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글을 읽다보니 요즘 영화 파과의 원작소설인 파쇄와 파과에 대한 글을 읽었습니다.


근데 작가는 왜 파과란 제목(?)을 썼을까 궁금했습니다.사실 파과란 단어는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은 단어이면서 약간은 성적인 뉘앙스를 갖고 있는 단어이기 때문이죠.

현재 인터넷에서 파과를 치면 다음과 같이 뜻풀이를 하고 있습니다.

파과(破果):훔짓난 과일

파과(破瓜):여자 나이 16세 이팔청춘, 즉 가장 빛나는 시절을 뜻함

그런데 세월이 흘러 시대가 바뀌어서인지 과거 쓰던 의미는 잘 안보여주려고 하는 것 같습니다.과거에는 파과는 성행위로  처녀성을 상실하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사실 과란 단어는 순수 한국말이 아닌 중국에서 건너온 한자 단어로 평상사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단어다 보니까 실제 그 뜻을 알기위해서는 단어에 쓰인 한자를 알아야 되고 한편으론  고대 중국에서 어떤 식으로 사용되었냐가 중요한 것이죠.

破瓜란 단어가 중국 고전에서 처음 쓰여진 것은 손작이란 시인의 情人碧玉歌(정인벽옥가)란 시에서 처음 등장합니다.


情人玉歌 / 孫綽(314~371)


碧玉破瓜時 벽옥파과시(푸른 옥처럼 오이가 깨질 때)

郞爲情顚倒 낭위정전도(님은 정으로 나를 덮었네)

感君不羞赧 감군불수난(님을 느껴 부끄러워 얼굴 붉히지 않나니)

回身就郞抱 회신취랑포(몸을 돌려 님에게 가 포옹을 하였네)


시의 2행을 해석하면 郞(낭군 애인)이 爲情(정으로써)顚倒(① 엎어져 넘어지거나 넘어뜨림 ② 차례, 위치, 이치, 가치관이 뒤 바뀌어 꺼구로 됨) 즉 정인(낭군)이 사랑으로써 여성을 넘어뜨리니(애정행위를 의미)이므로 1행의 破瓜時(오이가 깨질때)는 여성이 처녀성을 잃었음을 은유적으로 표현한것이죠.

3~4행은 말 그대로 사랑 행위뒤에 얼굴을 붉히지 아니하고 몸을 돌려 정인인 사내를 포옹했다는 의미이니 참 현대인이 보기에도 적나라한 애정표현을 그린 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를 본다면 시인이 파과를 어떤 의미로 사용했는지 잘 알수 있으면 과거 중국의 고전 에로 소설 역시도 파과를 처녀성 상실의 의미로 사용했습니다.그리고 과거 5~`60년대 한국 소설에서도 이런 의미로 파과란 단어가 사용된 것을 본 기억이 나는 것 같습니다.


물론 중국에서도 세월이 흘러 破瓜(파과)의 의미를 다르게 해석하기도 했습니다. 

중국 송나라의 측목이 지은 백과사전 시무취록중에 수록된 여동빈의 시 일장게류시에는 공이 이루어지는 것은 마땅히 오이가 깨지는 해이니 햇수를 누린지 64세에 죽었다란 시귀가 있는데 이는  ‘瓜’ 자를 파자하면 ‘八’이 두 개가 되는데, 이를 곱하면 64가 되기 때문에 남성의 나이 64세를 이르는 말로 해석하기도 했습니다.

이후 청대에 이르러서 적호의 통속편에 보면 “풍속에서는 여자가 몸을 망치는 것(처녀성 상실)을 破瓜라고 하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瓜자를 깨어보면 팔(八) 두 개인데 이는 나이가 16세가 되는 것을 말할뿐이다라고 재해석 하기도 했지요.


사실 이제 21세기를 사는 우리들은 과거에 파과란 단어를 어떻게 썼는지 알지도 못하고 또 파과란 단어를 거의 듣거나 일상에서 사용하지 않을 정도로 거의 사멸된 단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에로틱한 원뜻은 살아 있는지 구글에서 중국고전소설+파과란 단어를 치면 청소년에게 유해한 결과는 제외되었습니다. 만 19세 이상의 사용자는 성인인증을 통해 모든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라는 표시가 뜨면서 검색이 제한되고 있네요.


아무튼 작가가 파과란 뜻을 아는지 모르는 지는 잘 모르겠지만 단어란 것이 시대가 바뀌면서 뜻도 바뀐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되었습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요즘 대한민국도 차량대수가 1가구당 1대가 넘은 정도록 자동차 왕국이다보니 동네 곰목이나 학교앞 아파트등에서 자주 보이는 것이 바로 행인의 안전을 위한 자동차 과속 방지턱입니다.

차를 운전하는 입장에서 본다면 과속 방지턱은 승차감이나 자동차에 안좋은 영향을 끼치기에 매우 싫어하지만 거리를 걷는 사람들을 보호할 최소한의 안전 장치이기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볼수 있습니다.


그런데 평평한 도로위에 볼록 솟아오른 과속 방지턱은 보통 흰색과 노라낵의 빗살무늬 모양으로 색칠이 되어 있는데 이건 운전자로 하여금 앞에 과속 방지턱이 있다고 알려주는 장치지요.

전 그동안 이 흰색과 노란색 무늬를 구청에서 칠하는 줄 알았습니다.

우리는 보통 과속 방지턱의 저 흰색과 노란색이 페인트 칠 인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저렇게 재단을 해서 불로 지져서 녹여 붙이는 것이더군요.정말 오늘 처음 알았습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느 카페의 메뉴판 입니다.

