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코스트

Holocaust란 사전적으로 엄청난 대재앙 및 파괴를 의미함.
원래 홀로코스트완전히 타버리다는 뜻의 희랍어인 holokauston에서 나온 말로, 이후 히브리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번제물이라는 뜻으로 바뀌었음. 홀로코스트가 현재의 뜻으로 굳어진 것은 20세기 들어서 전쟁, 폭동, 폭풍, 전염병, 또는 경제파탄 등으로 인한 대규모 피해를 지칭하면서부터임. 특히 고유명사로 사용될 경우, 제 2차 세계대전 중 나찌 일당에 의해서 자행된 대규모 유태인 학살을 의미하게 되었는데, 왜 그런지는 확실치 않음. 그 이후 캄보디아 내전시 자행된 대량학살 역시 같은 이름으로 부르는 경우가 있음.
과학소설에서 홀로코스트는 오히려 파국(catastrophe)이라는 뜻의 또 다른 히브리어 번역인 sho’ah와 유사한 의미를 가짐. 성경에서 sho’ah란 개인적인 멸망이나 파멸 또는 황무지 및 사막의 뜻으로 사용됨. 파괴를 뜻하는 또 다른 히브리어 번역인 hurban도 함께 사용되기도 함.
그러므로 홀로코스트는 인간적인 또는 자연적인 대재앙으로 말미암아 생명이나 문명이 대규모적으로 파멸을 겪는 사건 또는 재해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음. 많은 사람들이 홀로코스트
핵전쟁으로 인한 대량의 인명살상 및 문명의 파괴로 받아들이거나, 아프리카에서 벌어지고 있는 기아로 인한 대규모 재해 및 에이즈로 인한 죽음 등을 홀로코스트라고 부르는 경우도 그 때문일 것임.

포스트홀로코스트

Post-Holocaust. Post-Apocalyptic라고도 부른다. 홀로코스트 이후의 상황을 일컫는 말로 과학소설서브장르로 자리를 굳혔다. 대개 전지구적인 규모로 역병이 돌거나, 핵전쟁이 벌어지거나, 외계인이 침공하는 등의 사건으로 인류사회나 문명이 극히 짧은 시간 안에 단절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포스트홀로코스트에 속하는 작품들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결국 진정한 종말을 맺는 경우이고, 둘째는 어려움을 겪지만 다시 한 번 희망을 갖고 문명을 건설하게 되는 경우이다.
첫 번째 '진정한 종말'은 세부적으로 다시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우선 생존자가 유일한 경우 (n = 1)는
마지막인간(The Last Man/Woman)이라는 서브장르가 된다.
생존자가 두 사람인 경우 (유치하게도)
아담과이브식의 설정으로 빠질 가능성이 농후해진다. 아담과이브식 이야기 중에서 유치하지 않은 것이 없을 정도라고 하겠다.
보다 비극적인 경우는 n > 2 인 경우로, 이 경우에는 생존 가능성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인류가 차라리 멸망하는 것이 우주를 위해서 도움이 될 것이라는 '자각'에 따라 자폭하는 경우와 열심히 노력을 했는데도 인류의 내적인 불완전함(즉 질투 욕심 등등)으로 결국 멸망에 이르는 경우로 다시 나눌 수 있다. 또한 살아남은 이의 숫자에 상관없이, 인류의 멸망 자체에는 뭔가 초월적인 (그것이 도덕적이건 종교적이건 물리적이건 간에) 이유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설명이 뒤따르기도 한다. (
MPShiel의 <The Last Man>이 대표적인 예이다.)

