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36년 12월 14일 새벽, 도성을 버리고 달아나는 왕의 대열은 남문을 통해서 남한산성으로 들어왔다.  산성에 갇힌 47일 동안 조선 조정의 싸움은 거의 대부분 언어를 통해 이루어졌다.  임금은 삼남에 친서를 보내 근왕병이 달려오기를 재촉했고, 청군 진영으로 사신과 서찰을 보내 물러가 주기를 간청했고, 명나라로 국서를 보내 원병을 호소했다. 

모든 언어 행위는 무위로 돌아갔다.  지방 의병과 관군들은 남한산성에 도착하기 전에 적을 맞아 궤멸되었다.  청의 압박으로 궁지에 몰린 명은 조선에 원군을 보낼 수 없었고, 청군 진영으로 들어갔던 사신들은 "살고 싶으면 투항하라"는 청 태종의 협박을 왕에게 전할 뿐이었다.

성밖을 기마부대와 포병부대를 선봉으로 삼는 25만 명의 적병이 포위하고 있었다.  주전파의 말은 실천 불가능한 정의였으며, 주화파의 말은 실천 가능한 치욕이었다.

"너희가 살고 싶으면 성문을 열고 나와 투항해서 황제의 명을 받으라. 
너희가 죽고 싶거든 성문을 열고 나와 결전을 벌여 황천의 명을 받으라!"

이것이 남한산성 안으로 들여보낸 청나라 군대의 투항권유서였다. 
죽을 길과 살 길은 모두 성문 밖에 있다. 성 안에는 죽을 길도 살길도 없다.

남문은 정문임으로 죄인은 드나들 수 없다.  너희 임금은 마땅히 서문으로 나오라!(청군 장수 용골대의 통고)

1637년 1월 30일 새벽에, 인조는 세자를 앞세우고 서문을 나왔다.
농성은 희망이 없었고, 기약이 없었고, 대책이 없었다.
농성은 전투도 아니고 투항도 아니었다.  농성은 다만 대책 없는 버티기였을 뿐이다.

왕은 곤룡포를 벗고 청나라 군복으로 갈아입었다.  그것이 청 태종이 요구한 투항의 패션이었다.

청군은 삼전 나루터에 수항단(항복을 받아들이는 제단)을 쌓아놓았다.  수항단은 3층이었다.  청 태종은 맨 윗단 위에 의자에 앉았고, 조선 왕은 두번째 제단에서 무릎을 꿇었고, 세자는 첫 번째 계단에서 무릎을 꿇었다.  조선의 군신들은 마당에 무릎을 꿇었다.  왕은 청태종에게 술을 따라올리고 네 번 절했다.  세자와 군신들도 따라서 절했다.  왕이 절할 때 풍악 소리가 높아졌고, 조선 여자들이 소매깃을 휘날리며 춤을 추었다.  청 태종은 조선 왕에게 백마 한 마리와 옷 한 벌을 상으로 주었다.

11개의 항복조건을 받아들이면서 조선은 청의 신하가 되었다.  그날, 임금은 버리고 떠난 한양의 대궐로 돌아갈 수 있었고, 청 태종은 군사를 거두어 돌아갔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노아 2007-04-23 14: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국사 책 한 귀퉁이에 적어두었던 메모를 옮겨 본다. 김훈의 남한산성이 반가웠던 것은 이 짧막한 한 토막의 글이 너무도 인상적이었기 때문이다.
 







노인들의 사랑에 관한 스토리라고 하네요. 강풀 작가, 또 다시 기대하게 만듭니다. ^^

댓글(6)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7-04-20 14: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늘 읽었어요 ^^ 훈훈하니 좋던데요...~

마노아 2007-04-20 14: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완결되면 종이책으로 보려고 참고 있어요. 26년은 언제 출간되나 몰라요^^;;;

뽀송이 2007-04-20 20: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와 재미나요.^^ 담아가요.^.~

마노아 2007-04-20 2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뽀송이님^^

홍수맘 2007-04-21 07: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강풀님 만화 좋아하는데.... ^ ^.

마노아 2007-04-21 08: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이 따스해서 저도 좋아해요^^ 웃길 땐 또 얼마나 웃기던지요^^
 
 전출처 : 아키타이프 > 타무라유미-세븐시즈 3권중에서("험한 세상 다리가 되어")

        ▼클릭
     


차마 믿을 수 없어서 끝까지 부정했던 일들이 현실이 되고,
그래도 그(아라시)만은 살아 있으리라 믿으며 울부짖는 하나.

