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기와 우연의 역사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안인희 옮김 / 휴머니스트 / 2020년 8월
평점 :
슈테판 츠바이크의 명성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아마도 타고난 이야기꾼이라는 것.
이 책에서도 그 재능은 여지없이 당당하게 거칠것 없이 드러난다.
서예로 비유하자면 일필휘지라고 할까?
뭐 정신을 차릴 틈도 없이 뭔가가 한바탕 확 휩쓸고 지나간 분위기다.
책을 읽으면서 뭘 곱씹거나 되새기거나 그런거? 할 시간이 없다.
숨이 목끝까지 탁탁 막히며 헉헉거리며 읽어야 한다.
심지어 '빙의'까지 해야 한다.
마치 내가 메흐메트인듯, 헨델인듯, 톨스토이인듯 그렇게....
좋게 이야기하면 역사이야기에 확 빠져들어가고,
다르게 본다면 역사를 냉정하게 성찰하지 못하고 작가의 의도와 생각대로 휘말려버린다고도 하겠다.
예를 든다면 츠바이크는 이 책에서 나폴레옹이 워털루 전투에서 패하고 마지막 몰락을 하게 된데에는 그루시라고 하는 그의 부관이 너무도 평범하여 제대로 된 판단을 하지 못했던데 큰 원인이 있다고 얘기한다.
하지만 다시 생각해보자.
그것이 당시의 나폴레옹의 한계였다.
스스로 판단을 내리고 나폴레옹의 의중을 알아채는 뛰어난 부관이 있을 수 없는 상황, 평범하게 성실할 뿐인 자에게 대담한 영감을 요구하는 직위를 맡길 수 밖에 없었던 그것이 몰락 앞의 나폴레옹의 처지였던 것이다.
그러고 나면 나폴레옹의 실패는 너무도 당연히 나폴레옹의 책임이어야 하는데.....
불쌍한 그루시가 도대체 뭘 잘못했느냐 말이다.
애초부터 능력에 맞지 않는 임무를 맡긴 상관이데 말이다.
그런데 츠바이크의 글을 읽다보면 그게 또 그럴싸해 보인다.
이게 이런 역사책들의 가장 큰 장점이자 치명적인 단점이라 할 수 있다.
역사에 흥미를 가지게 해준다는 장점이 있지만, 과도한 동일시로 역사를 작가의 뜻대로 단면만으로 보게 만든다는 단점이 그것이다.
그럴듯해 보이는 것이 다는 아니다.
츠바이크는 선택한 역사적 장면은 모두 12개이다.
이것이 어떤 기준인지는 사실 명확하지 않다.
내 생각엔 그저 작가 개인적인 관심사 또는 작가가 가장 잘 쓸 수 있었던 장면 정도가 아니였을까싶다.
딱히 기준이랄게 보이지 않는다.
어쨌든 모든 장면이 흥미로운 것은 맞다.
하지만 해당 사건에 대해 사전 지식이 좀 있는 경우는 몰입감이 떨어진다.
왜냐하면 츠바이크에게 휘말려 가면서도 내가 원래 알고 있는 지식과 생각을 계속 떠올리면서 어 이거 맞아 진짜 뭐 이런 브레이크를 걸어주게 되더라.
결국 작가인 츠바이크가 의도한 독서를 하지 못하는 것이다.
다만 내가 사전 지식이 하나도 없는 경우의 몰입감은 상당하다.
내게는
대양을 건넌 최초의 말 ―1858년 7월 28일, 대서양 해저 케이블 설치가 그러했다.
역사적 사실로 해저 케이블이 설치되고 전신이 연결되고, 곧 대양간에 전화가 가설되고.....
이론으로야 그 역사적 발전과정을 알고 있었지만 문과 감성 충만한 나는 그것의 기술적 설치과정에 대해서는 생각해본적이 없다.
그런데 정말 한 번 상상해보자. 대서양의 그 해저에 케이블을 늘어뜨려서 전신을 연결한다?
그 시절에 누가 들어도 미친 소리였지 않을까?
유럽에서 아메리카까지 대서양에 깔 끊어지지 않은 케이블을 준비하고, 그 케이블을 실어나를 배를 마련하고, 그 케이블을 바다에 빠뜨리면서 서서히 항해를 하고....
그냥 미친짓이었을 것 같은데 그 미친 짓을 거듭되는 실패에도 불구하고 결국은 해내고 만 필드라는 인물을 읽으면서는 정말 이 인물에 폭 빠져 츠바이크가 원하는 바로 그 감성으로 책을 읽었다.
그래서 결론은?
이 책을 읽을 때는 조심하시라.
츠바이크가 살짝 파놓은 뻥의 세계에 빠져버릴 수 도 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