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랏빛 소가 온다 - 광고는 죽었다
세스 고딘 지음, 이주형 외 옮김 / 재인 / 200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세계적인 경영 구루 세스 고딘의 명저 <보랏빛 소가 온다>는 광고와 마케팅 업계에서는 이미 널리 알려진 책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시장의 상황이 달라졌기 때문에 상품의 홍보를 매스 미디어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전통적인 광고 형식은 한계가 있다('광고는 죽었다')고 말한다. 기업은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만한 획기적인 상품 및 서비스를 개발해야 하며, 상품이 소비자를 찾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가 상품을 찾게끔 시장의 규칙(rule)을 바꿔야 한다. 그러한 획기적인(remarkable, 리마커블) 상품을 저자는 '보랏빛 소(purple cow)'에 비유한다.

 

 

책에 많은 사례가 등장하는데, 나는 드라마 <꽃보다 남자>에 보랏빛 소의 교훈을 적용해 보았다. 엉겁결에 부잣집 자제들만 다니는 신화고에 입학한 세탁소집 딸 금잔디는 윤지후를 좋아하다가 나중에 구준표에게 마음을 주었다. 처음에 그녀가 윤지후를 좋아했던 건, 물론 그가 F4 얼짱이라는 이유도 있겠지만, 전교생에게 왕따를 당하는 상황에서 그만이 유일하게 잘해주었기 때문이기도 했을 것이다. 하지만 이후 구준표가 사실 그녀를 좋아하고 있다는 것이 전교에 알려지자 그녀의 입지는 하늘로 치솟고 전교생이 그녀와 친해지려고 애를 쓴다. 그 때 그녀에게 불편한(혹은 매력적인) 사람은 오직 구준표뿐. 그만이 어떻게 해서라도 가지고 싶은 보랏빛 소가 된 것이다. 물론 구준표가 이 책을 읽고 그런 전략을 쓴 건 아닐 터. 그녀를 너무나 사랑한 나머지 백방으로 애쓰다가 성공한 게 우연히 그런 전략이었는지 모른다. 그렇다면 보랏빛 소는 무언가를 너무나 사랑해서 열정을 바치는 사람, 그 자체를 의미하는 말일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초등학교 입학 무렵부터 안경을 썼다. 시력이 점점 나빠져서 지금은 안경을 벗으면 글자는커녕 눈 앞에 놓인 물체의 형체마저도 희미하게 보인다. 그래서 나는 종종 시력을 완전히 잃어버리고 시각 대신 청각, 촉각, 미각, 후각 등 다른 감각에 의존해서 사는 상상을 한다. 잘 살 수 있을까? 쉽게 답이 안 나온다.

 

 

나만 눈이 안 보이는 게 아니라, 반대로 나만 눈이 보인다면 어떨까? 1998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주제 사라마구의 <눈먼 자들의 도시>은 '만약 이 세상 모두가 눈이 멀어 단 한 사람만 볼 수 있게 된다면'이라는 가정으로부터 시작한다. 갑자기 눈이 멀이 온 세상이 하얗게 보이는 '백색 공포' 가 삽시간에 지구 전역에 퍼지고, 실명에 따른 공포와 좌절감으로 인해 폭력과 범죄가 만연한다. 그런데 '의사의 아내' 만은 눈이 멀쩡해 세상의 모든 비극과 참상을 목격한다. 처음에 나는 그녀가 운이 좋다고 생각했다. 온 세상을 강타한 공포로부터 혼자만 비껴갔다니 축복이 아닌가. 하지만 소설 속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보며 나만 눈이 보이는 상황은 행운이 아니라 형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누구의 이해와 공감도 받지 못한 채 살아간다는 건 죽느니만 못한 비극이 아닌가.

 

 