두 번째로 '새로운 문명'을 건설하게 된다는 내용을 다루는 경우 역시 다양한 종류가 있다.
우선 1950년대 이후 만연했던 것처럼, 심각해 보이는 시련과 이를 딛고 일어선 끝에 모두가 잘 먹고 잘살게 된다는 식의 유치한 설정으로 빠질 위험이 다분하다. 이를 'cozy catastrophe'라고 부른다. 즉 종말처럼 보이기는 하지만, 다 이겨낼 수 있을만한 쌈빡한 위험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위험을 비켜나가는 대신, 살아남은 이들이 생존을 위해서 벌이는 투쟁 자체를 부각시키는 경우
SurvivalistFiction이 된다. DavidBrin의 <The Postman>이 좋은 예이다. 문제는 생존에 필수적인 '대의명분'을 주장하는 과정에서 지나친 단순화 또는 특정 '-이즘'의 강조로 편협한 시각을 드러낼 공산이 높다는 것이다.
또한 인류의 타고난 재능과는 상관없이 '위험'이 닥치고 다시 지나가는 과정을 묘사함으로써, 인류가 얼마나 보잘 것 없는 존재인지를 일부러 부각시키는 접근법도 자주 사용된다.
HGWells의 <War of the Worlds>에서 화성인의 침략과 어이없는 괴멸은 바로 그런 인상을 짙게 풍긴다. 또한 JohnWyndham의 여러 재난소설들과 JohnChristopher의 <The Death of Grass> 등도 비슷한 여운을 풍긴다고 하겠다.
또한 위기의 도래와 극복 과정에서에서 과거에 숭앙받던 지식체계나 도덕체계가 완전히 색다른 체계로 탈바꿈하여 말 그대로 신세계가 되는 이야기를 들려줌으로써 인류의 문화유산이 때로 얼마나 허망한 것인지를 우회적으로 (그리고
우화적으로) 보여주는 경우도 있다. 좋은 예가 GeorgeRStewart의 <Earth Abides>이다.
그리고
순환역사에 입각하여, 인류의 문명이 홀로코스트에 의해서 멸망하였지만 다시 일어나고, 그 과정에서 과거에 저질렀던 어리석음을 망각한 채 다시 멸망의 구렁텅이로 빠진다는 식의 설정도 심심치 않게 나타난다. WalterMMillerJr의 <A Canticle for Leibowitz>가 좋은 예이다.

마지막으로 '종말' 그 자체의 뉘앙스에 초점을 맞추는 작품들도 있는데,
JGBallard의 종말을 소재로 한 4부작, <The Drowned World>, <The Burning World>, <The Crystal World>, 그리고 <The Wind from Nowhere> 등이 좋은 예라고 하겠다. 그런 의미에서 열역학 제 2 법칙인 우주의 HeatDeath엔트로피의 문제를 다루는 작품들도 넓은 의미에서는 포스트홀로코스트 및 재난소설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고 할 수 있다. <출처:SF리더스>

by caspi

7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나는 전설이다
리처드 매드슨 지음, 조영학 옮김 / 황금가지 / 2005년 6월
17,000원 → 15,300원(10%할인) / 마일리지 85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내일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2007년 11월 13일에 저장

핵폭풍의 날
모르데카이 로쉬왈트 지음 / 세계사 / 1989년 5월
3,000원 → 2,700원(10%할인) / 마일리지 150원(5% 적립)
2007년 11월 13일에 저장
절판
리보위츠를 위한 찬송 1
윌터 M. 밀러 지음, 박태섭 옮김 / 시공사 / 2000년 2월
7,000원 → 6,300원(10%할인) / 마일리지 350원(5% 적립)
2007년 11월 13일에 저장
절판
유년기의 끝
아서 C. 클라크 지음, 정영목 옮김 / 시공사 / 2002년 9월
9,500원 → 8,550원(10%할인) / 마일리지 470원(5% 적립)
2007년 11월 13일에 저장
구판절판


7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대체역사


만약에 이러저러한 역사적 사건이 다르게 진행되었더라면 (What might have been?)이라는 가정하에 색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었던 (그러나 우리가 현재 목도하는 역사로 나타난) 사건을 다룬 과학소설서브장르. AlternativeHistory 또는 AlternateHistory라고도 부른다.
가장 쉽게 들 수 있는 예는
복거일의 <비명을 찾아서>일 것이다. 이 작품은 일제가 제 2차 세계대전에서 패망하지 않고 1980년대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한반도를 강점하였다면 어땠을까 라는 소재를 다룬다. 또 다른 좋은 예는 PhilipKDick의 <높은 성의 사나이> (그리폰북스, 시공사) 이다. 이 작품 역시 일제가 제 2차 세계대전에서 독일과 함께 승리하여 미국을 절반씩 차지하고 있는 상황을 다룬다.

