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 수컷은 필요 없어 ㅣ 지식여행자 5
요네하라 마리 지음, 김윤수 옮김 / 마음산책 / 2008년 8월
평점 :
품절
작년 말에 요네하라 마리의 책을 여러 권 구입했는데
그 중에는 <팬티 인문학> 같은, 보는 사람에 따라 자칫 오해하기 쉬운 책도 있었다.
(음, 얼른 솔로 탈출을 하고 싶은 모양이군!)
또 한 권이 바로 이 책, <인간 수컷은 필요 없어>.
부모님이 보시면 '가뜩이나 남친 안 사귀는 것도 불안한데 아예 시집 안 간다고 선언하는 거냐'고
말씀하실 것 같은 제목이다. (뭐, 나의 기우겠지만...)
원래 제목도 이렇게 과격한가 싶어 찾아보니 '인간 수컷은 안 키우니?' 정도로 가벼운 느낌.
그런 제목을 '인간 수컷은 필.요.없.어~~~!!!' 이런 식으로 바꾼 출판사의 의도는 무엇일까? (이것도 기우?)
<인간 수컷은 필요 없어>는 생전에 '애묘가, 애견가'로 유명했던 요네하라 마리가
고양이 네 마리, 강아지 두 마리와 동거동락하며 벌어진 에피소드를 담은 에세이집이다.
마리 여사는 생전에 '까칠하다', '독하다'는 말을 들을만큼 성격이 매섭고 독설을 자주 날리는 분이었다는데,
그것은 인간에게만 해당되는 일인지, 동물들에 대한 마리 여사의 애정과 정성은 극진했다.
출장지에서 만난 유기견을 지나치지 못해 식구로 들인 일부터 시작해서,
통역일로 간 곳에 버려져 있던 새끼 고양이 두 마리를 죽을 위기에서 기적적으로 구해냈고,
심지어는 러시아에서까지 주인에게 키울 수 없는 사정이 생겨 팔리는 신세가 된 고양이 두 마리를 입양했다.
주인에게 버려졌거나 길거리에서 갖은 고생을 한 동물들을 키우면서
몸도 고생이었지만 마음도 많이 힘들었을 것이다.
그런데도 마리 여사는 오히려 자신이 동물들의 삶에 짐이 되는 것 같다고 여기며 미안해했다.
출장 때문에 며칠 떨어져 지내는 것도 안타까워했고,
도시에서 동물을 키우려면 당연히 해야 한다는 중성화수술을 받게 하면서도
동물들의 자연스런 성욕을 인간의 욕심으로 제거하는 것이 맞는 일일까 괴로워했다.
이런 사람이 있는가 하면,
동물을 반려자가 아닌 장난감으로 여기며 그들의 생명을 함부로 대하는 사람들,
자기 욕구를 채우기 위해 동물을 키우다가 무책임하게 내버리는 사람들도 있다.
마리 여사가 '인간 수컷'을 들이지 않은 건
어쩌면 그녀 자신의 삶에 들어온 생명들이 이미 너무 많아서,
이들에 대한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였던 것은 아닐까.
이 정도 마음가짐이 아니면 함부로 다른 생명을 자기 삶에 들이면 안 되는 것이 아닐까.
읽기엔 가벼운 책이지만 막상 다 읽고 나니 마음이 무거워진다.
이 책의 추천사를 애묘가로 유명한 황인숙 시인이 써주셨는데,
마침 다른 책에서 황인숙 시인의 남다른 고양이 사랑에 대한 글을 읽은 터라 참 반가웠다.
고양이, 강아지는커녕 초등학교 앞에서 으레 팔던 병아리 한 마리도 키워본 적 없지만
이렇게 동물을 유난히 사랑하는 이들을 보면 마음이 애틋해진다.
먼 옛날 인간이 자연으로부터 등돌리면서 잊게 된 것들을 그들이 가르쳐주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