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문을 틀리는 요리점
오구니 시로 지음, 김윤희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외할머니는 치매로 인한 합병증으로 돌아가셨다. 돌아가시기 전 외할머니는 누워만 있는 게 갑갑하셨던지 자꾸 일으켜 달라고 하셨다. 부끄럽게도 나는 외할머니의 부탁을 귀찮아하고 짜증을 냈다. 외할머니가 내 응석과 투정을 다 받아주시면서 나를 키워주셨던 건 까맣게 잊고. 외할머니가 돌아가시고 나서야 치매에 걸린 외할머니께 짜증만 냈던 것을 후회했다. 그 뒤로 많은 세월이 흘렀고, 이제 몇 년 있으면 나는 엄마에게 치매가 올 것을 걱정할 것이다. 그리고 언젠가는 내게 치매가 올 것을 걱정할 것이다. 치매는 내게 죄책감과 불안감을 함께 안겨 주는 단어다. 하지만 『주문을 틀리는 요리점』은 치매에 대해 더 밝고 따뜻한 인상을 남겨 주었다. 


​  '주문을 틀리는 요리점'은 치매 노인들이 서빙을 하다 어떤 음식을 주문 받았는지 잊어버리고 틀린 메뉴를 가져다 주는 음식점이다. 이 아이디어를 처음 낸 일본 NHK 방송국의 PD 오구니 시로는 7년 전만 해도 치매에 대해 관심이 없었다고 한다. 주변에 치매를 앓는 사람이 없었으니까. 그러나 2012년 원래 촬영하기로 했던 프로그램에 차질이 생기면서, 치매 노인들이 모여 사는 간병 시설을 대신 취재하게 됐다. 그곳에서 살고 있는 치매 노인들은 직접 음식을 하고 빨래를 했는데, 제작진을 위한 점심식사도 직접 만들어 주었다. 그런데, 나오기로 예정된 햄버그 스테이크 대신 만두가 나왔다. 노인들이 원래 내 오기로 했던 메뉴를 잊어버린 것이다. 오구니 PD는 처음에 당황했지만, '이것이 아니면 안 된다'는 틀에 치매 노인들을 가둘 수 없다고 느끼고, '주문을 틀리는 요리점'이라는 아이디어를 생각해냈다. 치매를 앓고 있는 사람들이 종업원인 음식점에서, 사람들은 메뉴가 틀리게 나와도 화를 내지 않는다. '주문을 틀린다'고 미리 전제를 했고, 다른 메뉴가 나와도 맛있으면 되니까. 이 아이디어가 실제 음식점으로 실현되는 데 5년이 걸렸다. 


​  오구니 PD가 '주문을 틀리는 요리점'을 준비할 때 세웠던 두 가지의 원칙이 인상적이다. 첫 번째는 "식당답게 음식의 질을 고집하기(멋있을 것, 맛있을 것)"이고, 두 번째는 "실수가 목적이 아니다. 일부러 실수를 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이다. 좋은 일을 하는 거니 어떻게 하든 용납될 거라고 안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음식점인데 음식점으로서의 퀄리티를 포기해서는 안 된다. 일하시는 분들도 좋은 음식점에서 맛있는 음식을 서빙해야 더 보람을 느낄 것이다. 실수가 용납되는 곳이라 해도 일부러 실수를 한다면 음식점은 단지 하나의 촌극으로 끝날 것이다. 


​  그렇게 철저하게 준비한 끝에, 2017년 6월 3일과 4일 단 이틀, 도쿄 시내에 있는 작은 레스토랑을 빌려 '주문을 틀리는 요리점'을 오픈했다. 실수가 전혀 없으면 어떡할까 걱정을 했는데, 역시나 실수는 곳곳에서 일어났다. 주문을 받으러 왔다는 사실조차 잊어버린 할머니도 있었고, 다른 테이블끼리 메뉴가 서로 뒤바뀌어 나오는 일도 종종 있었다. 바쁜 와중에 일하는 분들에게 식사를 제공하지 못해 일하는 분들의 인내심이 바닥 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실수를 하면서도 할머니와 할아버지들은 오랜만에 자기 몫을 해냈고, '주문을 틀리는 요리점'은 많은 사람들에게서 호응을 얻으며 무사히 마무리되었다. 종업원 할머니가 일을 하고  받은 돈으로 자신이 사고 싶은 물건들을 사는 모습에서 자신의 존재, 가치를 확인하는 것이 뭉클했다. 


​  '주문을 틀리는 요리점'은 할아버지 할머니들, 음식점을 준비해 온 사람들의 노력뿐만 아니라 식당을 찾아준 손님들의 배려가 있기에 성공할 수 있었다. 미리 주문이 틀릴 수 있다고 이야기했어도, 정말 주문이 틀리면 화를 내는 손님도 있을 법한데, 손님들 모두가 화를 내지 않고 종업원들을 배려해 주었다. 잘못 나온 메뉴도 맛있게 먹거나, 다른 손님의 것과 바뀐 메뉴를 다시 바꿔 원래 요리를 받았다. 조금 늦어져도, 틀려도 괜찮다고 용납해 주는 손님들의 모습에서, 우리가 어떻게 치매 환자들과 함께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치매 환자뿐만 아니라 우리보다 더 느리고, 더 많이 틀리는 모든 사람들에 대해서도. 


