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월요일에 내린 눈이 근 100년만에 기록적인 폭설이라고 하는군요.아마 많은 분들이 이번 폭설 때문에 많이들 고생하신 것 같더군요.첫째는 천재 지변에 해당하는 폭설탓이겠지만 역시 이번 교통 대란은 기상청이 크게 기여한바 크지요.전날인 일요일에 월요일에 눈이 약 5센티 정도 올거라고 해서 많은 분들이 차를 가지고 나오셨는데 아침부터 오는 눈에 분당에 사시는 아시는 분은 아예 차를 길에 놔두고 걸어서 출근(대략 5시간 정도)했다고 하시더군요.

워낙 많이 눈이 내린 탓에 목요일까지 도로에는 잔설(염화칼슘등에 녹고 남은 눈)이 많이 있어선지 차가 평소보다 많이 없음에도 차들은 설설 기어다니고 주택가 이면도로는 아직 눈이 다 치워지지 않고 있어 차들이 그냥 주차라인에 있거나,이면도로를 가는 차들은 눈길에 바퀴가 헛돌기 일쑤지요.

뭐 서울시에서 금주까지 이면도로의 눈까지 모두 다 치운다고 하니 이번 폭설에 의한 교통대란은 다음주면 해결될 것 같습니다.이번 눈을 보면서 몇가지 느낀점이 있는데 대체로 서울시를 필두로 한 국가의 대책이 전무했다는 점입니다.

뉴스에서 보듯 겨울이면 항상 눈이 내리는 러시아의 모스크바처럼 완변한 대책(제설용차 3천대,제설인원 5만명)을 가지고 있지는 못한다고 하더라도 폭설이 내린 월요일에 겨우 서울시 공무원 9백명정도가 제설 대책에 동원됬다고 하고,눈이 쌓이기전에 염화칼슘등 제설제를운영해야 됬음에도 불구하고 눈이 쌓인후 염화칼슘을 뿌리는등 아무래도 대책이 미비한 것이 사실입니다.게다가 오세훈 서울시장이 삽을 들고 눈을 퍼내는 쇼나 하고 참 나… 그 시간에 체계적인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더 나았겠지요.

어찌되었든 서울시의 도로들은 잔설이 남았지만 눈은 거의 정리되었지만 아직도 이면도로나 주택가에는 눈이 산더미처럼 남아있습니다.
서울시는 조례를 통해 주택가의 경우 자기 집 앞 눈은 집 주인이 치우라고 했지만 개인적으로 봤을 때 참 무책임한 대책이더군요.뉴스에도 나왔지만 눈과 관련해서 주민들간에 서로 크고 작은 마찰이 많았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왜 남의 집 앞에 눈을 쌓아 놓느냐,왜 눈을 안치우느냐 등등등…

그래설까요 오늘 '내 집•건물 앞 눈을 치우지 않을 경우,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는 규정을 마련할 것'이라는 소방방재청의 발표가 났습니다.
http://kr.news.yahoo.com/service/news/shellview.htm?linkid=450&articleid=2010010717220441180&newssetid=470

>> 접힌 부분 펼치기 >>


저는 이번 월요일에 집 주인과 함께 집 앞 눈을 치웠는데 엄청 많이 와서인지 무척 고생했습니다.
눈을 치우면서 느낀점이 자기 집 앞의 눈을 치우는 사람이 의외로 적다는 것이었죠.요즘 서울에 다세대 주택이 상당히 많은 편이데 이런 곳에 전세나 월세를 사는 분들은 맞벌이나 혼자사는 직장인들이 많으셔서 모두 직장에 출근해서 그런지 눈을 치울 사람이 전혀 없습니다.
가만히 보니 이런 빌라에선 거의 눈을 치우러 나오시는 분들이 없어서 그 집들 앞에는 눈이 가득 쌓여 있더군요(지금도 눈이 쌓여 있어 주차장의 차들이 밖으로 나오질 못합니다)
그나마 단독 주택들은 집 주인이 계셔선지 일부 눈을 치운곳도 있지만,눈이 워낙 많이 와서 그런탓인지 눈을 다 치우지는 못했고 치운 눈의 처리도 무척 어렵더군요.

