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진리의 발견 (양장) - 앞서 나간 자들
마리아 포포바 지음, 지여울 옮김 / 다른 / 2020년 2월
평점 :
이 책은 광대하다. 다루는 시간은 사 세기 가량이고 공간은 지구와 우주를 넘나든다. 분량은 팔백 페이지를 넘는다. 저자 마리아 포포바는 "나 자신의 전부를 쏟아부었다고 말할 수 있다."고 말한다. 요하네스 케플러, 마리아 미첼, 허먼 멜빌, 브라우닝, 마거릿 풀러, 찰스 다윈, 플레밍, 해리엇 호스머, 에밀리 디킨스, 레이첼 카슨의 "원자적 상호 관계의 일면"이 "교차점의 지도"를 이룬다. 포포바의 역할은 "광대한 규모의 사실주의"의 "의미의 해석자"로서 자리한다. 과학과 예술의 교차수분의 그림은 경이롭다. 우리가 지금 여기에서 하는 이 사소한 모든 고민들이 결국 40억 년이 지나면 사라질 "창백한 푸른 별" 위의 지엽적인 드라마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이야기들을 읽으며 자연스럽게 깨닫고 받아들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존재가 지니는 의미와 무게를 고민하게 만드는 도발적인 책이다. 어렵지 않고 복잡하지 않으면서 아름답고 거대하고 무한한 책이다.
이 경이로운 여성 과학자들의 이야기는 17세기 요하네스 케플러에게서 시작된다. 남성과 인습과 권력이 지배하는 세계에서 그녀들이 밟았던 새로 내었던 그 길은 남성들이 걸은 길과 어긋난 것이 아니다. 겹치고 만나고 때로 하나가 된다. 접점은 어쩌면 시대와의 불화일지도 모른다. 선견지명과 통찰은 항상 한 발짝 앞섰고 그것은 포용되거나 칭송되지 않고 기존의 기대와 통념과 반목했다. 그러니 남자 수학자 케플러의 어머니가 아들의 저작인 <꿈>에 대한 오해로 마녀 재판을 받게 되고 결국 죽음을 맞게 되는 이야기는 <진리의 발견>을 열기에 적합하다. 케플러가 자신의 <꿈>의 주석을 다는 일에 그토록 매달린 것은 그 이해의 간극을 채우기 위함이었고 죽은 어머니에 대한 그 시대에서 기초 교육의 기회조차 갖지 못한 늙고 무고한 여자들에 대한 대변인으로서의 역할을 자처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미국의 최초의 여성 천문학자가 되는 열두 살의 마리아 미첼이 19세기 작고 고립된 고래잡이 마을에서 아버지가 사준 망원경으로 일식을 관찰하다 경이로움에 몸을 떨고 허먼 멜빌이 동경해 마지않던 나다니엘 호손을 비평하며 "모든 대상은 무한하다"고 감격하고 마거릿 풀러가 에머슨에게 자신의 모든 작품에 대한 저작권을 넘긴 일, 에밀리 디킨슨이 오빠의 아내가 된 수전에게 끊임없이 연서를 쓴 일, 레이첼 카슨이 남편이 있는 도로시에게 사랑한다고 고백한 일들은 개별적인 사실들이 아니다. 그것은 형태가 다른 사랑들이다. 그 사랑들은 완전한 귀결도 아니고 완벽한 응답도 받지 못한 채 때로 발신자들의 열정으로 마침표를 찍을 때도 있지만 그건 그 자체로도 어쩌면 충분한 것이다. 그들의 사랑은 특별했고 끈질겼고 자신들의 창조의 동력이 되기도 했고 묘한 형태로 사후에 응답받기도 했다. 저자 포포바는 이러한 그들의 삶을 끊임없이 교차시키고 병행시키며 하나의 거대한 태피스트리를 짠다.
우리의 개별의 삶은 각자에게 거대하고 대단한 것처럼 여겨지지만 영속적인 시간 차원에서 조망하면 때로 하찮고 허무하고 무의미해 보인다. 포포바가 이러한 이야기를 과학자들을 통해 반복하고 싶었던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삶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어떻게 우리의 영혼에 우리의 우주의 때로 우리의 세포에 남아 불멸하는지에 대한 놀라운 통찰을 안겨주는 것이다. 우리는 결국 사라질 것이기에 하찮아지는 것이 아니라 그 흐름으로 영원, 불멸에 합류하는 것이므로 존귀하다.
나도 죽으리라.
당신도 죽으리라.
우주적 관점에서 아주 잠깐 자아의 그림자 주위로 뭉쳤던 원자들은 우리를 만들어낸 바다로 돌아가게 되리라.
우리 중에 살아남게 될 것은 기슭 없는 씨앗과 우주먼지뿐이리라.
-마리아 포포바 <진리의 발견>
오늘 지금 여기에서 애타게 사는 당신과 나에게 새겨주고 싶은 이야기. 우리는 무한하다고 믿는 시간과 우주의 공간 안에서 유한하고 미소하다. 그러나 우리가 믿는 그 무한조차 유한하다면 여기 이 지점은 얼마나 흔들리며 한정된 것인가. 그걸 깨달을 때 삶과 사랑과 생은 눈물날 정도로 가치롭고 허무하도록 아름답다. 지금 이 글을 쓰는 일도 벌써 과거가 되어 간다. 우리는 모두 과거로 돌아가는 존재들이다. 사랑하고 읽고 쓰는 일로도 찰나 같은 시간들이 앞에 있다. 존재는 하루하루 풀려 나간다. 그리고 마침내 다시 무로 돌아갈 그날을 상기하게 하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