  따뜻하고 간결해서 읽기 좋은 글이지만, 책의 구성은 아쉽다. 음식점의 준비 과정을 먼저 이야기하고 음식점이 실제로 실행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면 기대감이 점점 더 커졌을 텐데, 그 반대의 구성이어서 후일담을 덤으로 듣는 느낌이다. 치매에 걸린 아내가 음식점에서 일하고 피아노를 연주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남편 이야기나, 암 투병 중인 친구와 함께 음식점에 간 이야기는 여러 편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왜 순서대로 보여주지 않고 그 사이에 다른 이야기들을 넣었는지 의문이다. 특별히 그 이야기들을 중간에 넣어야 할 이유도 없고, 원래 진행되던 이야기의 흐름이 끊긴다. 책의 구성을 좀 더 세심하게 짰다면 더 좋았을 것이다. 


『주문을 틀리는 요리점』의 일본어 원서 표지(위)와 한국어판 표지(아래)


  한국어판에서는 아기자기한 일러스트를 표지와 본문 곳곳에 넣어 따뜻하고 사랑스러운 느낌을 더한 것이 돋보인다. 원래의 일본어 로고처럼 "아차, 실수"라고 하는 듯 한 글자의 방향만 살짝 뒤튼 제목도 사랑스럽다. 다만 원서에서는 오구니 PD가 경어체로 이야기를 풀어가는데, 한국어에서는 반말로 번역된 것이 아쉽다. 경어체로 번역했으면 이야기하는 느낌, 부드러운 느낌이 더 살아났을 텐데.


​  이런 아쉬움들이 있지만 여전히 이 책은 따뜻하고 사랑스럽다. 그리고 책을 읽고 나서 책에 대해 이것저것 검색해 보다 기분 좋은 이야기를 발견했다. KBS에서 작년 8월에 이 음식점의 포맷을 빌려 '주문을 잊은 음식점'을 오픈했었다는 것이다. KBS에서 베낀 걸까봐 걱정했는데, 다행히 KBS 김명숙 PD가 오구니 PD에게 정식으로 문의해서 포맷을 빌려왔다고 한다. 이연복 셰프가 총괄 셰프였고, 송은이 씨가 총 지배인을 했다고 한다. <KBS 스페셜>에서 두 회에 걸쳐 방영했다는데 다시보기로 봐야겠다. 우리의 '주문을 잊은 음식점'은 어떤 모습이었을지 궁금하다. 



 한국판 '주문을 잊은 음식점'의 예고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래의 언어 - 유행가에서 길어 올린 우리말의 인문학
한성우 지음 / 어크로스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0여 년 동안 쌓여 온 대중가요 가사 속의 단어들에 우리의 삶과 마음이 압축되어 있다. 우리가 그 동안 어떤 것들을 노래해 왔는지 돌아보면서 새삼 발견한 것들이 흥미로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문을 틀리는 요리점
오구니 시로 지음, 김윤희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간결하면서도 ‘주문을 틀리는 요리점‘을 준비하면서 고민과 보람, 기쁨과 아쉬움을 빠짐 없이 기록했다. 치매를 바라보는 따뜻하고도 유쾌한 시선에 마음이 훈훈해진다. 한국판 일러스트가 따뜻하고 아기자기한 분위기를 더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건축 이전의 건축, 공동성 - 사회와 인간에 지속하는 건축의 가치
김광현 지음 / 공간서가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석사 무량수전 앞에 서 있는 스님. 저자는 새벽의 부석사를 바라보면서 모두가 그곳에서 느끼는 경건함, 경외감, 성스러움이 부석사의 공동성이라고 이야기한다. 사진 출처: http://www.outdoor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616


  이 책의 제목에서 낯선 단어가 눈에 띈다. ‘공동성’이란 대체 뭘까? 공동성은 어떤 장소와 공간에 대해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느끼는, 그 장소만의 가치, 그 장소를 그 장소답게 만드는 본질이다. ‘공동’이라는 말 때문에 공동성이 공동체의 성격을 말하는 것으로 생각될 수도 있지만, 공동성은 어느 한 공동체에 국한되어 있지 않고 공동체를 넘어 서로 다른 공동체에 속하는 사람들까지 이어준다. 예를 들자면, 새벽의 부석사에서 예불을 드리는 스님들부터 신도들, 답사하러 온 학생들, 여행 온 관광객들까지 모두가 느끼는 경외감, 성스러움, 경건함이 부석사만이 지니는 공동성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공동성이 저자인 건축가 김광현 교수가 생각하는 건축의 본질이자 우리가 지켜가야 할 가치이다. 이 책에 실린 김광현 교수의 글들에서 일관성 있게 이야기되는 것은 ‘공동성의 건축을 실천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이다.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산마르코 광장. 유럽 어느 도시에 가도 있는 광장에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 서로 교류하려는 시민 공동의 의지가 담겨 있다. 사진 출처: https://www.pps.org/places/piazza-san-marco