하나와 하루는 미생물체에 쫓겨 폐허가 된 교회로 숨어들고,
파이프 오르간을 발견한 하루는 장갑을 벗고 연주를 시작한다.

하루는 클래식이 아닌 "험한 세상에 다리가 되어"를 연주하고,
그 모습을 본 하나는 피아노에 관한 모든 것을 부정하던 하루의 말이
진심이 아님을 알게 되고 
네가 살아 있으면 음악도 살아남는거야,라며 희망을 전한다.
When you're weary feeling small when tears are in your eyes I'll dry them all I'm on your side oh when times get rough And friend just can't be found Like a bridge over troubled water I'll lay me down. Like a bridge over troubled water I'll lay me down. When you're down and out when you're on the street when evening falls so hard I will comfort you I'll take your part oh when darkness comes And pain is all around Like a bridge over troubled water I'll lay me down. Like a bridge over troubled water I'll lay me down. Sail on silver girl, sail on by your time has come to shine All your dreams are on their way See how they shine oh if you need a friend I'm sailing right behind Like a bridge over troubled water I'll ease your mind. Like a bridge over troubled water I'll ease your mind.
그대가 지치고 초라하게 느껴질 때
두 눈에 눈물 고일 때
내가 그 모든 걸 없애줄게요
모든게 너무 힘겹고
아무리 둘러봐도 친구가 없을 때
내가 그대 곁에 있어줄게요
거친 물살 위를 가로지르는 다리처럼
그대 위해 내 몸을 눕힐게요


그대가 망해서 빈털터리가 됐을 때
그대가 여기저기 거리를 헤매일 때
그리고 밤이 너무도 견디기 힘들 때
내가 위로해 줄게요
내가 그대 편이 되어줄게요
어둠이 다가오고
세상 모든게 다 고통스러울 때
거친 물살 위를 가로지르는 다리처럼
그대 위해 내 몸을 눕힐게요
거친 물살 위를 가로지르는 다리처럼
그대 위해 내 몸을 눕힐게요


내 사랑이여 계속 항해를 해요
이제 찬란한 시간들이 가까워졌고
그대 꿈들이 이루어지고 있어요
봐요 모든게 얼마나 찬란한지
혹시 친구가 필요하다면
바로 뒤에서 내가 따라가고 있어요
거친 물살 위를 가로지르는 다리처럼
내가 그대 마음을 편하게 해줄게요
거친 물살 위를 가로지르는 다리처럼
내가 그대 마음을 편하게 해줄게요



 사이먼&가펑클(원조)


 song by roberta flack(행복을 찾아서 os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ttp://blog.yes24.com/document/652704
지금이야 '칼데콧 상 받은 작품이다'라고 이야기하면 모두가 감탄을 하며 고개를 끄덕이지만 불과 몇 년 전만해도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지는 않았다. 그리고 케이트 그린어웨이 상도 마찬가지다. 어떤 면에서 보면 출판사들이 의도적으로 상을 내세우는 경우도 있어서 약간 꺼려지기도 하지만 일단 인정받은 책이라는 점에서는 눈길이 간다. 간혹 우리 정서와는 맞지 않는 책이 있기도 한데 그것을 가지고 상의 가치를  판단하는 일은 조심스럽다. 문화라는 것이 모든 나라에서 보편적으로 이해받는 것은 아니니까. 다만 나와 정서가 맞지 않다던가 우리와 정서가 맞지 않는 것은 내가 보지 않겠다는 결정이 필요할 뿐이다.
 
그럼 과연 랜돌프 칼데콧이라는 사람과 케이트 그린어웨이라는 사람은 어떤 사람이었을까 궁금해진다. 그래서 이번에는 그 두 사람을 소개하고자 한다. 그들이 남긴 작품은 여러 편이 있겠지만 우리 나라에 번역되어 있는 책은 한 권씩 밖에 없다. 작품이 여러 편이었다면 따로 소개를 하겠지만 어차피 한 편씩 밖에 없으므로 비교도 할 겸 같이 소개한다.
 