그래도 주택가는 좀 사정이 나은 편이고,건물들이 있는 곳은 상태가 더욱 안 좋습니다.도심지의 큰 건물이야 해당 사항이 없겠지만 부심권의 이면 도로에 접한 건물들 같은 경우 이번 같은 폭설에는 고용인 한 두명이 그 많은 눈을 다 치울수가 없어 결국 포기했는지 눈이 많이 쌓여 있습니다.건물에 계신 직장인들이 함께 도와주면 금방 끝날텐데 그런 회사가 아무도 없더군요.

개인적으론 되도록이면 자신의 집 앞 눈은 자신이 치우는 것이 맞지요.하지만 그것도 어느 정도 기본적이 것이 되있어야 되지 않을까요.

무슨 말인가 하면 이번 폭설처럼 출근시간부터 눈이 온다면 아무리 눈을 치우고 싶어도 치울 남자들은 대부분 직장에 출근해야 되는데 누구 눈을 치우고 있겠습니까? 아시다시피 출근하는데만 5~6시간 걸린분이 많으시죠.그럼 아주머니나 아이들이 치운면 될까요? 이번 같은 폭설의 경우 제가 경험한 바에 의하면 치워도 치워도 끝이 없어선지 옷이 눈에 다 젖어버리더군요.아주머니 애들의 힘만으론 턱도 없고 눈치우다 감기나 안 걸리면 다행일겁니다.그럼 나이드신 할아버지들이 치워야 될까요?
그리고 주택가의 경우 눈이 쌓인후 차들이 다녀서 눈들이 다져진데다 강추위로 눈이 금방 얼어서 웬만한 힘으론 땅에 얼어 붙은 눈을 깨기 힘들었습니다.있는 장비라야 플라스틱 쓰레받기와 빗자루 정도라 암만 눈을 쓸어도 내리는 눈을 감당하기 힘들었습니다.
현실이 이러한데 소방 방제청의 100만원 과태로 운운은 정말 무능한 공무원의 전형적인 탁상 행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제설차와 염화칼슘으로 무장한 서울시도 제설 작업을 제대로 못하는 판에 시민들에게 그 짐을 떠넘기려는 처사가 가소롭기까지 합니다.
아무리 정부에서 과태료 백만원 운운해도 이번 같은 폭설이 또 내려도 이런 문제는 계속 될것입니다.
현실적으로 정부가 시민들에게 제설 작업의 도움을 청할려면
첫째,이 정도의 폭설시에는 회사를 쉬게하고 남성들이 눈을 치우도록 해야 할것입니다.
둘째,제설 장비(삽이나 눈을 미는 장구,염화칼슘)등을 각 집 혹은 지역별로 지원해야 할 것입니다.제가 경험한 바로는 이런 도구없이 할려니 눈 치우기가 정말 힘들더군요
셋째,미국등에서도 행한다고 하던데 자신의 집 앞 눈을 꺠끗히 치운곳은 정부에서 소정의 사례금을 준다고 합니다.우리 공무원들과는 생각하는 차원이 다르지요.

아무튼 무능하고 폭설에 대한 아무런 계획이 없던 소방방제청장이 아무 생각없이 덜컥 일 하나 벌였습니다.
아무런 대책이 없으면 차라리 옷을 벗고 조용히 물러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네요.돈 백만원은 공무원들은 쉽게 낼수 있는가 봅니다. ㅎㅎㅎㅎㅎ
by caspi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ati 2010-01-08 00: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첫째,이 정도의 폭설시에는 회사를 쉬게하고 남성들이 눈을 치우도록 해야 할것입니다." - 이런 걸 현실적 대안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물론 남성으로 제한하신 건 남녀평등론자들의 호된 질타를 맞지 않으실까 염려되구요(농담).
저같으면 자연이 쉬라할 땐 좀 쉬는 여유 좀 부리고 살았으면 좋겠어요. 아이들은 정말 생전 처음 보는 대설에 즐거워들 하던데요. 어제 아침에 아직 눈이 치워지지 않은 도로위 눈이 매연으로 시커멓게 변해서 휫날리는 걸 보면서, 석유문명이 도대체 얼마나 지속될 것이며, 우리는 언제까지 이 도시의 끝에서 끝으로 시커먼 매연을 들이마시며 출퇴근을 하며 살아야 하나...하는 생각에 우울해지더라구요.