  그가 생각하는 ‘공동성의 건축’은 어느 한 인간만이 아니라 모든 인간이 지니고 있는 공동의 의지, 질서, 감각이 무엇인지 묻고 그것을 탐구하는 건축이다. 유럽의 어느 도시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광장에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다른 사람을 만나고 교류하는 곳을 건축하려고 하는 시민 공동의 의지가 담겨 있다. 직장 어린이집은 직원의 아이들이 회사 모두의 아이들이라는 근본적인 가치에 회사 구성원들이 동의하고 공감했기에 건축된 것이다. 이렇게 모든 이들에게 속해 있는 인간의 본성, 가치에 대해 묻고, 그것을 건축으로 실천하는 것이 건축가의 임무라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  건축에서 인간 모두에게 속한 가치와 본질을 추구해야 한다는 저자의 주장이 현학적이거나 지나치게 이상적인 이야기로 들릴 수도 있다. 하지만 저자는 이상을 추구하면서도 지금 우리가 발붙이고 있는 현실을 직시한다. 그는 어떤 현학적인 수사나 허세도 거부하면서, ‘팩트 폭격’이라고 느껴질 정도로 지금 우리 건축이 품고 있는 문제들을 거침없이 폭로하고 신랄하게 비판한다. 건축학과를 지망하는 학생들은 하나 같이 “저는 어렸을 때부터 건축을 사랑했거든요.”라고 이야기하지만, 이런 태도는 지나치게 낭만적이고 자기중심적이라고 저자는 지적한다. 건축은 현실적으로 도전해야 하는 실천적 학문이다. 이런 본질을 ‘인문학’이나 ‘미학’이라는 포장지로 가려도 건축이 현실의 온갖 문제와 제약들과 부딪치며 실제로 사람들이 살아가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 지나치게 낮은 설계대가, 건축 경기는 점점 나빠지는데 지금도 지나치게 많이 배출되고 있는 건축가들, 단결하지 못하고 각자의 이익이나 입장 차이 때문에 사분오열되는 건축협회, 시민들이 요구하는 바를 제대로 파악하지도 않고 가장 싼 값으로 공공건물을 만들려고 하는 공공기관들까지 건축가가 부딪쳐야 하는 현실은 첩첩산중이다.


  그러나 저자는 공동성의 건축을 향한 희망을 놓지 않는다. 건축가로서 앞으로 자신이 겪을 어려움을 잘 알고 있지만, 그래도 건축가가 되고 싶다는 학생에게 저자는 이야기한다. “이제 학교에 들어오게 되면 먼 훗날 내가 건축 작품을 한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끝날 일이 아니라, 그 작품을 넘어 이렇게 인간에 대한 깊은 애정과 그들의 생활에 바짝 다가서서 사람들의 삶의 ‘질’을 더 풍부해지도록 하는 것에 최종 목표를 두어라.” 그는 건축 안에 사회에 공간과 장소를 제공하고 사회 구성원들을 묶어주며 사회를 만들어내는 놀라운 힘이 있다고 믿는다. 건축을 사랑하고 가꾸며 건축을 설계하고 짓는 이들의 노력을 알면 나 자신의 삶이 풍부해지기에, 건축을 전공하지 않는 일반 국민들에게도 건축에 대한 기초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것이 공동성의 건축으로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하려는 그의 꿈을, 건축가들뿐만 아니라 건축과 함께 살아가는 우리들이 기억해야 할 이유다.


* P. S. 이 책에 실린 글들 중에는 1990년대나 2000년대 초반에 쓰여진 글들도 많지만, 슬프게도 그 당시의 문제점들이 2010년대인 지금도 계속되고 있어, 그 문제점들에 대한 저자의 비판은 여전히 유효하다. 또한 저자는 글을 쓴 시점을 명시하고 그 이후에 일어난 일들에 대한 생각을 원래 글 뒤에 덧붙여, 책의 시의성을 떨어뜨리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건축 이전의 건축, 공동성 - 사회와 인간에 지속하는 건축의 가치
김광현 지음 / 공간서가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발 붙이고 있는 현실을 직시하면서도 건축을 통해 우리가 지켜야 할 가치라는 이상을 잊지 않는다. 허세와 현학적인 수사 하나 없이 지금의 우리 건축이 품고 있는 문제들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철저히 현실에 입각한 대안과 이상을 이야기한다. 건축을 업으로 하는 사람이 아닌 사람도 배워야 할 자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