<<< 랜돌프 칼데콧(0846~1886) >>>
 
칼데콧은 윌터 크레인, 케이트 그린어웨이와 함께 빅토리아 시대 말기를 대표하는 영국 어린이책 일러스트레이터 3인방의 한 사람이다. 칼데콧의 그림책을 두고 모리스 샌닥은 '칼데콧은 그림과 글의 기막힌 조화를 처음으로 고안해 냈다. 글은 생략되고 그림이 말을 한다. 요컨대, 그것은 그림책의 창조였다."
 
돈과는 가장 무관할 듯 싶은 어린이 그림책. 하지만 그림책은 불행하게도 인쇄물 가운데서 돈, 그리고 기술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물건이다. 인쇄 기술이 발달하기 전에는 컬러로 된 그림책 한 권을 만드는 데만도 천문학적인 경비와 기술이 드는 시대가 있었다. 어린이를 사랑하는 마음이 차고 넘쳐 그림책으로 그 사랑을 표현하려는 화가가 있다 해도, 재력과 기술을 다 갖춘 '스폰서'를 만나지 못하면 화가의 재능은 세상의 빛을 볼 수가 없었다.

그토록 척박하던 시대에 숨은 공로자가 있었으니, 이름하여 에드워드 에반스라는 출판업자이다. 서민적인 화풍의 목판본 그림책으로 19세기 말엽에 이른바 '그림책의 황금시대'를 연 랜돌프 칼데콧도 이 에반스의 눈에 든 행복한 화가의 한 사람이다. 황금 시대의 또 하나의 거장인 케이트 그린어웨이가 귀족적인 화풍으로 어린이를 천사처럼 귀엽게 그려 내는 그림책을 보여 준 반면에 칼데콧은 웃음과 풍자가 가득한 서민의 모습을 주로 그려 당연히 대중에게 폭발적인 사랑을 받았다.

칼데콧은 1846년 영국 중부의 아름다운 도시 맨체스터에서 태어났다. 정식으로 회화 수업을 받은 적이 없던 터라 은행원 생활을 하면서 습작을 하다가 1871년에 런던에서 발행되는 잡지에 풍속화를 그리면서부터 화가의 길을 걷게 되었다. 1878년부터 세상을 뜨기 전까지는 구전 동요와 민요를 바탕으로 하여 해마다 두 권씩 그림책을 내놓는 왕성한 창작 활동을 했다.

<칼데콧 상>
'근대 그림책의 아버지'로 불리는 랜돌프 칼데콧을 기념하기 위해 1938년 창설괸 그림책 상. 미국 도서관협회에서 주관하며, 전년도에 미국에서 출판된 모든 그림책 가운데 가장 뛰어난 작품을 그린 화가에게 수여한다. 칼데콧 상은 1권의 최우수상에게, 칼데콧 아너 상은 1~5권의 우수작에게 준다.
 
- 리브로 작가소개와 시공주니어 도서목록에서 -
<<< 작품 소개 >>>
* 익살꾸러기 사냥꾼 삼총사(시공주니어)

이 시기의 작품을 보면 대개가 목판 그림책이다. 당시에는 다양한 기법이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목판 그림책은 이상하게도 편안함과 푸근함을 준다.
 
이 이야기는 <마더 구즈 이야기>에 나오는 한 이야기를 재구성한 책이라고 한다. 사냥꾼이 사냥하러 나갔다가 사냥은 안 하고 거의 놀다가 오는 그런 이야기로 내용이 썩 재미있다는 생각이 들진 않았다. 하긴 요즘처럼 구성도 다양하고 이야기 구조도 튼튼한 책을 먼저 접했으니 그럴 수밖에. 그러나 이 책이 19세기에 나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런 책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굉장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사냥꾼 셋이 사냥을 떠난다. 그러나 그들이 진짜 사냥을 하기 위한 것인지 의심이 간다. 들판에 서 있는 허수아비를 보고 한 명이 허수아비라고 하자 다른 한 명이 길을 잃은 농부라고 한다. 그야말로 익살스럽다. 이야기는 이런 식으로 반복되어 나타난다.
 

한 번은 칼라 그림이 나왔다가 다음 장에는 흑백 그림이 나온다. 그런데 사냥꾼이 들고 다니는 것은 사냥 도구가 아니라 악기다. 그것만 봐도 이들의 목적을 대충 짐작할 수 있다. 그림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글 속에서는 나오지 않았던 이야기들이 나온다. 그제서야 모리스 샌닥이 이야기한 말이 실감난다. 글이 이야기를 끌고 가던 시절에 글에서는 나오지 않는 이야기를 그림으로 나타냈다는 것이 아마도 획기적인 방법이었을 것이다. 거듭 이야기하지만 지금 기준으로 보지 말고 19세기라고 생각하고 봐 주길...
 