대체역사의 즐거움은 첫째, 논리적 유희에 있다. 일견 사소해 보이지만 실상 그 뒤에 전개될 실제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을만한 요소들을 찾아내어, 철저하게 논리적인 추론 또는
외삽에 의해서 현재 알려진 역사와는 완전히 (또는 조금) 다른 버전의 역사를 묘사하는 일은 독자들에게 신선한 즐거움을 준다. 대개의 독자들이 웬만한 역사적 사실에 어느 정도 지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독자의 지적 참여를 유도하는 데에도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대체역사의 또 다른 즐거움은 우리가 사극 또는 역사소설을 보는 즐거움과 유사하다. 결과론적으로 우리가 아는 역사가 필연적인 수순을 밟아 진행되었음을 상정한 상태에서, 기록된 역사에 드러나지 않은 요소, 사건, 인물 등을 등장시켜 픽션화함으로써 독자들에게 역사의 진행과정이 보다 설득력있게 다가오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WardMoore의 <Bring the Jubilee>라고 하겠다. 이 작품은 원래는 남군의 승리로 비참한 생활을 영위하는 역사학자가 동료 물리학자의 도움으로 타임머신에 올라타고 남북전쟁의 승패를 가르는 전투를 연구하기 위해 과거로 갔다가 우연히 전투에 참가할 부대에 조우하게 되고 바로 그 때문에 역사적 사건이 묘한 전환을 맞게 되어 결국 북군이 승리하는 새로운 (그러나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공식적인) 역사를 창조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대체역사는 속성상 역사(history)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참고로 우리는 역사를 어떻게 인식하는가? 대개 네 가지 방식을 들 수 있다.

종말론적 역사관 (eschatological)
발생론적 역사관 (genetic)
혼돈론적 역사관 (entropic)
목적론적 역사관 (teleological)

종말론적 역사관은 역사의 궁극적 운명이나 최후의 사건에 관심을 갖는다. 인류의 종말이나 지구 및 우주의 최후 등에 관한 문학적 높은 관심이 모두 여기에 연유하리라. 그 반대는 인과관계를 따지는 발생론적 역사관이다. 혼돈론적 역사관에서는 역사에 아무런 규칙성이나 목적성 등이 없다고 보며, 그 반대입장인 목적론적 역사관에서는 말 그대로 특정한 목표를 향해서 역사가 흘러간다고 본다. 대체역사물의 대부분은 바로 발생론적 역사관에 입각한 역사 의식을 보여준다. 물론 다른 종류의 역사관에 입각한 대체역사물도 존재하기는 하지만 거의 대부분의 대체역사물들은 원인과 결과라는 논리에 입각하여 역사적 사건이나 흐름이 변화하는 (또는 변화할 수도 있었던) 바를 살피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발생론적 역사관에 잘 부합된다.
대체역사는 기타 다양한
서브장르들과 깊은 연관관계를 맺는다. 우리가 너무나 당연하다고 여기는 과거에서 현재를 거쳐 미래로 나아가는 (물줄기 흐르는 것과 유사한) 형태의 시간의 흐름이 역사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면, 당연히 이러한 시간의 흐름을 거슬러 올라가거나 띄엄띄엄 건너가거나 좌충우돌 뒤짚어놓거나 아예 미래로 훌쩍 이동하는 것도 상상 가능하다. 바로 그 때문에 대체역사시간여행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뿐만 아니라, 흐르는 시간 개념을 역사라는 실체와 분리하는 순간 새로운 조합이 가능해지는데 바로 여기에서 평행우주평행세계 등의 또 다른 서브장르들이 탄생한다.<출처:sf리더스>

by caspi

8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비명을 찾아서 - 상- 京城, 쇼우와 62년
복거일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87년 3월
13,000원 → 11,700원(10%할인) / 마일리지 65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내일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2007년 11월 13일에 저장

높은 성의 사나이
필립 K. 딕 지음, 오근영 옮김 / 시공사 / 2001년 3월
8,500원 → 7,650원(10%할인) / 마일리지 420원(5% 적립)
2007년 11월 13일에 저장
절판
셰르부르의 저주- 귀족 탐정 다아시 경 1
랜달 개릿 지음, 강수백 옮김 / 행복한책읽기 / 2003년 8월
8,900원 → 8,010원(10%할인) / 마일리지 440원(5% 적립)
2007년 11월 13일에 저장
절판
비잔티움의 첩자
해리 터틀도브 지음, 김상훈 옮김 / 행복한책읽기 / 2005년 7월
12,000원 → 10,800원(10%할인) / 마일리지 600원(5% 적립)
2007년 11월 13일에 저장
절판