카스피 2010-01-09 00:12   좋아요 0 | URL
자연이 쉬라고할때 쉬는것이 좋겠지만 그랬다간 아주 쉬어할까봐 많은분들이 몇시간에 걸쳐 출근하신게지요 ㅜ.ㅜ

무해한모리군 2010-01-08 08: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시골에 저의 마을에는 관혼상례도구나 이런 일에 쓸 도구들을 놓아두는 공동으로 쓰는 창고가 있었어요.

저도 제발 너무 덥거나 춥거나 큰눈 큰비에 회사 좀 쉬었으면 좋겠어요 ㅠ.ㅠ

지금 회사 동네에는 눈을 치우기는 했는데 길 양옆에 거주자 주차구역에 눈을 치워두어서 차를 전혀 주차할 수가 없어요 --

카스피 2010-01-09 00:14   좋아요 0 | URL
제설도구들은 구에서 지원이 나왔으면 합니다.그리고 구나 시에서 주민들이 쌓아논 눈은 얼른 치웠으면 하는군요.제집 부근도 아직 눈이 많이 쌓여있는데 당최 치워가질 않네요 ㅜ.ㅜ
 

좀 지난일인데 작년봄에 영화 리뷰 40자평을 열심히 쓰고 알라딘에서 2만원을 적립금으로 충당해주었읍니다.그런데 무슨 책을 살까? 돈을 좀더 보태서 좀 비싼것을 살까하고 궁리하다가 시간이 좀 흘렀읍니다.
드디어 제가 ,좋아하는 sf책들이 50%세일이 들어가서 이때다 싶어 책을 살려고 적립금을 확인해보니 아뿔사 2만원이 사리진것이 아니겠읍니까? 이게 무슨일인가 싶어 서재 담당자에게 Q&A해보니 적립상금의 유효기간은 6개월이라고 답변이 왔읍니다.자세히 보니 나의 계정에도 적립상금의 유효기간은 6개월이라고 떠억하니 쓰여져 있네요.다행이 알라딘 측에서 불쌍히 여겨선지 유예해 주셔서 책을 얼른 샀네요.이점 알라딘 고마와용^^

근데 이번 알라딘 리뷰 당첨금을 받으면서 한가지 의문이 떠 올랐습니다.비록 알라딘이 리뷰 당첨자들에게 알라딘 적립금 형식으로 당첨금을 지급했지만,당첨금을 받은 이상 엄연히 이돈은 리뷰를 써서 당첨된 각 블로거들의 돈임에 틀림없는데 이돈의 사용 기간을 왜 6개월로 한정시켰는지 당최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이것은 마치 백화점에서 추첨을 해서 준 상품권이나 상품을 당첨자가 쓰지 않았다고 6개월만에 회수하는것과 동일한 처사라고 생각됩니다.사실 당첨금은 마일리지와 그 성격을 달리한다고 여겨지는데 마일리지는 알라딘이 고객에게 주는 일종의 팬 서비스이고 당첨금은 개인이 노력을 해서 탄 금액이므로 마일리지의 경우 사용기간을 제한할수는 있었도 당첨금에 대해서 사용기간을 제한한다는 것은 커다란 문제의 소지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예를 들어 해당기간내에 마음이 드는 책이나 상품이 없을수도 있는데 6개월내에 다 쓰라니 좀 어폐가 있지요.ㅎㅎㅎㅎ

제가 혹 잘못 알고 있는지도 모르겠지만 아마 위 내용이 맞을거라고 생각되는데 이점에 대한 알라딘 블러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지요?
저는 개인적으로 적립 상금에 대한 이용기간 6개월 제한은 철폐되야 된다고 생각합니다.혹 담당자께서 이글을 읽으시면 알라딘의 방침을 바꾸어 보심이 어떠하실는지요^^

by caspi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순오기 2010-01-06 00: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동감합니다. 상금으로 받은 적립금에 기간 설정은 좀 아니지요.
이런 글은 서재지기 서재에 쓰고 내 서재에 동시 등록하기를 누르면 되는데...