사냥을 하려면 숲이나 산으로 가야 하건만 이들은 온 동네를 휘젓고 다니며 일을 저지른다. 남의 집에 있는 바퀴를 굴려보내지 않나 데이트 하는 연인을 놀래주질 않나... 그래도 그들은 마냥 재미있단다. 보는 사람도 재미있긴 하다.
 
<<< 케이트 그린어웨이(1846~1901) >>>
 
영국 그림책의 효시인 케이트 그린어웨이(1846∼1901)는 런던에서 유명한 조판사의 딸로 태어났다. <런던 화보>의 일을 하는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어려서부터 그림 공부를 하였고, 딸의 그림 솜씨를 인정한 아버지의 손에 이끌려 그린어웨이는 당대 인쇄계의 거장인 에반스를 만나게 된다.

현명한 에반스의 판단과 도움 아래 화가로서 뛰어난 재능과 문학적인 소질을 발휘하여 본격적인 그림책 작가로 활동하게 된 그린어웨이는 그림책뿐만 아니라 알파벳을 가르치는 ABC 북, 달력, 카드 등 여러 분야에서 그림을 그렸다. 그녀의 은 조악한 흑백 학습지가 대부분이었던 당시 아동 출판 시장에 천연색의 다채로운 이미지와 그림들을 선보여 화제를 불러일으켰고, 그녀가 만든 발렌타인 데이 카드가 연인들 사이에 크게 유행하였다.

그린어웨이는 꽃, 나무, 초목 등 전원 풍경을 배경으로, 천진스런 어린이들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관찰하여 부드럽고 섬세한 필치로 그려내어 독자에게 현실감이 살아 있는 향수를 전해 주었다.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는 중세 독일의 전설을 소재로 삼아 유명한 낭만주의 시인 로버트 브라우닝이 글을 쓰고 케이트 그린어웨이가 그림을 그린 19세기의 귀중한 그림책의 하나로, 신의 뜰에서 노는 것 같은 어린이들의 묘사가 이채롭고 의상이며 배경 모두가 복고풍의 귀족적인 아름다움을 보여 준다. 초판을 목판 인쇄로 찍어 현대의 그림책에서는 느낄 수 없는 목판본 그림책의 고전적인 맛이 흠뻑 배어 있다.

어린이에게는 꿈과 환상의 세계를, 어른에게는 어린 시절의 환상을 회상시켜 주었던 그린어웨이는 어린이와 어른들 모두에게 폭넓게 사랑받는 대중적인 작가였다. 

- 리브로 작가파일에서 -

<< 케이트 그린어웨이 상 >>

케이트 그린어웨이를 기념하기 위해 1956년 영국 도서관 협회가 창설했다. 매년 영국에서 발행된 그림책 가운데 가장 뛰어난 작품을 그린 화가에게 수여한다.
이처럼 칼데콧 상과 케이트 그린어웨이 상은 모두 일러스트레이터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그만큼 그림책에서 그림의 중요성을 이야기한다고 하겠다. 칼데콧은 영국에서 태어나고 자랐지만 후에 미국으로 건너가 활동하는 바람에 상이 미국에서 제정되어 미국 사람 내지는 미국에서 출판된 책에만 수여한다. 아마 영국 입장에서는 억울하지 않았을까. 그리고 그림책을 이야기할 때 항상 나오는 사람이 바로 에반스라는 편집자다. 어느 책에서건 에반스가 없었다면... 이라는 말을 할 정도다. 책에 있어서 편집의 역할과 중요성을 짐작하게 해준다.
 
<<< 작품 세계 >>>
*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시공주니어)

이 책을 처음에 보고 도저히 19세기 작품이라고 생각할 수가 없었다. 이렇게 아름답고 이렇게 멋진 책이 있다니... 그것도 19세기에 말이다. 지금 보아도 전혀 뒤지지 않는 그림이 감탄을 하지 않고는 못 배긴다. 이 책 역시나 목판으로 그렸다. 위에 소개한 책도 목판이지만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등장인물들의 의상과 배경 모두 복고풍으로 고급스럽다.
 
독일 옛이야기를 바탕으로 영국의 유명한 시인인 로버트 브라우닝이 글을 썼다. 그래서일까. 읽으면 읽을수록 진한 맛이 우러나는 것이.