그런데 지금 생각해보니 이건 고도의 상징과 비유인 것 같다. 내 눈엔 똑똑히 보이는 진실 혹은 진리를 다른 이들은 보지 못하는 상황, 보았으나 눈감는 상황은 현실에서 왕왕 벌어지는 일이다. 이를테면 내 눈엔 보이는 불쌍한 사람을 그 누구도 발벗고 돕지 않는다든가, 역시 내 눈엔 뻔히 보이는 불의를 역시 그 누구나 보고도 못 본 척하는 상황 말이다. 과연 그런 상황에서 나는 보이는 것을 보인다, 고 말할 수 있을까? 이제보니 주제 사라마구는 이 소설을 통해 그저 자신의 상상력을 발휘한 것이 아니라 개인의 양심에 대해 물은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민하는 힘
강상중 지음, 이경덕 옮김 / 사계절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에 한국을 방문해서 서울대학교에 갔을 때에도 그것을 느꼈습니다. 내가 목격한 것은 이른바 엘리트 학생들이 "필요 없는 것을 생각하고 있을 여가가 있으면 스킬을 몸에 익히고, 전문지식을 몸에 익히고, 유용한 정보를 가능한 한 많이 획득해야 한다. 놀고 있을 시간이 없다" ... 그들 가운데에는 아직 이십대인데도 "이미 나이가 많아서" 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그 말을 들으면서 나의 청춘기와 너무나 달라 깜짝 놀랐습니다. 분명 그런 학창시절을 보내면 일류 기업에 취직할 수 있고 높은 월급을 받는 엘리트가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그 대신에 청춘기이기 때문에 마음의 내면에서 솟아나는 열정을 잊어버리는 것은 아닐까요? 그 결과로 정기가 모두 빠져나간 바싹 마른 늙은 몸만 품고 살아야 할지도 모릅니다. (p.88)

 

 

재일(在日, 자이니치)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쿠보즈카 요스케 주연의 영화 <GO>다. 이 영화를 보면 재일 한국인이 일본에서 얼마나 힘들게 살아왔는지를 절실히 느낄 수 있다. 저자 강상중은 재일 한국인 최초의 도쿄대 교수다. 강상중 역시 재일 한국인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을 많이 했을 터. 그는 자신의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고 나츠메 소세키와 막스 베버 등을 비롯한 많은 책을 읽었다.<고민하는 힘>은 그 결과물이다.

 

 

저자는 자아, 돈, 지식, 청춘, 종교, 직업, 사랑, 죽음, 늙음 등의 문제에 대해 총 아홉 개의 장에 걸쳐 논한다. 가장 마음에 와닿았던 내용은 4장 '청춘은 아름다운가?'에 있었다. 저자는 이 장에서 한국의 청춘들이 과거 자신이 보낸 청춘과 달리 오로지 어른들의 눈에 들고, 그 자신이 사회의 기준에 합당한 어른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만 보였다고 한다. 저자의 글을 읽으며 나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고 반성했다. 나도 한때는 스펙 쌓기와 취업 성공에만 골몰하며 하고 싶지도 않은 공부를 하고 원하지 않는 일을 하는 데에만 집중했다. 하지만 그러다 몸과 마음이 크게 상하고 나서부터는 성공과 스펙의 의미를 재정의했다. 비록 직장에서 원하는 사람이 되지는 못해도 언젠가 내 아이에게 '나는 이렇게 즐거운 청춘을 보냈다'고 말할 자신은 있는 삶을 살리라, 고 말이다. 진정한 성공은 스스로 치열하게 생각한 끝에 자신만의 방식으로 얻을 수 있는 법. 그래서 저자는 '고민 끝에 얻은 힘이 강하다'고 말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셸 오바마 - 변화와 희망의 퍼스트 레이디
엘리자베스 라이트풋 지음, 박수연 외 옮김 / 부키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저널리스트 엘리자베스 라이트폿이 쓴 <미셸 오바마>는 총 10장에 걸쳐 미셸의 어린 시절, 아이비리그 재학 시절, 변호사 시절을 비롯해 버락 오바마를 만나 결혼한 후의 최근의 삶까지 차례대로 조망한다. 미셸은 시카고 남부의 유복하지 않은 가정에서 태어나 가족의 사랑을 받으며 자랐다. 프린스턴 대학에서 처음으로 백인 위주의 사회를 경험한 그녀는 스스로 열심히 공부해서 들어온 학교인데도 소수인종 우대 정책의 혜택을 보았다고 비아냥거리는 사람들을 상대하며 인권 의식을 키웠다. 이후 하버드 로스쿨에 진학해 변호사 시험에 합격, 성공한 커리어 우먼의 길을 걷는 듯 했지만, 마음 한 구석에는 자신이 체험한 미국 사회의 모순을 개혁하고 싶은 의지가 있었다. 그래서 남편 버락 오바마가 정치가가 되는 것을 지지했다. 언론이 조명하는 미셸의 화려한 모습 뒤엔 많은 상처와 아픔이 있었구나. 이렇게 최근의 행보와 과거의 자취를 연결하는 글을 읽으니, 그 동안 버락에 가려져 있던 미셸이 흥미롭고 매력적인 인물로 보이기 시작했다.  