카스피 2010-01-06 10:07   좋아요 0 | URL
넵,순오기님 서재지기 서재에 글 올렸어요^^

전호인 2010-01-06 16: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적립금을 많이 받아보진 않았지만 적립되는 즉시 거의 활용을 해서 어쩐지 잘 모르겠네요.
그래도 님의 의견에 동감합니다. ㅋㅋ

카스피 2010-01-06 18:30   좋아요 0 | URL
사실 저도 많이 받아보진 않았는데 가능하면 세일폭이 큰 책(물론 제 마음에 들어야 겠지요)이 나오길 기다리다 보면 6개월은 후딱 지나가는 것 같더군요.^^;;;;
 

저번 알라딘 리뷰에 다작 리뷰에 당첨되어 제세 공과금을 제외하고 적립금을 준다는 메일이 날라왔읍니다.근데 상금을 받기 위해선 주민증 카피와 이름,주민등록번호,주소,연락처를 메일이나 팩스로 보내달라고해서 이메일로 담당자에게 보냈읍니다.팩스로 보낼까도 생각했지만 제 주민등록번호가 여기저가 보여진다는것이 찜찜해서 일부러 시간을 들여 메일로 보내었지요.

상금에 대한 법적 규정이 그렇다며 어쩔수 없지만 좀 과하다는 생각이 드는것은 어쩔수가 없습니다.커다란 금액도 아니고(뭐 한 백만원쯤 된다면야 어쩔수 없지만..),이 돈을 현금으로 직접 주는것도 아니고 알라딘 적립금으로 충전해주는에 이럴 필요까지 있을까 싶습니다.다른 블로거야 확인이 안된다고 이해할수도 있지만 알라딘 서재의 블러거같으면야 굳이 이런 절차기 필요할까 싶네요.
게다가 주민등록번호 도용이나 기타 개인정보가 자주 인터넷에서 유출되는 이 마당에 말이죠.
참 순오기님도 메일 확인하시면 아마 메일이 날아왔을테니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알라딘의  리뷰 당첨자 당당자께서 혹 이글을 읽으신다면 개인 정보를 확인하신후 당첨자들이 첨부한 개인 파일(주민증 카피나 주소,핸폰,주민등록번호)은 꼭 삭제하실것이고 생각하며 삭제후 각 당첨자에게 회신을 보내주시는 것도 아마 좋을것이라고 생각됩니다^^

by caspi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순오기 2010-01-06 00: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제 메일 확인하고 저도 주민증 스캔받아 메일로 보냈어요.
작년에도 그렇게 했으니까요.
하여간 경품은 5만원 초과시에 22%의 제세공과금을 내야 되기 때문에 인적사항이 필요하다네요. 알라딘 담당자는 5만원 '초과'라는 개념이 없어서 매번 5만원도 제세공과금을 내라는 안내메일을 보내는 실수를 하지만요.ㅜㅜ

카스피 2010-01-06 18:29   좋아요 0 | URL
음 사실 번잡스럽긴 하지요.어차피 로긴해서 쓰는건데 굳이 주민증같은것을 보낼 필요가 있나 싶네요^^

전호인 2010-01-06 16: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2만원이라서 걍 입금되었더라구요. ㅎㅎ

카스피 2010-01-06 18:29   좋아요 0 | URL
넵,축하드립니다 ㅎㅎㅎㅎ
 

.*"'"*. 새해항상
: ^-^ :건강.복
"*...*' 많이받으
/\  /\세요
♣♣\♧♧\♣♣

" * .★ " * . *
*.☆ 펑 ~ . 펑
. . * ` 펑 ★ '
새해에는"복"이
펑펑터지세요^^

メ  \│/ メ
メ ─ ● ─
────────
 - _ - _ - -
새해소원빌어봐요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호인 2010-01-01 23: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건강하시고 많은 사랑나누는 한해 되시길 바랄께요 ^*^

카스피 2010-01-02 17:58   좋아요 0 | URL
넵,감사합니다.

Mephistopheles 2010-01-02 01: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카스피님도 복 많이 받으시고 즐거운 한 해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카스피 2010-01-02 17:58   좋아요 0 | URL
넵,감사합니다.

무해한모리군 2010-01-02 00: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카스피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건강하세요~
아휴 날이 추워요 추워 ^^

카스피 2010-01-02 17:58   좋아요 0 | URL
넵,감사합니다.어서 가스비 걱정하지않는 봄날이 왔으면 좋겠어요ㅜ.ㅜ

루체오페르 2010-01-02 10: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카스피 2010-01-02 17:59   좋아요 0 | URL
루체오페르님도 새해 복많이 받으셔요^^

후애(厚愛) 2010-01-02 10: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새해 소망하시는 모든 일 소원 성취하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카스피 2010-01-02 17:59   좋아요 0 | URL
넵,감사합니다.그리고 후애님도 새해에는 몸 건강하세요^^

Sati 2010-01-02 13: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평안하고 행복한 한 해 되세요^^.