하멜른이라는 마을에서 가장 골칫거리인 쥐들. 고양이를 죽이고 개를 물고 심지어는 자는 아기까지 문다.
 

그런데 키 크고 마른 사람이 나타나 자신을 피리 부는 사나이라고 소개하며 쥐를 쫓아내겠다고 이야기한다.
 

너무 인상적인 피리 부는 사나이 모습. 반면 앞표지는 아이들을 데리고 가서 살고 있는 모습이다. 같은 이야기를 소재로 하는 책들이 여러 권 있지만 이상하게 이 책이 가장 마음에 든다.
 
화장실 들어갈 때와 나올 때의 마음이 다른 욕심 많은 인간의 마음을 꼬집고 있다.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노아 2007-04-17 07: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24에서 퍼옴. 둘 다 사람 이름이었구나...;;;;

하늘바람 2007-04-17 07: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담아갑니다

마노아 2007-04-17 08: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비로그인 2007-04-17 09: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피리부는 사나이]...어릴 때 모든 쥐들과 모든 어린이들이 숲 속으로 사라지는 것을
보고 꽤나 충격을 받았던 동화... 내 딴에 따라해보겠다고 피리를 들고 나가 이 동네
저 동네 돌아다닌 듯한 기억이 납니다. (긁적) 그러나 따라오는 것은 쥐들이 아니라
호기심이 발동한 다른 어린이들이 피리를 가지고 와서 저를 따라다녔었죠.
리듬도 없이 마구잡이로 불어제끼던 다른 아이들의 피리 소리가 시끄러워 도망치듯
달려 집으로 돌아왔습니다만. 얘들은 전부 따라쟁이입니다. (웃음)

마노아 2007-04-17 15: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하하핫 정말 애들은 모두 따라쟁이였네요^^ 조카는 토요일에 음악회가 있다고 하는데 이제 피아노 학원에 다닌 지 한 달 반인지라 아마도 "떴다 떴다 비행기 날아라 날아라~"이걸 피리로 불듯 합니다. 유일하게 연주할 줄 아는 거거든요^^

비로그인 2007-04-17 18: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어릴 때 리코더를 유난히 좋아했었습니다만. 아직도 가지고 있어요. (웃음)

마노아 2007-04-17 18: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버린 기억이 없는데 왜 없을까요? 좋아했는데...ㅜ.ㅜ

비로그인 2007-04-17 23: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엿 바꿔 먹었죠? (웃음)

마노아 2007-04-18 00: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케헥, 울 엄니가 강냉이랑 바꿨을 지도 몰라요.(속닥속닥..;;;)

비로그인 2007-04-18 10: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풋-

마노아 2007-04-18 10: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베르사유의 장미에서 '오스칼'의 실제 모델이라고 몇 년 전 한참 인터넷을 떠들썩하게 했던 그 인물.

"베니스에서 죽다"라는 영화에도 출연했구나.  익히 알려진 그 사진들이 영화 속 장면이라는 것을 좀 전에 알아버림.  현재는 소원하던 대로 평범한 음악교사로 살고 있다고 한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무스탕 2007-04-16 09: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크~~~ 멋지삼!!!

아키타이프 2007-04-16 09: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닮긴 했지만 그닥 매력적인지는 모르겠네요.
영화를 보면 또 달라질지도 모르겠지만...

마노아 2007-04-16 09: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무스탕님, 소년시절의 비요른은 정말 알흠다워요^^
아키타이프님, 저는 세월의 무상함을 느꼈어요.ㅠ.ㅠ 본인이 행복해하니 다행인 거지만요6^^;;

비로그인 2007-04-16 11: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개인적으로, 저런 도도하고 냉정해 보이는 중성적인 아름다움을 좋아합니다.
솔직히 '오스칼'하고는 전혀 이미지가 아니라는 생각이고, 첫 번째 흑백 사진의 모습은,
일본 만화 [오뎃사]에 나오는 '안토니오'의 이미지가 100%에 가깝다는 생각입니다.
저런 얼굴을 갖는다면 절대 늙고 싶지 않을겁니다. (웃음)

마노아 2007-04-16 11: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도도해 보이는 중성적인 아름다움... 크헉, 문자로 보기만 해도 알흠다워요^^
비요른씨, 너무 주름이 많아요. 흑흑..ㅠ.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