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80~90년대 학창 시절을 보내셨던 알리디너 여러분들 이시라면 당시에는 책을 사러 아마도 종로서적이나 광화문 교보문고에 가셨을 거란 생각이 듭니다.

그 당시에는 책을 구입하면 (대형서점)직원들이 책 한권 한권 소중하게 종이로 책들을 포장해 주었다고 하는군요.


그 당시 교보문고에선 책을 구입하면 저런 종이 포장지로 곱게 책을 싸주었는데(제가 갖고 있는 헌책중에 저 포장지가 있는 책도 있습니다),당시에는 직원이나 고객모두 책을 소중히 다루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위 포장지는 1980~90 초의 교보문고 책싸개 디자인데 훈민정음을 모티프로 한 것 같습니다. 일본에선 지금도 오프라인 서점에서 책을 구매하면 직원이 곱게 포장을 해주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언제부터인지 저런 포장을 하지 않는것 같습니다.혹 아시는 분이 계실런지...


사실 책을 사랑하는 이들은 책을 보관시 스크래치 없이 깨끗하게 소장하길 희망하는데 요즘은 과거처럼 비닐이나 포장지로 책을 감싸지 않기에 좀 앙쉬워 하는 분들이 계실거란 생각이 드는데 이런 마음을 알아 챘는지 알라딘에서 굿즈로 북커버를 제작 판매하고 있네요.

알라딘 소개에 의하면 내구성 좋은 패브릭 소재를 사용하여 가볍고 또 귀여운 그래픽을 더해서 책 애호가들의 구매욕을 매우 자극하고 있습니다.

저 역시도 이걸 보고 야 좋은 아이디어네 하면서 몇개 구입해 볼까하고 생각했는데 가격을 보니 정말 후덜덜 합니다.


알라딘 북커버의 가격은 한개당 13,800원으로 웬만한 책 한권 값입니다.뭐 배보다 배꼽이 더 큰 형국입니다.

솔직히 재질도 그닥 비싸지 않은 패브릭 소재이고 원산지도 중국이어서 원가는 아마 무척 쌀거라고 예상이 되는데 원가대비 얼마나 높은 마진을 챙기려고 하는지 정말 너무 과하단 생각이 듭니다.(개인적인 생각에 아마 알라딘에 판매하는 책보다 훨씬 마진이 좋을거라고 감히 추측해 봅니다)


사실 책을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적어도 최소 몇 십권의 책은 있을 것인데 애서가들을 위해서 좀더 저렴하게 북커버를 제공해 책을 아끼는 독자들의 마음을 신경써졌으면 좋았을 텐데 암만 알리딘이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이라곤 하지만 이건 좀 과하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 사실입니다.

by caspi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ella.K 2025-05-06 12: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게요. 그런 시절이 있었는데. 단골로 다녔던 서점도 자기 로고가 들어간 자체 포장지가 있어 주인 아저씨가 포장해 주시는 동안 두런두런 얘기하다가 나오고 했습니다. 그 시절이 그립네요. 다 읽으면 포장 벗겨내서 보관하곤 했죠. ㅎ

카스피 2025-05-09 08:58   좋아요 0 | URL
가끔 집안이나 헌책방 등지에서 책겉싸개가 있는 책을 보는 경우(사실 헌책방에선 제목을 보이기위해 책 겉싸개를 전부 다 찢어버리지요)를 보면서 과거에는 사람들이 참 책을 귀하게 대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여러분 부자 되세요란 말이 오래전에 유행한 적이 있지요.근데 부자 디는 것 참 힘듭니다.평범한 사람들은 돈 벌 정보를 당최 알 길이 없기 때문이죠.

그래선지 보통은 목돈 모은다고 적금에 투자했다가 목돈이 되면 그 돈으로 주식이니 코인하다가 평범한 사람들은 홀랑 날려먹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현재도 1억이란 돈을 모우기 힘들지만 10년전과 현재의 1억원의 가치는 과연 어떤가 비교해 볼까요?


역시나 주식이나 코인에 투자하는 것이 돈을 가장 빨리 버는 지름길이네요.물론 주식도 국내 대장주인 삼전보다 미국의 IT기업주에 투자하는 것이 훨씬 이익이 높으며 10년전에도 비쌌지만 역시나 잡코인보다 비트코인에 투자하는 것이 제일 좋았네요.


사실 금만 하더라더 작년 이 맘때 한돈에 약 35만원 내외였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그떄에도 최고점이라고 해서 돌반지 판 분도 많았는데 현재는 한돈에 70만원이니 작년에 금을 좀 사놓았으면 2배로 벌었을 텐데 역시나 돈이 붙는 사람은 따로 있나 봅니다ㅜ.ㅜ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얼마전 교황이 선종하시면서 전 세계 각국의 지도자들이 바티칸으로 향한바 있지요.차기 교황과 관련해서 트럼프 미 대통령이 기자에게 질문을 받았습니다.


