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음을 묻는 자, 삶을 묻다 - 시인 장의사가 마주한 열두 가지 죽음과 삶
토마스 린치 지음, 정영목 옮김 / 테오리아 / 2019년 4월
평점 :
나이가 들며 의례와 의식이 단순히 허례허식이 아니라 생의 주기마다 일어나는 탄생, 성장, 진학, 결혼, 죽음 등의 외부 사건을 자신의 내면과 삶에 통합하는 데에 적잖은 의미를 가진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간소화하는 것은 다른 차원의 얘기지만 그 의식 자체가 가지는 무게는 폄하할 것이 아니다. 특히 장례식이 그러하다. 어쩌면 장례식은 죽은 자를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남은 자, 우리 산 자들을 위해 죽은 자를 보내고 기억하고 아쉬운 점, 죄의식을 절차에 의해 떠나 보내고 남은 역할을 추스르는 그래서 다시 힘을 내어 살게 하는 하나의 통과의례처럼 보인다.
매년 나는 우리 타운 사람들 이백 명을 묻는다. 거기에 추가로 서른 명 정도는 화장터로 데려가 불에 태운다. 나는 관, 지하 납골당, 유골함을 판다. 부업으로 묘석과 비석도 판매한다. 요청이 있으면 꽃도 취급한다.
-p.17
<죽음을 묻는 자, 삶을 묻다>의 저자 토마스 린치의 직업이다. 그는 시인 장의사다. 아버지와 형제들 모두 종사하는 일종의 가업이다. 그와 그의 형제가 아버지의 시신을 수습했다. 친구, 이웃 주민, 동료의 죽음을 갈무리한다. 그리고 시를 쓴다. 만가를 부른다.
우리의 핵심-우리가 누구이고, 우리가 무엇을 하느냐-은 늘 죽음과 죽어감과 슬픔과 사별이었다. 그러니까 생명, 자유 또......뭔가의 추구 같은 더 강건한 명사들의 취약한 하복부인 셈이었다. 우리는 작별, 안녕, 마지막 경의를 거래한다.-p.45
시인이 아들에게 자신의 직업을 생계의 수단으로 물려준 아버지는 언제 장례에 관한 책을 쓸 거냐고 물었다고 한다. 이 책은 그러한 아버지에 대한 응답이다. 시인과 장례지도사를 오가며 그는 결국 어떤 노래든 죽은 자를 추모하는 만가가 될 거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아일랜드인 이민자로서의 성장과정, 숱하게 보고 듣고 경험한 불합리한 죽음들, 이혼하고 싱글파더로 아이들을 양육해야 했던 나날들, 죽음을 거래해야 하는 직업적 특수성 들은 그의 묵직한 때로 자조적인 어조에 실려 과연 우리가 죽음을 전제한 삶의 의미를 제대로 들여다볼 수 있을까 반문하게 한다. 그가 결국 사랑과 믿음, 지금 이 순간을 이야기할 때 그것은 진부하지만 설득력 있는 진실이라 어쩔 수 없이 수긍하게 된다. 종착점과 마침표를 안다고 해서 스스로 죽음을 결정할 권리를 인정하는 것은 그 균형의 지점에 어떻게든 폭력이 개입되기 마련이라 인정하지 않는다는 그의 얘기가 인상적이다. 그래서 그는 숱한 죽음을 목도하며 스스로 택하는 죽음에 찬성하거나 전염되지 않는다.
이월이면 좋겠다. 그렇다고 그게 나한테 그렇게 중요하다는 건 아니지만, 내가 세부적인 것들에 까다로운 사람이라는 건 아니지만, 하지만 굳이 물어보니-이월이면 좋겠다. 내가 처음 아버지가 된 달, 내 아버지가 죽은 달, 그래. 심지어 십일월보다도 낫다.
-p.369
그 자신의 장례를 위한 지침이다. 그의 자녀들이 절대 피하거나 도망가거나 회피하지 말기를 바라는, 끝까지 아버지의 장례의식을 참관하고 참여하고 함께 하기를. 그래서 마침내 잘 떠나 보낼 수 있기를, 남은 죄책감마저 그대로 온저히 느끼기를 바라는 마음들이 전해져온다. 별로 직시하고 싶지 않았던 그 엄연한 종결들을 차분히 들여다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