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런 센서등 작동과 과련되서 생각나는 일이 있어 적어봅니다.


혹시 오래된 빌라에 사시는 분들이신 경우 문앞 계단에 센서등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그리고 현관안쪽에도 센서등이 있는 경우도 있저요.그런데 오래된 빌라의 경우는 백열등을 사용하는 센서등이 있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제가 예전에 살던 반지하의 경우도 현관문안에 센서등이 있었는데 등이 나가서 갈려고보니 백열등이더군요.그래 동네 전기가게 가서 백열등을 살려고 하니 이제는 백열등을 생산하지 않는다고 하면서 LED 센서등으로 교체하라고 권하더군요.그런데 가격이 만만치 않아서 다른 곳에서 백열등을 찾는데 역시나 없더군요.그런데 전구형태의 LED등이 있어 이걸 사용하면 전기값도 절약하고 좋을 것 같아서 사서 교체했는데 한두번 깜빡 거리더니 작동을 하지 않습니다.전구 불량인가 싶어 교환해서 디시 달아도 역시나 작동하질 않더군요.

그래서 전기가게 사장님께 알아보니 백열등을 사용하는 센서등의 경우 LED전구로 교체하면 센서등 자체가 망가진다고 합니다.이 경우 센서등 자체를 교체해야 하는데 백열등용 센서등을 더 이상 생산하질 않아서 LED센서등으로 교체해야 된다고 하더군요.그래서 교체하지 않고 그냥 살다 이사했던 기억이 납니다.


개인적으로 백열등이 전기세도 많이 나오고 안좋다고 하는데 센서등의 경우 오히려 백열등이 LED보다 수명이 길고 또 교체도 쉬어서(LED 센서등을 아에 등체로 교체해야 하기에 일반인이 교체하기 어려움) 혹시라도 사는 곳에 백열등을 사용하는 센서등이 있다면 차라리 백열등을 수배해서 더 사용하는 것이 이익이라고 권하고 싶네요^^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살고 있는 건물의 현관에 센서등이 두개 있습니다.빌라등에 흔하게 설치하는 저가 LED 센서등입니다.그런데 사람들이 많이 드나드는 현관의 센서등이다 보니 다른 층보다 훨씬 빨리 수명이 다하는 편이죠.

한 2년전인지 센서등 2개가 모두 수명이 다해서 동네 전기가게에서 센서등을 모두 교체했습니다.말을 들어보니 게속 건물의 등등을 교체한 곳이라고 하더군요.그런데 교체하고 나서 센서등 한개가 계속 불이 들어오지 않아 센서등이 작동하지 않아 1~2번 교체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계속 센서등이 작동하지 않아 전기가게 사장님께 물어보니 건물 배선등이 잘못 된것 같다면서 배선을 모두 점검하고 교체하는데 대략 70~80만원이 든다고 하셔서 고대로 쥔장 영감님께 말씀 드리니 쥔장님이 별 미친 소리 다 듣는다고 화를 내시더군요.


센서등의 경우 몇변이나 해당 전기 가게에서 교체했고 아무 탈 없이 수명이 다해 교체했는데 갑자기 무슨 건물 배선등이 잘못되서 센서등이 작동하지 않는다니 말이 안된다는 소리죠.뭐 제가 들어도 쥔장님의 말이 맞단 생각이 들었습니다.아무튼 당시 그냥 놔두라고 해서 현재까지 교체하지 않고 있지요.

그런데 갑자기 며칠전부터 몇년간 전혀 작동하지 않던 센서등이 갑자기 작동하기 시작합니다.뭐 누가 손을 대서 고친것도 아닌데 어느날 갑자기 혼자서 작동하다니 참 귀신이 곡할 노릇인것 같습니다^ㅇ^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넷님의 곤충의 진화란 책에 관한 글을 보니 갑지가 타치바나 겐이치의 테라포마스란 SF만화가 생각납니다.


화성을 개척하기 위해서 화성에 바퀴벌레를 살포하고 500년후에 가보니 바퀴벌레들이 인간형으로 진화해서 인간과 살육을 벌인다는 매우 충격적이고 잔인한 만화인데 인간들도 바퀴벌레한테 살육당해 죽자 곤충의 DNA를 이식받아 바퀴벌레 인간들과 싸운다는 내용입니다.

중간까지 본 기억이 나는데 아직 완결이 되지 않은 것 같은데 어떤 식으로 결말이 날지 무척 궁금해 집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즘 사는 곳을 구할적에 무슨 무슨 권이 유행하고 있지요.가장 유명한 것이 역세권이고 빵을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유명 베이커리등이 밀집한  빵세권등 여러 권들이 있습니다.


그런면에서 제가 살고 있는 곳도 무슨 권인데 바로 사세권이지요.ㅎㅎ 사세권이 무어냐고요???

