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자로 예매를 했는데 가고자 하는 극장에 아는 사람이 있어 공짜표를 얻었다.
취소 수수료 천원에 영화표 두장 얻은 셈.
덕분에 국회방송에서 해준 바람의 나라 녹화 방송을 다 보지 못했지만...ㅠ.ㅠ
영화는 예상했던 대로 훌륭했다.
초장부터 제대로 심각했고, 모인 사람이 사람인 만큼 제대로 웃겼다.
신파를 닮지 않은 가족애도 뜨거웠고, 연기자들의 투혼도 박수를 치고 싶을 정도였다.
트리플 크라운에 들어갔다가 멋진 리뷰를 발견했다.
고아성의 역할을 '어머니'로 대치한 날카로운 지적에 감탄하며 옮겨본다.
출처 http://bbs.freechal.com/ComService/Activity/BBS/CsBBSContent.asp?GrpId=908398&ObjSeq=12&PageNo=1&DocId=1541284
[괴물 리뷰] 괴물보다 더 괴물 같은 현실
드디어 그토록 보고 싶었던 괴물의 개봉에 한달음에 극장으로 달려 갔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과연 명불허전 봉준호는 봉준호 였다.
단지 괴물이 나오는 SF영화를 기대 했다면 그야말로 실망이겠지만 사실 이 영화는 괴물과 약간의 인물들이 나오는 사회고발 영화였다. 어느정도 사전 정보를 들어서(듣지 않으려 해도 너무나 많이 나와서 알수 밖에 없었다..) 블랙 코미디계열임을 알고 가서 그런지 너무나 만족스러웠다.
영화의 내용 이전에 그냥 영화 자체만 보자면 의외로 실감나는 괴물의 CG도 좋았고(마지막 괴물과의 사투에서 마무리 부분의 CG는 옥의 티 ㅡ.ㅡ) 그야말로 별다른 트집을 잡기 힘든 영화 였다. 말하고자하는 바를 말하기 위해 여러가지 에피소드를 버무렸지만 그 어느것도 튀지 않고 잘어우러지며 멋진 영화 한편으로 탄생이 되었다.
이제부터 다량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그래도 읽고 싶으시면 드래그 해주세요..
이제 내용 측면으로 들어가자면 괴물이라는 제목자체가 너무나 의미 심장했다 특히 영어 제목인 HOST는 그야말로 의미심장...했다 숙주라는 뜻을 가진 저 단어는 괴물을 지칭하는 말이기도 했지만 지금 이 사회 자체를 지칭하는 말이기도 했다. 결국 괴물을 만들어 낸것도 이 사회고 괴물이 등장한 후에도 사회 곳곳엔 괴물에게는 없었던 바이러스같은 존재들이 사회를 병들게 하고 있었다. 어찌보면 너무나 약한 존재인 괴물을 (킹콩이나 고질라처럼 군대가 동원되어도 힘든 상대랑은 차원이 다르게 단지 일반인 4~5명의 힘만으로도 결국은 제압이 가능한 존재였다.) 이용해서 공포를 조장하고 기사꺼리를 만들어 내는데만 혈안이 되고 괴물로 인해 일어난 사건을 보여 주면서 이사회에 왜 괴물이 태어날수 밖에 없었는지가 너무나 적나라하게 제시된다. 그러면서 봉준호 감독은 사회 시스템 거의 전체를 조롱하고 비꼬운다.(교육이랑 정치쪽은 뺀듯..외교는 포함되어 있는듯 하기도 했지만 ㅡ.ㅡ) 영화를 보면서 그런 장면들은 대부분 실소를 자아내는 장면들이었지만 조금만 더 생각해보면 결국 내 주변에도 너무나 익숙한 그런 일들이었고 어느새 나조차도 그런 사회에 젖어 있었음을 생각하게 되니 씁쓸해짐을 느낄수 있었다. 게다가 미국을 대표하는 미8군을 통해 미국의 더러운 모습도 충분히 표현 했다. 현상이나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과정을 거쳐 결론을 도출하는것이 아니라 결론을 충족시키기 위해 사건이나 과정을 만들어 가는 미국의 모습을 괴물의 처리 과정을 통해 적나라하게 보여준다.[이라크 침공(결론)을 위해 대량 살상무기(사건 조작)를 만들어낸 미국의 모습이 투영되었다.]- 나중에 의회에서 대변인이 정보의 오류로 일어난 일이었다고 말하고 무마하는 모습은 뭐 어디서 많이 본 모습이다. 실제론 이라크전도 이미 개전 해버린후고(목적을 이뤘고) 영화내에도 실험을 결국 하는건 성공했으니..-
바이러스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화학전에 대비한 기계를 실험하기 위해 바이러스를 찾으려고 노력하고 괴물이 나타나자 그 기계를 많은 사람들이 위험에 처해 있음에도 바로 작동 시키고 멀치감치에서 그 과정을 기록하는데만 열중하는 모습에선 그야말로 분노가 치밀어 오르는것을 느꼈다. 픽션임이 분명하지만 능히 그럴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어떻게 이런 사회적 메세지를 전달하기 위한 영화의 소재를 괴물을 선택할수 있었는지 신기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벽하게 괴물을 소재로 하고 싶은 말을 영화로 표현해낸 봉준호가 새삼 대단하게 보인다.
