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 커트 보네거트의 <제5도살장>

2차대전 중 독일 드레스덴이 연합군에 의해 폭격당했을 때 그 자리에 있었다는 작가 커트 보네거트. 그는 구사일생으로 살아돌아온 후 바로 이 이야기를 쓸 수 있을거라 생각했단다. 하지만 그가 다시 이 이야기를 꺼내는데는 20년이라는 시간이 필요했다. 지나친 강렬함은 인간의 의식을 마비시키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그렇지 뭐 그렇게 살다가는거지라는 자조적 읊조림속에 결코 자조적일 수 없는 전쟁의 고통들이 쓴웃음과 함께 펼쳐진다.
45. <지식e 3>

이미 알고 있던 것들도 다시 새롭게 보게 해준다.
영상의 강렬함만으로도 2% 부족했던 이들을 위한 책.
이번 담당pd의 문책성 인사가 잘 해결되기를...(별로 기대하지는 않지만.)
그리고 그것이 지식e팀의 내부자기검열로 이어지지 않기를...
지식e가 100권이 나온다 해도 난 다 사볼게다.
46. 심윤경의 <서라벌 사람들>

신선한 상상력으로 똘똘 뭉친 책.
신라의 골품과 신앙, 신라사회의 변화를 이렇게도 상상해볼수 있구나..
늘 새로운 즐거움을 안겨주는 작가 심윤경씨 고마워요!!
47. 커트 보네거트의 <나라없는 사람>

80대 할아버지의 촌철살인 유머.
내가 80이 되어도 이렇게 세상사에 절대로 달관하지 않고 비판의 칼날을 날카롭게 세울수 있을까?(80까지 살지는 모르겠지만....)
48-50. KBS한국사傳제작팀의 <한국사傳 1, 2, 3>



아무래도 인물을 통해 보는 역사는 더 흥미롭다. 역사속의 인물에 감정이입이 쉬워지니 그런거겠지만.... 위험성이 없는건 아니지만 그래도 역사에 대한 대중적 욕구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좋은 소재임에는 틀림없다. 한국사의 알려지지 않은 또는 많이 알려졌으나 그의 또다른 면들을 재밌게 만날 수 있다.
51. 신영복의 <청구회추억>
청구회가 무슨 노동조합이나 청년조직쯤 되는 줄 짐작했던 나는 그것이 청구초등학교 6학년 아이들과의 모임이라는데 정말 딱 신영복선생이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요듬 신영복 선생님은 좀 지나칙 달관하시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는데 그게 나이가 들어서가 아니라 원래 그런 분인듯 싶은게 이 책속에서 만나는 신영복선생의 모습이다.
52. 미야베 미유키의 <화차>

모방범 다음으로 좋았던 미야베 미유키의 책.
왜 이제야 읽었을까? ^^
소비를 부추기면서 한편으로 그것을 얽어내고 결국 파멸시키는 현대 사회의 모순이 이 한권의 추리소설로 완전히 밝혀지다.
결국 주인공인 형사처럼 나도 사라진 여자에게 감정이입이 되어버리다니....
53. 고미숙의 <이 영화를 보라>

6편의 가장 대중적인(즉 가장 많은 관객이 본) 영화를 통해 한국사회의 가까운 과거, 현재, 미래를 진단하다.
영화를 본 사람도 아니면 이제 볼 사람도 누구든지 고미숙씨의 입담을 만나고 나면 영화를 보는게 더 즐거울듯....
54. 팀 보울러의 <리버 보이>

읽는 내내 어두운 강물소리가 귀에 어른거린다.
억지로 감동을 만들려는 감정과잉없이 사춘기의 소녀가 가장 가까운 이의 죽음을 받아들이고 성장해가는 모습을 만난다.
그렇게 어른은 죽고 아이는 성장하고 그게 인생이지 뭐...
-------------------------------------------
여름이 끝나간다.
가을은 독서의 계절이라는데 별로.....
점점 바빠지는구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