8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간여행


시간여행은 초광속비행과 함께 과학소설에서 가장 즐겨 사용되는 소재이다. HGWells타임머신처럼 SF의초창기부터 다양한 시간여행 관련 SF가 나와 있다.
시간여행의 방법도 작품마다 제각각인데,
타임머신의 장치를 이용한 여행, 시공간의 틈을 이용한다는 타임슬립이나 웜홀을 이용한 여행, (미래로의 시간여행에만 쓰이지만) 냉동수면을 통한 여행 등이 있다.
시간여행 관련 SF는
시간패러독스(특히 근친살해패러독스)의 인과율을 다룬 하드SF에 속하는 작품만 있는 것은 아니다. 대체역사평행우주와 관련된 시간여행 SF도 종종 눈에 띈다. 시간여행은 단지 스페이스오페라판타지를 위한 장치로 쓰이기도 한다.
시간 속을 여행한다고 하는 개념은
HGWells의 '타임 머신'의 등장을 기다릴 것도 없이 세계 각지의 신화, 전설이나 디킨스의 '크리스마스 캐롤', MarkTwain의 '아더 왕 궁전의 양키' 등에도 발견된다. (출처:sf리더스)
by caspi

17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아누비스의 문 1- 털에 뒤덮인 얼굴
팀 파워즈 지음, 이동현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9월
10,000원 → 9,000원(10%할인) / 마일리지 500원(5% 적립)
2007년 11월 13일에 저장
절판

여름으로 가는 문
로버트 하인라인 지음, 임창성 옮김 / 잎새 / 1992년 7월
4,500원 → 4,050원(10%할인) / 마일리지 220원(5% 적립)
2007년 11월 13일에 저장
절판
아더왕과 양키- 마크 트웨인 대표선집 4
마크 트웨인 지음, 조애리 옮김 / 미래사 / 1995년 4월
6,500원 → 5,850원(10%할인) / 마일리지 320원(5% 적립)
2007년 11월 13일에 저장
절판

시간의 블랙홀
로버트A.하인라인 지음 / 한뜻 / 1995년 6월
5,800원 → 5,220원(10%할인) / 마일리지 290원(5% 적립)
2007년 11월 13일에 저장
구판절판


17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드 SF(Hard SF)

SF라는 장르를 SF가 가진 과학 무드적 이미지적 측면에 중점을 두고 파악할 경우 그 중심적 부분에 해당하는 작품을 말한다. 종종 과학자들이 등장하며 과학적으로 그럴 듯해 보이는 소설.

SF를 문제풀이식 탐구과정을 소설화한 것으로 보는 경우, 그리고 그런 식으로 작품을 볼 때 잘 맞아떨어지는 경우, 우리는 하드SF라고 부를 수 있다. 당연히 문제풀이식 탐구과정은 과학적 방법론과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고, 겨우 수 백년에 불과한 현대과학의 역사에서 오랫동안 중심에 서온 몇몇 과학분과들이 하드 사이언스가 된다. 즉, 물리학 및 화학 등이 여기에 속하리라. 그런 의미에서, 바로 하드 사이언스에서 나오는 소재를 이용하는 SF를 하드SF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런 식의 해석에 의하면, 뒤늦게 발전하기 시작한 다른 과학분과들인 언어학, 역사학, 사회학, 경제학, 고고학, 인류학, 심리학 등은 소프트SF에 속하는 셈이다. 그러나 소프트SF라는 용어는 그다지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다. 오직 하드SF와 대조적인 의미를 지칭할 때에만 간혹 사용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하리라.

하드SF는 그러므로 때때로 순전히 과학적인 질문을 던지고 이를 어떻게 해결하는가를 이야기식으로 전개해 나가는 서브장르라고도 볼 수 있다. RobertLForward의 <용의 알(Dragon's Egg)>이나 HalClement의 <중력의 임무(The Mission of Gravity)> 등이 좋은 예라고 하겠다. 이런 작품들의 특징은 최첨단 과학기술분야에 종사하는 등장인물들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노심초사하는 과정을 심도있게 묘사한다. 또 다른 좋은 예로는 GregoryBenford네뷸러상 수상작 <타임스케이프(Timescape)>를 들 수 있다. 일견 단순해 보이는 문제풀이 시간은 바로 그 노심초사하는 과정을 설득력있게 긴장감있게 풀어나감으로써 드디어 소설적인 재미를 안겨준다. 그렇다면 하드SF가 주는 재미를 추리소설이 주는 재미와 동일시할 수 있을까? 그렇지는 않다. 하드SF는 분명 문제풀이를 통해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지만, 바로 그 문제풀이를 통해 얻는 해답은 추리소설의 주는 통찰과는 완전히 다르기 때문이다. 하드SF 역시 SF인 만큼, 클라이막스를 통해 독자가 얻는 카타르시스는 인류와 지구와 은하계와 우주 전체를 관통하는 매크로적인 인식의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바로 그 점에서 추리소설과는 완전히 틀린 효과를 얻는다.