하지만 이런 것은 뭐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인식 될것이라고 생각하고 나도 예외가 아니라 생각한다.
그래서 이번엔 개인적으로 또 다른 부분의 감상을 적어 보려 한다.
이 영화에선 어머니의 존재가 없다. 굳이 어머니라고 말하기 보다는 생명을 탄생 시킬만한 위치에 있는 개체가 없다. 송강호의 부인도 아이를 낳고 사라져 버렸고 배두나는 아직 미혼이다. 개인적으로 어머니라는 존재는 희망과 같은 존재라고 생각한다. 아이를 낳음으로 해서 과거로부터 이어온 현재를 미래로 연결시켜주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이 영화에서 그런 역할을 하는 존제가 없었다. 하지만 영화를 다 보고 나니 바로 송강호의 딸로 나온 고아성이 그런 존재였다고 생각이 들었다. 시간적 의미로 따지면 어머니라는 존재는 현재라고 생각한다. 어머니가 낳은 아이는 미래라는 존재이고 그외 아버지와 어머니는 그런 미래를 지속시키기 위해 가정이라는 경계를 만들고 결속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괴물이 등장하기전 송강호의 가족은 결속력이 그다지 없는 상태였지만 약하게 나마 가족이라는 경계를 유지 시켜준건 고아성의 존재였다. 변희봉이 대사에서 말하듯 가족들이 오랜만에 한자리에 모인것도 고아성의 죽음이라는 소식을 통해서 가능했기 때문이다. 그 시점에서 고아성은 이미 어머니의 존재였다.(그러면서도 미래의 역할도 겸하는 존재였다.) 하지만 어머니의 부재라는 특수한 상황을 통해 얻은 지위이지 사실상 미래의 역할을 지녀야 하는 고아성의 죽음은 가족전체의 의미를 빼앗아 버린다. 그리고 서로를 자책하며 가족이라는 경계가 무너지려 할때 걸려온 고아성의 전화 한통은 다시금 결속을 하게 만드는 계기를 만든다(이때도 어머니라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
그리고 그런 모습은 괴물에게 잡혀간 고아성이 역시 후에 잡혀온 아이를 보호 하는 장면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괴물에게 잡힌 고아성은 고아성의 가족에겐 미래의 존재이지만 괴물의 은신처내에서 아이와 있을때는 어머니의 존재로 변하게 되고 자기보다 어린 그 아이를 살리기 위한 행동을 하게 된다. 자신보다는 그 아이를 보호 함으로써 미래로 연결시키기 위한 본능적 행동이라고 생각한다(그런걸 모성애라고 하던가..)
이런 내 감상을 내 스스로 강하게 긍정하게 된 장면은 영화 후반부에 나온다...
괴물이 미군의 약품에 의해 쓰러 졌을때 송강호가 괴물의 입에서 고아성과 고아성이 보호하던 아이를 꺼내는 장면은 마치 출산의 장면을 연상 시켰다(그 장면에서 이런 상상을 한 내가 신기하기도 하다 ㅡ.ㅡ) 아이를 끝까지 품에 안아서 보호하고 죽은 고아성의 모습은 그 누가 머라 해도 어머니의 그것이다.
그리고 영화의 결말부분에 결국 고아성이 보호한 그아이는 송강호가족의 새로운 미래가 되어 존재하게 된다.
어찌보면 이런것이 이 영화의 주제라고 생각한다. 괴물보다 더 괴물같은 이 사회 속에서도 괴물 뱃속에서도 아이를 보호한 고아성처럼 우리가 포기하지 않고 미래를 이어가려는 의지를 가진다면 이 썩은 사회도 어쩌면 밝은 미래로 이어질수 있다는희망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생각이다. 우리가 바로 어머니가 되어 현재의 더러움을 도려내고 깨끗한 미래를 만들어 가자는 그런 메세지말이다.
뭐 개인적인 감상이라 약간은 비약하는것같긴하지만 어쨌든 개인적인 감상은 그랬다.
마지막으로 영화를 보며 인상적이었던 장면 몇개를 꼽아보면
변희봉이 죽을 때 총알의 숫자를 잘못 세었음을 그제서야 안 송강호의 그 순간 연기는 순간 눈물이 나올정도로 대단했다.
날아다니거나 단지뛰어다니는것이 아닌 새로운 괴물의 움직임을 상상해서 표현한것은 너무 좋았다.
미국이 실험하고자 하는 기계의 모양이 처음에 한강다리에 매달려있던 괴물의 모습과 똑같은 것에 봉준호의 개그감각을 느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개봉되고 만들어지는 공포 영화들이 무서운게 아니라 단지 소리나 영상을 통해 놀래키는 영화임을 생각해볼때 괴물을 현재 개봉한 영화중에 가장 대단한 공포영화라고 해도 무방할듯하다 ^^
첨에 나온 포름알데히드를 버린 박씨가 나중에 노숙자로 나온 그사람인가 ㅡ.ㅡ 하는 궁금증...
그리고 괴물 목소리를 연기한 오달수 ㅋㅋ 멋지다
이상이 괴물을 본 후 리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