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데카메론 ㅣ 일신서적 세계명작100선 35
보카치오 지음 / 일신서적 / 1992년 1월
평점 :
절판
근대 소설의 선구자로 알려진 보카치오의 작품이다. 10일 간의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번역되듯이, 10일 동안 진행된 이야기 100편을 담고 있다.(정확하게는 토요일과 일요일을 껴서 12일이지만...)
보카치오가 살던 그 시절의 유럽은 페스트로 유럽 전체 인구의 1/3이 죽던 시절이었다. 온 마을에 죽음의 그림자가 덮여 있고, 가족 중 누군가를 잃지 않은 사람을 찾기가 어려웠다.
그런 때에 페스트의 위험을 피하고자 교외의 별장에 모인 숙녀 7명과 청년 셋이서 하루에 한가지씩 한 주제를 놓고 10개의 이야기를 한다. 이렇게 10일 동안 100편의 이야기가 나오는 것이다.
책의 두께를 보면 장편 소설이지만, 각각의 짧은 이야기가 100편씩이나 나오니 단편소설이라 할 수 있고, 그럼에도 한 주제를 놓고 10명이 각각 다른 이야기를 하기 때문에 기본적인 통일성은 유지된다.
이야기의 시작 무렵에는 조금 지루한 감이 있었는데, 날이 지나갈수록 사람들의 이야기는 점점 대범해지고 배짱도 생기고 유머감각도 생긴다.
페스트의 위험과 공포를 잊기 위해 시작된 그들의 이야기는 어느덧 그 자체에 몰입되어 두려움도 잊은 것처럼 즐거운 유희 거리가 된다.
단테의 신곡에 대비하여 人曲이라고도 불리는데, 결단코 신곡보다는 읽기 가볍고 즐거웠다ㅠ.ㅠ
놀라운 것은, 당시의 시대 상황을 들춰본다면 결코 쉽지 않았을 교회의 부패를 고발하고 봉건사회를 적나라하게 조롱하고 비판하였으니 아마 그 시대에 이 책을 읽은 사람들은 속이 꽤 시원했을 것 같다.(물론, 일반 대중들이 이 책을 읽었을 법하지는 않다...;;;;)
수도승이라고 경건하지 않고 그건 수녀들도 마찬가지였다. 그들은 성적 유희를 탐닉했고 재물에 욕심을 보였으며 원하는 것을 손에 쥐기 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모든 사제들이 그렇지는 않았겠지만, 그런 사람들도 많았음을... 그리고 그 사실을 밝혔다는 것에 보카치오의 용기에 박수를 보낸다.(루터의 종교개혁 200년 전의 이야기니까.)
세상에서 가장 먼저 만들어진 사람을 빗대어 가장 못생긴 일가를 지적한 대목은 창의력이 유독 돋보이는 장면이었다. 지혜로운 답변이 참 맘에 들었다.
어느 시대건 아니 그랬겠냐마는, 그 지독히 아름다운 공주는 대체 몇 남자의 손을 거치면서 정복 당하고 구해받고 다시 탈취되어지는지...;;;; 그 운명 참 고약하다 싶었다.
이 책이 쓰여진 시기가 14세기라는 것을 생각하면 거듭 놀라게 된다. 지금이 무려 21세기니까^^;;
고전이라고 해서 무조건 지루하거나 교훈만 가득할 거라고 생각하면 오산. 난 사실 양영순의 누들누들이 같이 떠오를 정도였으니...;;;;
뜻밖에도 몹시 재밌게 읽은 책, 데카메론. 고전으로 분류되는 책 중에선 아주 재밌게 읽은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