하드SF가 문제풀이식 접근법을 사용한다고 해서 읽기 어렵다거나 무미건조하다는 식의 인상이 광범위하게 유포되어 있으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 훌륭한 하드SF작가라면 아무리 어려운 과학기술적 난제도 독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놓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과학 자체는 어디까지나 시각 또는 세상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일종의 시각에 불과한만큼, 문제풀이방식 역시 그에 천착할 수 밖에 없다. 즉 소설적 갈등을 풀어내는 형식과 소설 내의 과학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또 하나의 이질성을 부여하며, 바로 이러한 이질적인 두 요소들이 새로운 긴장감을 생성한다고 볼 수 있으리라.
<출처:sf리더스>

by caspi

6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중력의 임무
할 클레멘트 지음, 안정희 옮김 / 시공사 / 1996년 8월
6,500원 → 5,850원(10%할인) / 마일리지 320원(5% 적립)
2007년 11월 13일에 저장
구판절판
영원한 전쟁
조 홀드먼 지음, 강수백 옮김 / 시공사 / 1996년 11월
7,000원 → 6,300원(10%할인) / 마일리지 350원(5% 적립)
2007년 11월 13일에 저장
절판
쿼런틴
그렉 이건 지음, 김상훈 옮김 / 행복한책읽기 / 2003년 10월
10,000원 → 9,000원(10%할인) / 마일리지 500원(5% 적립)
2007년 11월 13일에 저장
구판절판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아서 C. 클라크 지음, 김승욱 옮김 / 황금가지 / 2004년 4월
12,000원 → 10,800원(10%할인) / 마일리지 600원(5% 적립)
2007년 11월 13일에 저장
품절



6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2006 서울의 레스토랑 - 블루리본 서베이
클라이닉스 편집부 엮음 / 클라이닉스 / 2005년 11월
평점 :
절판


프랑스에는 전문가들이 평가하는 미쉘린 가이드 북이 미국에선는 일반일들(약 2만명)이 인테넷상에서 평가하는 자갓 서베이라는 레스토랑 가이드 북이 있다.그 나라뿐 아니라 해외의 많은 여행객들이 식사를 즐기기 위해 참조하는 책들이다.인구 천만이 넘고 수 많은 음식점이 존재하는 서울에 아직 이런 레스토랑 가이드북 하나가 없다는 점이 어쩌면 우리의 음식수준을 외국인에게 알리는 결과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편집자는 몇년전까지는 국내에서는 평가를 할만한 수준의 음식점이 별로 존재하지 않아 이런 가이드북을 만들 필요성을 못 느꼈다고하니 말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음식 문화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레스토랑 가이드가 절실히 필요하고 인터넷상에서 많은 미식가들이 개인적으로 음식점들을 평가하고 있었지만 개인적 차원에서 한도가 있다고 여겨졌을때 드디어 전문 레스토랑 가이드북인 블루 리본 서베이북이 나오게 되었으니 축하할 만한 일이다.음식 종류별,지역별,리본별등으로 잘 정리된 자료와 사진이 더불어 나와있어 초보 식도락매니어의 기준이 되어주는 책이라고 할수있다. 

하지만 몇가지 아쉬운 점은 남아있다.미쉘린과 작갓 세베이의 장점을 취했다고 했는데 국내 사정상 몇명의 전문가와 일부 식도락 동호회 회원,개인 블로그를 가진 사람등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했다는데 과연 정통성이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몇 사람의 개인적 기준이 과연 평가의 척도가 될수있는지.... 국내에 전문가가 적다면 자갓 서베이처럼 아예 많은 일반일들이 평가하는것이 나을수도 있을것 같다.그리고 서문에서도 2006년판은 맛으로만 평가했다는데 국내 일부 음식점의 경우 맛이 좋다고 서비스를 등한시하는 곳도 있는데 이점은 필히 보완해야 할것이다.(2007년판부터 일부 보완하다고 하니 기대해 보자).그리고 리본이 없는 음식점도 함께 소개하다 보니 음식점에 대한 내요이 너무 부실하다.약도도 없다니 일일히 전화해서 찾아가란 말인가!. 블루리본 서베이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과감히 리본없는 음시점을 책 내용에서 빼야한다.그래야 미쉘린의 별을 따기 위해 프랑스 레스토랑이 노력하듯 국내 음식점들도 노력을 기울이지 않을까

마지막으로 국내 레스토랑 서베이인데 블루 리본 이름이 거시기 하다.좀더 우리 나라를 상징하는 이름을 붙였으면 어떠할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