능이 사회적으로 형성된 것이고 남성과 같이 폭력적이라고 해서, 본성의 폭력으로 돌아가는 타당하다고 생각한다면 이 역시 자연주의 오류이지 않을까?

 

여성이 모성 본능, 보살핌의 윤리를 사회적 환경에 의해 갖게 되는 것은 비윤리적인가?

 

* 身邊雜記 170922 신문읽기

http://blog.aladin.co.kr/maripkahn/9611396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09-22 20: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잠깐만요, 마립간님.

제 댓글의 ‘남성화된 여성‘이 ‘갑질은 여성의 본성이 아니다‘라는 의미로 표현한 것이 아닙니다. ‘남성화‘에 대한 제 설명이 미흡했군요. 제가 말한 ‘남성화‘의 ‘남성‘은 ‘가부장제 문화에 익숙한 권위주의적 남성을 의미합니다. 여성은 가부장제 문화에 억압받으면서도 남편의 권위적인 지배가 정당하다고 생각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면 자발적으로 가부장제 문화에 동화됩니다.

마립간 2017-09-23 06:17   좋아요 0 | URL
저와 cyrus 님의 대화에서 언급되는 남녀가 평균적인 또는 중위에 있는 사람들을 뜻하기 때문에, 남성의 단어가 생물학적 남성, 남성의 가치관, 구체적으로는 가부장제 문화에 익숙한 남성을 다의적으로 표현하고 상당한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표현에 문제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 身邊雜記 170922

 

* 신문읽기

 

“240버스 CCTV 공개, 아이 엄마가 강력 반대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1750538&code=61121111&sid1=soc

 

재혼 방해될까 봐두 살배기 아들 버린 비정한 엄마 실형 선고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1406412&code=61121211&sid1=soc

 

페미니즘의 어느 글에서 모성의 신화라는 말을 본 적이 있다.

 

나는 여성이 남성보다 덜 폭력적으로 태어났고, 과거에는 사회적으로 압력으로 남성은 더 폭력적으로, 여성의 폭력은 억압되었지만, 사회적 압력이라는 유리천장이 깨지므로 해서 여성의 폭력은 남성의 폭력에 근접했지만, 아직 격차가 있다. ; 가 내 의견이라고 이야기한 바 있다.

 

모성에 관해서 같은 의견을 가지고 있다.

 

여성이 남성보다 더 돌봄의 본성을 가지고 태어났고, 과거에는 사회적으로 압력으로 남성은 돌봄의 본성이 억제되고, 여성의 돌봄 본성은 장려되었지만, 사회적 압력이라는 유리천장이 깨지므로 해서 여성의 돌봄 본성은 남성의 것에 근접했지만 (약화되었지만), 아직 격차가 있다.

 

나와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있다. 남녀의 폭력성을 포함한 도덕성, 육아 본능 등 동일하나 사회적 압력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어느 문화 강좌 강연 내용 ; 다시 아이를 키운다면 엄마의 행복이 먼저다.

 

뱀발) 철학하는 여자가 강하다는 읽은 책이고, 어머니 탄생은 읽다만 책이고, 더이상 어머니는 없다는 읽지 않은 책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09-22 20:4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까치출판사의 《어머니의 신화》라는 책이 있습니다. 그 책을 읽어야 할 절호의 타이밍이 온 것 같습니다.

마립간 2017-09-23 06:17   좋아요 1 | URL
인생은 짧고 책은 많군요.^^
 

 

* 讀書記錄 170921

 

철학하는 여자는 강하다

 

내가 이 책의 100자 평으로 철학 하는 남자도 강하다.라는 글을 남겼다.

 

cyrus 님과 몇 마디 댓글 대화를 나눴고, 이야기의 요점은 내가 남긴 글의 뜻이 무엇이냐이다.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 번째 ; 앞글에서도 이야기했지만 이 책은 권력에 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 讀書記錄 170920 철학하는 여자

http://blog.aladin.co.kr/maripkahn/9607564

 

권력 가진 여자는 강하다라고 해석할 수 있다. 그렇다면 권력 가진 남자도 강하다도 가능하다.

 

두 번째 ; 철학을 글자 그대로 해석했다. 언뜻 보기에 제목 철학하는 여자는 강하다에서 남자는 철학을 하며 이것을 통해 강해진다. 반면 여자는 철학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약하다. 그런데 만약 여자가 철학을 한다면 남자처럼 강해진다. 뭐 이런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cyrus 님의 댓글 ; 철학하는 남자는 남성이 사회의 주도권을 잡았던 시절동안 강했습니다.

마립간의 대댓글 ; cyrus , 철학하는 남자는 남성이 사회의 주도권을 잡았던 시절을 어느 때로 보시나요?

 

내가 반문한 의미는 남자도 철학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남자인건 여자인건 철학이 언급되는 상황은 예외에 가깝다. 내가 오프라인 만남에서 철학을 이야기하는 경우는 드물다. (물론 어느 알라디너 반론을 제기할 수 있다. 내 주의에는 대부분이 철학책을 읽고, 대화에서도 철학을 주제로 대화하는데요. 라고. ; 나는 이렇게 답하겠다. 댁이 예외적인데요.)

 

cyrus 님의 댓글 ; ... 과학, 철학 등 학문 세계는 남성 중심적이었습니다. 여성은 학문 세계의 주변부에 머물렀습니다. 사회와 종교는 학문 세계에 진입하려는 여성을 탄압했죠.

 

내 생각은 학문의 세계가 남성 중심적이자, 다른 세계 모두가 남성적이다. 기억나는 여자 작곡가가 있나? 기억나는 여자 화가가 있나? 프리다 칼로 데 리베라 Frida Kahlo de Rivera? 그런 식으로 이야기하면 여자 철학자도 있다. 한나 아렌트 Hannah Arendt.

 

반복적으로 이야기하지만 남자의 뇌사용은 극단적이다. 작곡가 모차르트와 살인마 잭 더 리퍼 Jack The Ripper가 함께 존재하는 gender가 남성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예외적 인물들이다. 플라톤, 소크라테스, 노자, 공자 등 이들 모두 남자지만, 이들은 남자의 평균에서 많이 벗어난 사람들이다. 그래도 남자들이 아니냐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일반 여성을 대상으로 한 책이다. 대척점에는 일반 남성이어야 맞다.

 

내 결론은 이렇다. 남자도 철학을 하지 않는다. 남자도 철학을 하면 (조금) 강해질 것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09-21 12: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립간님의 부연 설명을 듣고 보니 이제 무슨 뜻인지 알겠습니다. 일단 책을 읽어보고, 제 생각을 리뷰로 정리하겠습니다. ^^

마립간 2017-09-21 14:14   좋아요 0 | URL
사실 ‘철학하는 남자도 강하다‘라는 말은 별 내용이 없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논점( 또는 이 책의 논점이 될 수 있는 것은) ‘가부장제의 동화‘입니다.

cyrus 2017-09-21 16:59   좋아요 0 | URL
그러면 그 ‘논점‘을 중심으로 글을 써야겠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