아니 장소가 외국인들이 많이 찾는 이태원이나 혹은 미군들이 주 고객인 평택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온통 메뉴가 영어 일색이네요.게다가 잘 알아 볼 수 없게 필기체로 적어 놓으니 주문하기 참 난감합니다.

그런데 웃긴 것은 또 돈을 벌려고 하는 지 1인 1메뉴 부탁은 한국어로 적어놓고 있군요.


참 여주에 누워계신 세종대왕님이 무덤에서 벌떡 일어나실 것 같습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4월 현재 알라딘에서 4월의 작가에 한강 작가를 선정하고 2만원 이상 책 구매시 사은풍을 증정하는 이벤트를 하고 있네요.그러면서 2025년을 한강을 읽는 해로 전하고 그의 작품 12권을 분기별로 나누어서 독서하는 캠페인도 진행하고 있군요.


사실 작년 10월 한강 작가의 논벨 문학상 수상은 온 국민이 염원하던 일이었지만 솔직히 그 누구도 전혀 기대히자 읺고 있었기에 한강 작가의 수상은 전 국민에게 크나큰 기쁨을 준 것이 사실이지요.사실 한강 작가의 작품은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는 작품이 아니기에 당시 알라딘 댓글을 보더라도 읽기 어렵거나 혹은 읽지 않았다는 의견이 주류를 이루었습니다.하지만 수상이후 온 오프라인의 서점에서 한강 작가의 작품들은 모두 소진되었고 해당 출판사들은 기쁜 마음으로 증쇄(대략 전 저서 100만부정도)를 했다는 뉴스를 본 기억이 납니다.


이처럼 한강 작가는 대한 민국 대부분의 국민이 아는 인지도 1위의 작가가 된 것은 틀림없는데 알라딘에서 이달의 작가로 선정하는 것은 좀 뜬금 없는 것 같습니다(1월:토스토엡스키 2월:이지은 3월:정희진)

이달의 작가는 1~3월 이달의 작가 선정에서 알 수 있듯이 사망한지 오랜된 인물이나 인지도가 낮은(?) 작가들을 선정해서 판매 증진 마케팅으로 활용하는 것 같은데 굳이 대한민국 인지도 탑인 한강 작가를 선정할 필요가 있엇을까 하는 의문이 듭니다.

만일 굳이 4월의 작가로 한강을 선정하고 1년 내내 한강 읽기같은 판매 이벤트를 하는 이유는 아무래도 작년 수상이후 증쇄된 한강의 저서들이 노벨 문학상의 수상 열기가 식으면서 생각보다 판매가 많이 일어나지 않아서 그런것이 아닐까 추측됩니다.


실제 알라딘의 DB륾 봐도 그런 느낍이 듭니다.

알라딘의 판매 데이터에 의하면 25년까지 한강 작가의 책은 대략 373,611권이 판매된 것으로 집계됩니다.한강 작가가 93년 등단해 2024년까지 20년간 12권의 책을 저술했는데 이는 권당 31,134권이 판매되었고 집필기간을 고려하면 20년간 권당 1,566권이 판매되었다는 뜻입니다.


물론 이는 다른 인터넷 서점이나 대형 서점들은 제외한 판매량이기에 결코 적은 수는 아니라고 여겨집니다.하지만 알라딘에서 판매된 약 37만권의 한강 작가의 작품중 만일 수상 전후로 판매량을 비교했다면 아마도 수상이후 작가의 작품이 이전보다 월등히 많이 판매되었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즉 수상이후 단기간에 한강 작가의 책들이 많이 팔렸지만 노벨 문학상 수상에 따라 증쇄한 수량이 (알라딘)창고에서 빠질만큼 판매는 되지 않아서 이달의 선정 작가로 정하면서 판매 마케팅을 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결론적으로 한국인이 책을 읽지 않는 다는 사실은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사실이지만 노벨 문학상 수상의 열기조차 몇개월이 가지 않는 다는 사실이 좀 씁쓸해 집니다.

그리고 알라딘에서 한강 작가의 판매 마케팅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려면 한강 작가의 책들을 어떻게 남성들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선 보일지 더 진지하게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보요지네요.

by caspi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페크pek0501 2025-04-17 11: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강 작가의 작품을 해설해 주는 유튜브가 많으니 해설도 함께 보면 작품의 맛을 제대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카스피 2025-04-18 01:59   좋아요 0 | URL
작품을 해석하는 동영상이 있을 정도면 일반인들이 책을 쉽게 읽을 수 없는 내용이란 뜻인데 그래선 암만 노벨 문학상 수상자의 책이라도 많이 팔리기는 힘들겠지요^^;;;
 

이문동 한국외대 근처에서 오랜기간 운영되었던 헌책방 신고서점 입니다.


현재 알라딘에서 동영상 보기가 안되니 위의 유튜브에서 보기를 클릭하셔서 직접 보셔야 될것 같습니다.


과거에는 각 대학가 근처에 많은 헌책방들이 있었습니다.서울대부근에는 책상은 책상이다,할등 약 3개의 헌책방이 있었으나 모두 폐점했고 연세대에는 정은서점이 있었으나 다른 지역으로 이전,고려대의 경우 새한 서점이 충북 단양으로 이전,중앙대에 있던 헌책방도 몇년전에 페점하는등 대학가의 헌책방들이 어느샌가 하나둘씩 사리지고 있습니다.물론 그 대안은 바로 알라딘 중고서점이지요.


외대 부근에 있던 신고서점 역시 오랜기간 외대에서 5년전까지 영업을 하다기 현재는 갑자기 생각이 나질 않는데 144번 종점인 무슨 여대(?) 인근으로 이전했습니다.

그래서 위 동영상은 아마도 이문동 시절의 신고서점을 기억하시는 분들이라면 아마 옛 추억에 잠기실 동영상일 것 같습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