미국의 영부인으로서는 어떠한가. 저자는 미셸의 특성들이 버락의 단점을 보완해주었기 때문에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고 평한다. 저자의 말에 따르면 버락은 겉모습은 흑인이지만 실제로는 케냐 출신의 아버지와 백인 어머니의 사이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노예 출신의 전통적인 미국 흑인과는 다르다. 몇몇 미국인들은 그가 불안정한 가정에서 자랐기 때문에 가족적인 가치의 중요성을 모를 것이고 안정감도 부족할 것이라고 우려하기도 했다. 허나 미셸은 시카고 남부의 전통적인 흑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노동자 출신의 부모 밑에서 사랑받고 자란 미셸은 오바마에게 가족의 가치를 가르쳐주었고 안정감을 주었다. 오바마를 완성시킨 것은 미셸이라고 저자는 설명한다. 적어도 버락 오바마에게 미셸은 '미세스 투덜이'가 아니라 '진정한 반쪽'이라는 생각이 든다.


 

변호사로서 얻을 수 있는 부와 명예를 버리고 사회공헌 활동을 하겠다고 마음먹은 것은 '안정과 이상 사이에서의 갈등'이라는 점에서 요즘의 나의 고민과 닮아 있다. 사회의 마이너로서 느끼는 서러움이나 가사와 일의 양립의 어려움을 토로하는 부분은 여성으로서 깊이 공감되었다. 미셸이 여성이자 흑인으로서 이중의 차별을 이겨내고 커리어 우먼으로서 성공하고 지금은 멋진 가정을 꾸리고 있는 점 모두 멋지다. 끊임없이 꿈꾸고 분주히 노력하는 미셸 오바마. 그의 삶엔 퍼스트 레이디라는 말로 함축하기엔 부족한 무언가(it)가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장 푸른 눈
토니 모리슨 지음, 신진범 옮김 / 들녘 / 200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1960년대 아름다움의 잣대가 인종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는 각성이 일면서 나 또한 그런 움직임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다. ... 인종마다 다른 아름다움의 잣대를 주장하는 것은 모든 집단에서 찾아볼 수 있는 문화적, 인종적 약점에 대한 자조적 비판이 아니다. 그것은 외부의 시선 때문에 생기는, 상처만 안겨주는 열등감을 벗어버리자는 것이었다. (작가후기 中)' 


 

얼마전 신문 보도에 따르면 하버드대생들이 가장 많이 사보는 책 100선 중 1위로 조지 오웰의 <1984>가 뽑혔다고 한다. 그외 <백년의 고독>, <죄와 벌>, <카라마조프의 형제들> 같은 유명한 고전들이 눈에 띄는 가운데 2위에 오른 토니 모리슨의 <비러브드(beloved)>를 보고 고개를 갸웃했다. 토니 모리슨이 누구지? 부끄럽게도 난 노벨문학상 수상자이기도 한 그녀의 이름을 이때 처음 들었던 것이다.

 

 

토니 모리슨의 첫 소설 <가장 푸른 눈>은 193,40년대 미국에서 살고 있는 흑인 자매 클라우디아와 프리다 자매의 시선으로 그녀들의 친구 피콜라와 그 가족의 삶을 서술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피콜라는 불우하게 자란 부모 밑에서 불우하게 자란 소녀로 경제적인 어려움을 비롯해 신체적인 학대, 부모의 불화 등 온갖 시련과 고통을 겪는다. 그 중에서도 그녀를 가장 힘들게 만들고 괴롭혔던 것은 놀랍게도 자기 자신이 '못생겼다'는 생각이었다. 당시 사회는 백인은 아름답고 흑인은 아름답지 않다는 잘못된 편견이 상식으로 자리잡아 있었다. 우습게도, 피콜라를 예쁘게 보아주고 사랑해주어야 마땅한 부모마저도 그녀를 못생겼다는 이유로 구박했다. 자신이 못생겼다는 생각에 사로잡힌 피콜라는 점점 자기 표현의 의지를 상실하고 무기력해졌으며 결국 비극을 맞았다.

 

 

작가 후기에 나온 말대로 <가장 푸른 눈>은 피콜라를 통해 백인들이 설정한 일방적인 미의 기준이 어떻게 사회를 파괴하며, 가장 약하고 힘없는 계층인 비주류 인종의 어린 여성 집단을 병들게 하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소설이다. 이렇게 소설을 통해 사회의 모순을 고발하고 해결을 촉구하는 작품으로는 <앵무새 죽이기>를 비롯해 다수가 있는데, 법적으로는 인종 차별이 금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흑인에 대한 인종차별과 사회의 잘못된 편견, 관행 등을 고발하는 소설이 쓰이고 읽힌다는 것은, 오히려 문학이 그 사회의 진실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한국 문학계도 정형화된 주제와 한정된 소재에서 벗어나 보다 풍부하고 깊이있는 내용을 담은 작품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