카스피 2010-01-02 17:59   좋아요 0 | URL
넵,감사합니다.

순오기 2010-01-02 18: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에~ 저도 새해 소원 빌었어요.
카스피님의 소원도 꼭 이루어지는 한 해 되기 바랍니다.^^

카스피 2010-01-04 20:27   좋아요 0 | URL
순오기님도 소원성취하세요^^
 

바닷가에 계신 친척분이 석화를 보내 주셨네요.생으로 초장에 먹을려고 했더니 워낙 단단히 입을 다물고 있어서 도저히 열수가 없습니다.아쉽지만 할수 없이 석화를 찜기에 넣고 팍팍 찌기 시작했더니 드디어 입을 쩌억 벌립니다.

오동통한 생굴을 한 입에 굴꺽 넣어보니 짭조름한 바닷내음이 나길래 초장에 굳이 찍어 먹을 필요가 없더군요.
인터넷을 보니 석화에 와인을 곁들여 먹으면 좋다고 나와있던데 예전에 본 맛의 달인에서는 굴은 오히려 와인과 안 맞는다는것을 본 기억이 나서(물론 와인도 집에 없지만..^^;;;;),요즘 유행하는 생막걸리와 같이 먹으니 그 맛이 정말 죽음입니다^^
굴은 겨울이 제철이라고 하니 석화 한번 맛들 보세요^^

by caspi

댓글(17)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ella.K 2009-12-27 20: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흥~ 굴 먹고 싶어졌어요.ㅠ.ㅠ

카스피 2009-12-27 22:26   좋아요 0 | URL
ㅎㅎ 드셔보세요.요즘 굴이 제철이랍니다^^

Mephistopheles 2009-12-27 21: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레몬즙을 한 번 뿌려보세요~~~

카스피 2009-12-27 22:28   좋아요 0 | URL
메피님,생굴이면 그럴텐데 찜이다보니 아무 양념도 안넣는데 좀 짭잘하더군요.
석화가 모양은 멋있는데 사실 양은 얼마안되고 껍질만 잔뜩 남더군요ㅜ.ㅜ

노이에자이트 2009-12-27 23: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계란 풀고 굴 넣어서 간단히 국 끓여먹어도 좋던데요.

카스피 2009-12-28 12:23   좋아요 0 | URL
ㅎㅎ 굴탕도 맛있긴한데 넘 게을러서....^^;;;;

무스탕 2009-12-28 10: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생굴을 좋아해요. 익은 굴은 그닥.. ^^;
그래도 사진 보니 먹고싶어지네요. 쓰읍~

카스피 2009-12-28 12:23   좋아요 0 | URL
무스탕님 저도 생굴을 좋아하는데 석화는 입이 잘 벌어지질 않더군요.그래서 찜으로 먹었지요.

후애(厚愛) 2009-12-28 1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굴을 좋아하는데.. 너무 먹고싶어요~~~
드실 때 진주는 못 보셨나요? ㅎㅎㅎ

카스피 2009-12-28 12:24   좋아요 0 | URL
후애님,저도 기대를 했는데 암마봐도 없더군요 ㅜ.ㅜ

왈이 2009-12-29 21: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와 맛있겠다 ㅠㅠ

카스피 2009-12-29 21:54   좋아요 0 | URL
넵,무척 맛있읍니다^^

lazydevil 2009-12-30 00: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뭡니까... OTL... 출출한 이 밤... 무슨 만행이신지...ㅜㅠ

무해한모리군 2009-12-31 08: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아아아아아아아앙
굴은 생으로 먹어야 하지만~~~~~~~
저 사진도 무척 맛나보입니다.
아침 굶고 컴터앞에 앉아있는데 이런!

카스피 2010-01-01 23:25   좋아요 0 | URL
넵,굴은 석화를 바로 열어서 초장에 찍어먹어야 제맛인데 초보자는 잘 열수 없더군요 ^^;;;;

노이에자이트 2010-01-01 15: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카스피 님.올해도 싱싱한 굴 먹고 힘을 내서 일합시다.

카스피 2010-01-01 23:26   좋아요 0 | URL
넵,노이에자이트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