바로 사찰이 있는 지역입니다.제가 살고 있는 곳은 물론 교회도 많지만 성당도 있고 성당 바로 앞에 사찰이 그리고 그 인근에 또 다른 사찰이 있습니다.그래서 특히 입시철에는 학부님들의 발길이 끊이질 않지요.


뭐 저 같은 사람이야 별 상관이 없지만 그래도 오늘 같이 부처님 오신날이면 한가지 좋은 점이 있는데 바로 연등 행사를 눈앞에서 볼 수 있다는 점이죠.

조계사에서 하는 연등행사처럼 대규모 행사는 아니지만 그래도 두 사찰이 따라 따로 하다보니 동네에서 하는 연등 행사치고는 많은 신도들과 장식물들이 경찰차의 호위를 받으며 도로를 지나가기에 이걸 구경하러 동네 주민들이 많이 나옵니다.그리고 상당히 많은 지역을 도는지 6시에 출발해서 보통 2~3시간 뒤에 다시 돌아오더군요.


요 몇년 이상하게 부처님 옹신날에 비가 와서 제대로 연등 행사를 구경하지 못했는데 올해도 역시 낮에 약간 날이 흐려서 비가 오나 생각했는데 다행히 비가 오지 않아 나름 장엄한 행렬을 구경했습니다.

불교계의 가장 큰 행사여서 그런지 신도분들이 많은 준비를 하고 고운 옷들을 입고 행진을 하시는 것을 보면서 스님들과 신도분들의 노고를 치하드리면서  부처님 오신 날은 돈수백배 감축드립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마 80~90년대 학창 시절을 보내셨던 알리디너 여러분들 이시라면 당시에는 책을 사러 아마도 종로서적이나 광화문 교보문고에 가셨을 거란 생각이 듭니다.

그 당시에는 책을 구입하면 (대형서점)직원들이 책 한권 한권 소중하게 종이로 책들을 포장해 주었다고 하는군요.


그 당시 교보문고에선 책을 구입하면 저런 종이 포장지로 곱게 책을 싸주었는데(제가 갖고 있는 헌책중에 저 포장지가 있는 책도 있습니다),당시에는 직원이나 고객모두 책을 소중히 다루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위 포장지는 1980~90 초의 교보문고 책싸개 디자인데 훈민정음을 모티프로 한 것 같습니다. 일본에선 지금도 오프라인 서점에서 책을 구매하면 직원이 곱게 포장을 해주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언제부터인지 저런 포장을 하지 않는것 같습니다.혹 아시는 분이 계실런지...


사실 책을 사랑하는 이들은 책을 보관시 스크래치 없이 깨끗하게 소장하길 희망하는데 요즘은 과거처럼 비닐이나 포장지로 책을 감싸지 않기에 좀 앙쉬워 하는 분들이 계실거란 생각이 드는데 이런 마음을 알아 챘는지 알라딘에서 굿즈로 북커버를 제작 판매하고 있네요.

알라딘 소개에 의하면 내구성 좋은 패브릭 소재를 사용하여 가볍고 또 귀여운 그래픽을 더해서 책 애호가들의 구매욕을 매우 자극하고 있습니다.

저 역시도 이걸 보고 야 좋은 아이디어네 하면서 몇개 구입해 볼까하고 생각했는데 가격을 보니 정말 후덜덜 합니다.


알라딘 북커버의 가격은 한개당 13,800원으로 웬만한 책 한권 값입니다.뭐 배보다 배꼽이 더 큰 형국입니다.

솔직히 재질도 그닥 비싸지 않은 패브릭 소재이고 원산지도 중국이어서 원가는 아마 무척 쌀거라고 예상이 되는데 원가대비 얼마나 높은 마진을 챙기려고 하는지 정말 너무 과하단 생각이 듭니다.(개인적인 생각에 아마 알라딘에 판매하는 책보다 훨씬 마진이 좋을거라고 감히 추측해 봅니다)


사실 책을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적어도 최소 몇 십권의 책은 있을 것인데 애서가들을 위해서 좀더 저렴하게 북커버를 제공해 책을 아끼는 독자들의 마음을 신경써졌으면 좋았을 텐데 암만 알리딘이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이라곤 하지만 이건 좀 과하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 사실입니다.

by caspi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ella.K 2025-05-06 12: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게요. 그런 시절이 있었는데. 단골로 다녔던 서점도 자기 로고가 들어간 자체 포장지가 있어 주인 아저씨가 포장해 주시는 동안 두런두런 얘기하다가 나오고 했습니다. 그 시절이 그립네요. 다 읽으면 포장 벗겨내서 보관하곤 했죠. ㅎ

카스피 2025-05-09 08:58   좋아요 0 | URL
가끔 집안이나 헌책방 등지에서 책겉싸개가 있는 책을 보는 경우(사실 헌책방에선 제목을 보이기위해 책 겉싸개를 전부 다 찢어버리지요)를 보면서 과거에는 사람들이 참 책을 귀하게 대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