현재 인도와 파키스탄이 전쟁 일촉 즉발 상황(이 두나라는 이슬람교와 힌두교로 인한 종교분쟁으로 나라까지 갈라졌지요)인데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 전쟁을 벌이고 있는 트럼프 같은 인물이 만약에 교황이 된다면 아마도 전세계는 종교 전쟁으로 화마에 휩싸일 것 같아 매우 공포스러울 것 같습니다.

by caspi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ransient-guest 2025-05-05 06: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친놈의
미친소리죠 얜 힘 그것도 폭력 폭압 수준의 힘에만 존중을 줍니다 ㅜㅜ

카스피 2025-05-06 01:25   좋아요 1 | URL
문제는 그런 말을 하는 사람이 세계엥서 가장 쎈 나라의 지도자라는 사실이죠.

transient-guest 2025-05-06 06:41   좋아요 0 | URL
sadly true입니다 덕분에 온 세상이 시끄럽네요 ㅜㅜ 전 안 뽑았어요
 

요즘 SKT해킹 사태로 유심칩이 부족해자자 많은 SKT이용자들이 다른 이동 통신사로 옮격가는 추세이지요.

저 역시도 SKT의 미흡한 대처를 보면서 다른 이통사로 옮겨야 하나 고민중인데 역시 위약금 문제가 결론이 나질 않아서 고민중입니다.아마도 정부차원에서 위약금 문제를 해결한다면 타 이통사로 옮겨갈 이용자들이 무척 많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아무튼 다른 이통사는 번호 이동시 어떤 혜택을 주나 알아보러 KT대리점을 방문했는데 먼저 오신 분이 상담하시는 내용을 얼핏 들었습니다.

핸폰이 실수로 물에 빠져 침수되었는데 작동이 전혀 안되어서 이 창에 통신사를 바꾸러 온 손님이었는데 문제는 폰이 침수되면서 유심칩까지 작동이 전혀 안되서 KT에서도 번호 이동이 불가하다는 것이더군요.그냥 신규 개통을 하면 문제가 없지만 침수된 유심칩에서 기존 정보를 옮길 수가 없어서 지금 번호를 계속 이용하기는 어렵다고 합니다.


흠,저도 몰랐던 사실인데 아무튼 SKT 이용자라면 번호 이동을 생각하신다면 폰이 불에 빠지는 사태는 절대 피해야 될 것 같습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국내 제일의 통신사인 SKT의 유심 정보기록이 햌킹된지도 벌써 일주일도 한참 지나 버렸다.

SKT는 해킹이 된 것을 알았음에도 며칠이 지난후에야 경찰에 이를 신고했고 또 사후 대처되 매우 미흡한 상태이다.맨 처음 사후 대책이라고 내놓은 것이 꼴랑 문자로 안심 서비스에 가입하라는 내용이 다 였고 이것이 여론의 질타를 받자 그제서야 원하는 고객들은 전부 유심교체를 해 준다는 대책을 내놓았던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대책만 발표하고 실제 준비한 것은 없으나 발표초기에 많은 고객들이 대리점을 방문했다 유심이 없다고 헛걸음치고 되돌아가는 사태가 발생한 것이다(나 역시도 피해자중의 한명)


가장 큰 문제는 SKT고객이 약 2,500만명으로 현재 SKT가 보유한 유심이 꼴랑 100만개 정도로 턱없이 부족하기에 나머지 유심칩을 전부 교체하려면 몇개월이 걸릴지 모른다는 사실이다.

게다가 고객들을 더욱 분노케 한것은 SKT가 해킹 여파로 기존 고객의 이탈을 고려해 신규 고객 확보를 위해 대규모 지원금을 대리점에 은밀히 공지하고 또 대리점에선 기존 고객에게 교체 유심칩이 없다고 하면서 신규고객에게는 유심 개통을 해주었다는 사실이 언론을 통해 알려지게 된 것이다.


이런 부실한 사후 조치로 결국 국회 청문회까지 열렸고 국회에선 출석한 사장에게 약관상 회사의 잘못으로 고객이 계약을 해지시 위약금을 물지안하도 된다고 하는데 당장 실행할 용의가 있냐고 묻자 사장은 자신의 결정할 사항이 아니라고 발뺌을 한것이 더욱 화를 키운 것 같다.

물론 이럴 경우 SKT에게는 천문학적인 손해가 예상되지만 이는 고객 정보 보호를 위해 통신 3사중 가장 작은 비용을 지출한 잘못이 크기에 당연한 것임에도 밍기적 거리니 정부에서도 유심 교체를 전부하기 전까지 신규고객 모집을 금지하는 강수를 두게 된다.


SKT의 이번 해킹사태는 고객의 정보 보호에 대한 보안의식이 얼마나 태만했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면서 피해를 본 고객들에게는 정당한 보상없이 어영부영 넘어가려고 하면서 자사의 이익을 위해 신규 고객에게 혜택을 퍼주면서 가입을 유치하려고 한 아주 전형적인 한국 대기업의 작태를 보여준 사례라고 생각된다.


만일 미국에서 이런 일이 생겼다면 천문학적인 손해배상 소송이 일어나고 징벌적 손해 배상을 당했을 터인데 한국의 경우 너무 기업위주로 법이 되어 있다보니 고객의 손해에 대해 피해보상은 정말 쥐꼬리만한 것이 사실이다.

한시라도 법을 개정해서 이런 안일한 기업의 태도에 경종을 울릴수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